붕당: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2번째 줄:
[[조선 숙종|숙종]]대에 이르러 상호 비판을 전제로 100년 가까이 공존하던 서인과 남인의 대립은 점점 격화되기 시작하였다.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 세 차례에 걸친 환국의 와중에 남인과 서인은 서로를 숙청하고 정치적으로 제거하는 데 온 힘을 쏟았다.
 
이때, 붕당의 변질을 가져온 두 가지 문제가 예송과 환국이다. 예송은, 상복을 입는 기간에 관한 문제로, 효종과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가 승하했을 때, 효종의 모친이자 선왕 인조의 계비였던 [[자의대비]]([[장렬왕후]])가 상복을 입는 기간에 관한 논쟁이다. 이러한 논쟁이 발생한 까닭은, 인조와 그의 제 1비였던 인열왕후의 첫째 아들인 소현세자가 왕이 되지 못하고 병사하여 소현세자의 아들이 왕이 되어야 했으나, 둘째 아들이었던 봉림대군이 효종으로 즉위하여 왕이 되었기 때문이다. 1차 예송에서 효종이 죽었을 때, 서인은 효종이 둘째아들이라는 데에 착안하여 1년 상을 주장하였고, 남인은 왕이라는 데에 착안하여 3년 상을 주장하였다. 결국 서인이 승리하여 1년 상을 하는 것이로것으로 하였다. 하지만 2차 예송에서 인선왕후가 죽었을 때, 서인은 효종이 차자이므로 조대비(자의대비)가 9개월간 상복을 입어야 한다고 했고, 남인은 효종을 장자로 인정하여 1년간 입어야 한다고 했다. 이때는 남인이 승리하였다. 그로써, 서인은 정계에서 축출되었다.
 
하지만 경신년, 허적의 집에서 있었던 연시연을 계기로, 서인은 경신환국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여 인현왕후 민씨를 숙종의 계비로 들이는 등 권력을 장악했다. 하지만, 기사환국이 일어나 남인이 다시 집권하여 당시 남인이 들였던 후궁인 희빈 장씨가 숙종의 총애를 받아 중전이 되고, 서인 세력이었던 인현왕후는 폐비되었다. 실각한 서인은 이 과정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 [[노론]](老論)과 [[윤증]]·[[박세채]]를 중심으로 한 [[소론]](少論)으로 나뉘었다. 노론과 소론은 경술환국을 통해 복권하면서 남인을 완전히 제거하였고, 희빈 장씨는 사약을 받고 인현왕후가 복귀되었으나 곧 병사하였다. 이후 노론과 소론의 당쟁이 영조 즉위 때까지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