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ongofSol/작업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ongofSol (토론 | 기여)
SongofSo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번역 확장 필요|en|Hematocrit}}
[[File:1210 Glial Cells of the PNS.jpg|thumb|말초신경계에는 위성세포와 슈반세포가 있다.]]
[[File:Illu blood components.svg|thumb|혈액 구성 요소|alt=Illu blood components.svg]]
{{뉴런 지도|축삭 주위를 감싸는 슈반세포}}
'''헤마토크릿'''({{lang|en|hematocrit}}, Ht, Hct)은 [[혈액]]에서 [[적혈구]]가 차지하고 있는 용적의 비중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며, 이것을 구하는 검사 명칭이기도 하다. 다른 이름으로 '''적혈구 용적 백분율'''({{lang|en|packed cell volume}}, PCV)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남자는 45%, 여자는 40%를 정상으로 본다.<ref>{{cite book |author=Purves WK, Sadava D, Orians GH, Heller, HC |title=Life: The Science of Biology |edition=7th|publisher=Sinauer Associates |location=Sunderland, Mass |year=2004 |pages=954 |isbn=0-7167-9856-5 |oclc= |doi=}}</ref>
 
이 검사를 통해 얻은 값은 [[적혈구 증가증]] 및 [[빈혈]]의 정도를 파악하는 척도가 된다. 적혈구 증가증이나 빈혈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며, 또한 이 검사는 시행하는데 매우 간편하고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헤모글로빈]] 농도, [[백혈구]] 계수, [[혈소판]] 계수 등과 함께 [[일반 혈액 검사]]의 한 항목으로 포함되어 있다.
'''슈반세포'''({{lang|en|Schwann cell}}, 생리학자 [[테오도어 슈반]]의 이름을 땀) 혹은 '''신경초세포'''({{lang|en|neurolemmocyte}})는 [[말초신경계]]의 기본적인 [[신경교세포]]이다. 신경교세포는 [[뉴런]]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말초신경계의 신경교세포로는 [[위성세포]], [[후각덮개세포]]({{lang|en|olfactory ensheathing cell}}), 창자신경교세포, [[파치니 소체]] 등 감각신경종말에 있는 신경교세포 등이 있다.
 
== 측정 방법 ==
슈반세포에는 [[미엘린]]을 형성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 두 종류가 있다. 미엘린을 형성하는 슈반세포는 운동뉴런과 감각뉴런의 축삭 주위를 감싸 미엘린 수초를 형성한다.
[[File:Packed cell volume diagram.svg|thumb|적혈구 용적 백분율]]
헤마토크릿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직접 측정하는 방법과 [[자동혈구계산기]]를 이용해 적혈구에 발생하는 전압 변화를 측정해 산출하는 자동혈구계산기법 두가지를 이용하는데, 일반적인 병원에서는 자동혈구계산기법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
 
직접 측정하는 방법은 내부에 [[헤파린]]이 발라져 있는 모세관을 10,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측정하는 Microhematocrit법과 항응고제인 [[EDTA]]가 포함된 혈액을 Wintrobe tube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측정하는 Wintrobe법 두 가지가 있다. 혈액을 모세관에 넣고 원심분리하면 두 층으로 나누어진다. 농축된 적혈구의 부피를 전체 혈액 표본 부피로 나눈 것이 PCV이다. 관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각 층의 길이를 재서 계산하면 된다.
슈반세포는 말초신경계에서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축삭을 따라 [[활동전위|전기적 충격]]을 전도하는 데에 관여하고, 신경의 발달 및 재생과 관련이 있으며 뉴런에 영양을 공급한다. 신경의 세포외기질을 생산하고, 신경근육 시냅스의 활성을 조절하며, [[T 림프구]]에 [[항원]]을 제시한다.
 
현대적인 장비를 갖춘 실험실에서는 자동혈구분석기를 이용한다. [[평균적혈구용적]]에 적혈구 수를 곱하여 계산한다. 적혈구 사이에서 빠져나가지 않은 [[혈장]]이 소량 존재하는 PCV와 비교하면 헤마토크릿이 약간 더 정확하다. [[g]]/[[dL]] 단위로 나타낸 [[헤모글로빈]] 농도에 3을 곱하고 단위를 제거한 값은 %로 나타낸 헤마토크릿 추정치에 근사한다.@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 [[길랭-바레 증후군]](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근병증), [[신경초종증]]({{lang|en|schwannomatosis}}),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CIDP), [[나병]] 등은 모두 슈반세포와 관련된 [[말초신경증]]이다.
 
혈액 채취자가 부주의하여 농축된 적혈구나 혈액을 주입하고 있는 정맥주사선 가까이에서 실험 표본 혈액을 채취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헤모글로빈은 환자의 혈액에 희석되어 순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진짜 헤모글로빈의 수치로 볼 수 없고, 세포가 과다하게 많아서 헤모타크릿이 인위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반대로 식염수나 다른 액체가 공급되고 있는 환자는 혈액이 희석되어 헤마토크릿이 낮아진다.
== 구조 및 기능 ==
[[File:Cultured schwann cell.jpg|thumb|배양 중인 슈반세포]]
슈반세포는 수초$의 유무에 상관없이 말초신경섬유를 살아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교세포]]이다. 수초가 있는 축삭에서 슈반세포는 [[말이집|수초]]를 형성한다. 수초는 연속적이지 않으며, 각 슈반세포는 축삭을 100 μm 정도 감싼다. 길이 1 m의 축삭(더 긴 축삭도 존재한다)은 계산상으로 대략 10,000개의 슈반세포가 감싸고 있다. 인접한 슈반세포까지의 틈을 [[랑비에 결절]]이라고 한다. [[척추동물]]의 [[신경계]]는 수초로 [[절연체|절연]]되어 있어 축삭의 막 [[전기용량]]을 유지한다. [[활동전위]]는 랑비에 결절에서 결절로 [[도약전도]]한다. 이를 통하여 축삭 지름이 증가하지 않고도 전도 속도가 최대 10배 증가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슈반세포는 [[중추신경계]]에서 같은 역할을 하는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유사체라 할 수 있다. 다만 희소돌기아교세포와 달리 슈반세포는 오직 하나의 축삭에만 수초를 형성한다.<ref>Kalat, James W. Biological Psychology, 9th ed. USA: Thompson Learning, 2007.{{Page needed|date=April 2011}}</ref>
 
== 상승 요인 ==
수초를 형성하지 않는 슈반세포는 축삭을 유지하고, 신경의 생존에 필수적이다. 몇몇 슈반세포는 작은 축삭 주위에 모여([http://www.liv.ac.uk/~rbj/RBJ/rbjteaching/Schwann%20Cells.htm 참고 그림]) 레마크 다발([[:en:Group C nerve fiber#Remak bundles|Remak bundles]])을 형성한다.<ref>[http://focus.hms.harvard.edu/2003/Oct24_2003/neurology.html "Medical Student Named Rhodes Scholar"] – FOCUS – News from Harvard Medical, Dental and Public Health Schools – Copyright © 201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ref>
[[뎅기열]] 환자는 헤마토크릿이 높아지면 [[뎅기열
이 값이 낮을 경우, [[빈혈]]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성인 [[남성]]은 42 ~ 45%, [[여성]]은 38% ~ 42%의 헤마토크릿 수치를 보인다.
 
== 오차 ==
슈반세포는 포유류의 발생 동안 수초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축삭 주위에 나선형을 그리면서 100회까지 회전하기도 한다. 발달한 슈반세포는 종이를 말아서 만든 형태와 유사하며 각각의 코일 사이에 수초 층이 있다. 코일의 안쪽 층은 대부분이 [[세포막|막]]성 물질로 수초({{lang|en|myelin sheath}})가 되고, 바깥층은 핵이 있는 세포질로 신경집({{lang|en|neurolemma}} 혹은 {{lang|en|neurilemma}})이 된다. 남은 세포질 중 일부만이 안층과 소통한다. 이 부분을 [[조직학]]에서 슈미트-란터만 패임({{lang|en|Schmidt-Lantermann incisure}})이라 한다.
* 공통 : 측정하고자 하는 혈액이 채혈된 후 실온에서 6~24시간 정도 방치될 경우 정상치보다 이 값이 증가할 수 있다.
 
== 이식과 재생어원 ==
헤마토크릿({{lang|en|hematocrit}})이라는 용어는 "피"를 뜻하는 haima({{llang|grc|αἷμα}})와 "판단"을 뜻하는 kritēs({{llang|grc|κριτής}})에서 유래하였다. 1891년 웁살라의 망누스 블릭스({{llang|sv|Magnus Blix}})가 낙농업에서 쓰이는 lactokrit을 본따 고안하였다.<ref>SG Hedin in Skandanavia Arch.f Physiolgie 2:134-140,1891 "The Haematokrit: a New Apparatus for the Investigation of Blood."</ref><ref>''Medicine and the Reign of Technology'', Stanley Joel Reis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February 27, 1981, p. 133</ref>
2001년 이후로 슈반세포를 이식하여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의 수초를 [[재수초화|재생]]하기 위한 실험이 진행되었다.<ref>{{cite news| url=http://www.findarticles.com/p/articles/mi_m0850/is_4_19/ai_79957646 | work=Inside MS | title=First surgical transplant attempted to repair myelin | year=2001}}</ref> 지난 20년 간 연구를 통하여 슈반세포 이식으로 척수 손상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식된 슈반세포는 손상된 중추신경계 축삭을 다시 자라도록 돕고 수초가 생성되도록 한다.<ref>{{cite journal |pages=453–67 |doi=10.1089/neu.2006.23.453 |title=Schwann Cell Transplantation for Repair of the Adult Spinal Cord |year=2006 |author=Oudega M, Xu XM |journal=Journal of Neurotrauma |volume=23 |issue=3–4 |pmid=16629629}}</ref> 콘드로이티네이스 ABC 등 기타 치료법과 슈반세포 이식을 병행하여 척수의 기능이 회복되었다는 연구가 있다.<ref>{{cite journal|author=Fouad K, Schnell L, Bunge MB, Schwab ME, Liebscher T, Pearse DD |title=Combining Schwann Cell Bridges and Olfactory-Ensheathing Glia Grafts with Chondroitinase Promotes Locomotor Recovery after Complete Transection of the Spinal Cord|journal=The Journal of Neuroscience|volume=25|issue=5|pages=1169–78|date=2 February 2005|doi=10.1523/JNEUROSCI.3562-04.2005|pmid=15689553|url=http://www.jneurosci.org/content/25/5/1169.long|accessdate=15 May 2013}}</ref> 실제로 슈반세포는 신경 재생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cite journal |pages=1995–9 |doi=10.1016/j.biocel.2006.05.007 |title=Schwann cells: Origins and role in axonal maintenance and regeneration |year=2006 |author=Bhatheja K, Field J|journal=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volume=38 |issue=12 |pmid=16807057}}</ref> 말초신경계에 속하는 신경의 축삭에는 슈반세포가 수초를 형성한다. 신경이 손상되면 슈반세포가 [[식세포작용]]을 통하여 축삭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후 슈반세포는 표적 뉴런을 향하여 일종의 터널을 형성하여 신경이 올바로 재생되게 한다. 축삭의 잘린 부위는 새롭게 연장되고, 슈반세포의 "터널"을 따라 자라난다. 신경이 자라나기 위한 조건이 제대로 갖추어 지면 하루에 약 1 mm씩 자랄 수 있고, 재생 속도는 시간이 갈수록 감소한다. 축삭이 성공적으로 자라나면 원래 그 신경이 통제하였던 근육이나 장기와 다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특이성은 유지되지 않고, 특히 축삭이 연장되는 거리가 길수록 오류가 잦다.<ref>Carlson, Neil R. Physiology of Behavior, 9th ed. USA: Pearson Education, Inc., 2007.{{Page needed|date=April 2011}}</ref> 슈반세포는 축삭의 재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축삭이 감각경로보다 운동경로에 다시 신경을 형성하는 경향([[:en:preferential motor reinnervation|preferential motor reinnervation]])이 있는 이유로 논의되기도 한다. 슈반세포가 축삭에 결합하는 것을 막으면 축삭은 사멸한다. 축삭을 지지하고 [[축삭 유도|유도]]하는 슈반세포가 없으면 재생되는 축삭은 어떤 표적 뉴런과도 연결되지 않는다. 슈반세포는 [[성장원뿔]] 앞에 존재한다.
 
== 주석 ==
슈반세포는 축삭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뉴로트로핀]]을 포함하여 다양한 인자를 생산하고, 축삭으로 주요 분자를 전달한다.
* 표준 임상혈액학, 변대훈 외 15명, 대학서림 (2011)
<references/>
 
{{토막글|의학}}
== 갱글리오사이드 ==
9-O-아세틸 GD3([[:en:ST8SIA1|ST8SIA1]]) [[갱글리오사이드]]는 아세틸화 [[당지질]]로 척추동물의 세포막에 있다. 말초신경이 재생되는 동안 9-O-아세틸 GD3가 슈반세포에서 발현된다.<ref>{{cite journal |author=Túlio Ribeiro-Resende V, Lopex M |date=2010 |title=Involvement of 9-O-Acetyl GD3 Ganglioside in Mycobacterium leprae Infection of Schwann Cells |url=http://www.jbc.org/content/285/44/34086.full.pdf |journal=J. Biol. Chem |publisher=ASBMB |volume=258 |pages=34086-34096 |doi=10.1074/jbc.M110.147272 |accessdate=2014-04-14}}</ref>
 
[[분류:신경혈액 세포검사
== 주석 및 참고 문헌 ==
{{reflist}}
 
== 바깥 고리 ==
* {{언어고리|en}} [http://ccdb.ucsd.edu/sand/main?stype=lite&keyword=schwann&Submit=Go&event=display&start=1 Cell Centered Database의 슈반세포]
* {{언어고리|en}} [http://www.bu.edu/histology/p/21301loa.htm 미엘린이 있는 축삭과 슈반세포의 전자현미경 사진]
 
[[분류:신경생리학
[[분류:신경 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