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콩키스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Spanish_reconquista.gif 파일은 Krd 사용자가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삭제했기 때문에 문서에서 제거했습니다: Copyright violation: Derivative of a file ([[commons:File:Al-Andalus (norsk)...
Shirobot (토론 | 기여)
잔글 白:사:Ysjbserver요청으로 {{주석}}을 {{각주}}로 바꿈 total:18220, replaced: {{주석 → {{각주 using AWB
1번째 줄:
{{에스파냐의 역사}} {{포르투갈의 역사}}
[[파일:La rendición de Granada.jpg|220px|thumb|그라나다 함락<br />프란치스코 프라디야 오르티즈의 1882년 작품]]
'''레콘키스타'''({{llang|es|Reconquista}}, {{llang|pt|Reconquista|헤콩키스타}}, {{llang|ar| الاسترداد |알 이스티라다드}})는 [[718년]]부터 [[1492년]]까지, 약 7세기 반에 걸쳐서 [[이베리아 반도]] 북부의 [[로마 가톨릭교회|로마 가톨릭]] 왕국들이 이베리아 반도 남부의 [[이슬람]] 국가<ref group="주해">가톨릭 국가에서는 [[이베리아 반도]]의 무슬림을 흔히 [[무어인]]이라 불렀다.</ref> 를 축출하고 이베리아 반도를 회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레콘키스타는 [[에스파냐어]]와 [[포르투갈어]]로 "재정복"을 뜻하며 [[한국어]]로는 '국토 회복 운동'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이는 [[우마이야 왕조]]의 이베리아 정복에 의해 상실하였던 가톨릭 국가의 영토를 회복하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27번째 줄:
711년 부터 756년까지 [[우마이야 왕조의 이베리아 정복]]이 진행되었다. 당시 이베리아 반도는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한 [[서고트족]]이 세운 [[서고트 왕국]]이 통치하고 있었다. 왕위 계승권을 놓고 서고트 왕국이 내분에 휩싸이자 모로코의 [[아미르]]였던 타리크는 서고트족의 지원 요청을 명분으로 이베리아 반도를 침공하였다. 주로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으로 구성된 [[무어인]] 전사들은 이 기간 동안 이베리아 전역을 정복하였다. 이로써 [[피레네 산맥]] 이남의 [[이베리아 반도]] 전체가 [[이슬람|이슬람화]] 되었으며 무슬림들은 [[코르도바 (에스파냐)|코르도바]]를 수도로 삼고 이베리아를 통치하였다.
 
한편, 피레네 산맥을 넘어 오늘날의 [[투르 (도시)|투르]]까지 진격하였던 이슬람 군대는 [[프랑크 왕국]]의 [[카롤루스 마르텔]]에게 패배한 뒤 북상을 멈추었다. 이베리아의 서고트 영주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여 영지를 인정받거나 멸망하였다.<ref>진원숙, 이슬람의 탄생, 살림, 2008, 63쪽, ISBN 89-522-0808-0 </ref>
 
이슬람의 통치 기간 동안 이베리아 반도는 알 안달루시아로 불렸다.
34번째 줄:
우마이야 왕조의 이베리아 정복이 완료된 뒤 첫 [[아미르]]가 된 [[알 왈리드 1세]]이후 오랫동안 이슬람의 이베리아 통치는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그러나 우마이야 왕조는 [[다마스쿠스]]를 중심으로 한 시리아 지역 아랍인을 우대하는 차별 정책을 취했고 이는 내부에 여러 불만세력을 키우는 원인이 되었다.<ref>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교과서1, 휴머니스트, 2007, 98쪽, ISBN 89-5862-070-6 </ref> 이는 결국 반란으로 이어졌고 우마이야 왕조는 해체되었다. 우마이야 왕조의 뒤를 이어 [[아바스 왕조]]가 들어서자 이베리아 반도에는 살아남은 우마이야의 왕자 [[라흐만 1세]]가 [[후우마이야 왕조]]를 세웠다. 또한 북아프리카에서는 [[파티마 왕조]]가 성립되어 이슬람 세계는 분열되었다.<ref>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교과서1, 휴머니스트, 2007, 100쪽, ISBN 89-5862-070-6 </ref>
 
== 레콘키스타의 시작 ==
42번째 줄:
== 프랑크 왕국의 침공 ==
[[파일:Rolandfealty.jpg|thumb|카롤루스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롤랑]]
[[750년]] [[자브 전투]]에서 [[아바스 왕조]]가 승리하고 [[우마이야 왕조]]가 몰락한 후 세워진 [[라흐만 1세]]의 [[후우마이야 왕조]]는 여전히 이베리아 반도 거의 대부분을 통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우마이야 왕조의 붕괴 이후 이슬람 지방 영주인 [[아미르]]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지는 못하고 있었다. 라흐만 1세에 반대하던 바르셀로나의 아미르는 [[카롤루스 대제]]에게 지원을 요청하였다. <ref>알렉산더 데만트, 전은경 역, 16일간의 세계사 여행, 북로드, 2007, 187쪽, ISBN 89-91239-28-5 </ref>
 
[[778년]] [[카롤루스 대제]]가 이베리아를 침공하였다. 전쟁 초기 카롤루스 대제는 이베리아 반도 북부를 장악하며 승리하였으나 [[론세스바예스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였다. 이 전투에서 카롤루스는 12명의 [[팔라딘]]을 잃었으며 그 중에는 총애하던 기사 롤랑도 있었다. 롤랑의 죽음은 후일 《[[롤랑의 노래]]》라는 [[서사시]]의 소재가 되었다.<ref>헨드릭 빌렘 반 룬, 이종훈 역, 인류이야기, 서해문집, 2008, 124쪽, ISBN 89-7483-305-0 </ref>
 
이후 [[바르셀로나]]는 프랑크 왕국과 후우마이야 왕조의 각축장이 되었으며 결국 801년 프랑크 왕국에게 점령되었다. 이후 프랑크 왕국은 [[바르셀로나 백작령]]을 세우고 바르셀로나를 통치하였다. 바르셀로나 백작령은 914년 다시 이슬람 군대에 의해 함락되기도 하였으나 11세기까지 유지되고 있었다.<ref>이상국 역, 엘 시드의 노래,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9, 53쪽, ISBN 89-7464-521-1 </ref> 바르셀로나 백작령은 [[알비 십자군]] 이후인 1258년 [[프랑스]]의 [[루이 9세]]와 [[아라곤 왕국]]의 [[아라곤의 하이메 1세|하이메 1세]] 사이에 맺어진 [[코르베유 조약]]에 의해 아라곤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ref>콜린 존스, 방문숙 외 역, 케임브리지 프랑스사, 시공사, 2006, 111쪽, ISBN 89-527-1623-X </ref>
 
== 로마 가톨릭교 왕국의 성립 ==
54번째 줄:
718년 펠라기우스가 코바동가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성립을 선포하였으나 그의 생애 동안 이 왕국은 [[게릴라]] 전투에 기반한 군사 집단에 불과하였다. 아스투리아스 왕국이 영토를 확보하고 실질적인 국가로서 자리잡은 것은 펠라시우스의 손자인 [[알폰소 2세 (아스투리아스)|알폰소 2세]] 시기였다. 우마이야 왕조가 이베리아 반도 전역을 통치하고 있던 750년 무렵 북서부의 [[아스투리아스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 내에 남은 유일한 가톨릭교회 국가였다.
 
812년에서 814년 무렵 알폰소 2세는 [[갈라시아 지방|갈라시아]]를 점령하면서 [[야고보 (제베대오의 아들)|야고보]]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를 명분으로 [[카롤루스 대제]]와 [[교황]]이 아스투리아스 왕국을 승인하고 지원하도록 하는 데 성공하였다. 알폰소 2세가 야고보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전해지는 장소에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성당]]이 세워졌다.<ref>안영옥, 올라 에스파냐 - 스페인의 자연과 사람들, 고려대학교출판부, 147 - 148쪽, ISBN 89-7641-652-X </ref> 이후 이베리아 반도에서 계속된 기독교 국가와 이슬람과의 전쟁에는 성지의 수호라는 명분이 더해졌다.
 
=== 레온 왕국 ===
{{본문|레온 왕국}}
아스투리아스 왕국 출신의 알폰소 1세가 [[칸타브리아 산맥]]을 넘어 남하하여 레온 지역을 정복함으로써 시작된 레온 왕국은 [[알폰소 3세 (레온)|알폰소 3세]](재위 866년 - 910년) 시기에 이르러 [[두에로 강]] 일대에 가지 영토를 넓혔다. 이전까지 아스투리아스-레온 왕국으로 불렸으나 뒤를 이은 가르시아 1세 대에 수도를 레온으로 옮기고 나라 이름을 레온 왕국으로 변경하였다. 한 때 [[나바라 왕국]]의 산초 3세에게 정복되나 산초 3세가 사망하자 다시 독립하였다. [[카스티야 왕국]]은 본래 레온 왕국의 백작령으로 출발하였으나 나바라 왕국에 복속된 뒤 산초 3세의 차남이 계승하여 독립국이 되었다. <ref name="이강혁"> {{서적 인용 |저자=이강혁 |제목= 스페인 역사 100장면 |꺾쇠표=예 |발행년도= 2006 |출판사=가람기획 |위치= |id=ISBN 89-8435-147-4 }} </ref> {{Rp|64}}
 
=== 나바라 왕국 ===
{{본문|나바라 왕국}}
[[파일:Península ibérica 1037.svg|250px|thumb|1037년의 이베리아 반도<br />산초 3세 사후 나바라 왕국은 [[레온 왕국]],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남부의 초록색은 이슬람 영토로 여러 타이파국으로 분열되어 있는 모습이다]]
[[824년]] [[팜플로나]]와 남부 [[나바라 지방|나바라]]를 중심으로 [[바스크인]]들의 반란을 통해 팜플로나 왕국을 건국하였다. 뒤에 [[나바라 왕국]]으로 이름을 바꾼 이 나라는 10세기 부터 레콘키스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11세기 [[산초 3세]] 대왕 대에 이르러 강대한 국가로 성장하였다. 산초 3세는 주변의 카스티야 백작령과 아라곤 백작령, 레온 왕국을 정복하여 이베리아 북부의 강자가 되었다. 산초 3세가 사망한 후 나바라 왕국의 영토는 3분 되어 장남 산초 가르시아 3세가 나바라 왕국을, 차남 페르난도 1세가 [[카스티야 왕국]]을, 그리고 서자인 라미로 1세가 [[아라곤 왕국]]을 물려받게되었다. <ref name="이강혁"/> {{Rp|65}}
 
이후 나바라 왕국은 [[나바라 지방]]의 영토를 유지한 채 레콘키스타의 주도권을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 등에게 넘겨주고 약소국으로 전락하였다. 1234년 나바르 왕국은 프랑스에 복속되어 독립국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ref>콜린 존스, 방문숙 외 역, 케임브리지 프랑스사, 시공사, 2006, 132쪽, ISBN 89-527-1623-X </ref> 이후 나바라 지방은 오랫동안 프랑스의 영토였다. 1515년 카스티야와 아라곤의 군주를 겸하고 있었던 [[페르난도 2세 (아라곤)|페르난도]]는 스스로 나바라 왕국의 군주를 선포하고 1516년 나바라 지방을 복속시켰다.<ref>토머스 모어, 황문수 역, 유토피아, 범우사, 2007, 62쪽의 각주, ISBN 89-08-01001-7 </ref>
 
== 타이파 ==
79번째 줄:
[[1064년]] [[교황 알렉산데르 2세]]는 가톨릭교가 위기에 처해있다는 호소와 함께 [[바르바스트로]]를 함락할 것을 요구하는 교서를 반포하여 [[바르바스트로 전쟁]]을 시작하였다. 교황은 이 전쟁에 참여하는 자들에 대하여 [[대사 (가톨릭)|면벌부]]를 발급하였다. 이는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제1차 십자군]]을 소집한 것보다 30년 전에 있었던 일로 사실상 [[십자군]]의 시작이었다.<ref>[http://libro.uca.edu/frontier/bishko2b.htm Study II : Fernando I and the Origins of the Leonese-Castilian Alliance With Cluny], Studies in Medieval Spanish Frontier History, 미국 중세 스페인 역사학회 홈페이지</ref>
 
[[1095년]] 교황 우르바누스 2세는 제1차 십자군을 소집하여 [[예루살렘]]을 침공하였다. 한편, 우르바누스 2세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과 치르는 전쟁에 참전하는 것 역시 예루살렘과 [[성지]]에서 벌어지는 십자군과 동등한 축복을 약속하면서 [[타라고나]]의 점령을 촉구하였다. 이로 인해 십자군 전쟁 기간에도 많은 기사단과 무장조직들이 이베리아 반도의 타이파들과 전쟁을 벌였다. 당시 이베리아 반도에서 전쟁을 치른 [[기사단]]에는 [[산티아고 기사단]], [[몬테사 기사단]], [[칼라트라바 기사단]]과 같이 이베리아 반도를 근거지로 하는 기사단들과 함께 [[성당 기사단]]과 같이 [[제1차 십자군]]에 합류하였던 기사단들도 있었다. 이들은 1195년의 [[알라르코스 전투]], 1212년의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와 같은 전투를 치렀다. 그 결과 전쟁에 참전한 기사단들은 오늘날 [[에스파냐]]의 [[안달루시아 지방]], [[에스트레마두라 지방]]과 [[포르투갈]]의 [[알레테주]]에 해당하는 광대한 지역을 정복하여 자신들의 [[라티푼디움]]으로 삼을 수 있었다.<ref>O´Callaghan, Joseph F.: "Reconquest and crusade in Medieval Spain",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2, ISBN 0-8122-3696-3 </ref>
 
1215년 알모하드 왕조가 붕괴되고 사하라 서부에 [[마리니드 왕조]]가 세워지면서 이베리아 반도의 [[타이파]]들의 영토는 더이상 어떤 왕조에도 속하지 않는 사실상 독립적인 국가가 되었다. 한편, 이베리아 반도의 가톨릭교회 왕국은 [[레온 왕국]],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의 세 나라가 주변을 통합하고 주요 세력이 되었다. 이들 가톨릭교회 왕국은 십자군의 일환인 기사단들과 함께 이슬람 지역에 대한 정복을 계속하였다. 1236년 이슬람 통치의 중심지였던 [[코르도바]]가 함락되었으며 1236년 지금의 [[세비야]]까지 함락되었다.
87번째 줄:
== 에스파냐의 성립과 레콘키스타의 종결 ==
[[파일:Adolf Seel Innenhof der Alhambra.jpg|thumb|[[알함브라 궁전]]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최후의 이슬람 국가였던 그라나다 타이파의 궁전이다.]]
1469년 [[아라곤 왕국]]의 왕위 후계자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페르난도]]와 [[카스티야 왕국]]의 왕위 계승 후계자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이사벨]]이 결혼하여 두 나라는 공동 국왕이 지배하는 아라곤 카스티야 공동왕국이 되었다. 이후 [[에스파냐]](에스파냐)로 이름을 바꾼 공동왕국은 1478년에는 카나리아 제도를 정복하고 [[1492년]] 1월 2일, 무슬림의 마지막 보루이던 [[그라나다 (에스파냐)|그라나다]]를 정복하여 레콘키스타를 종결하게 되었다. <ref name="이강혁"/> {{Rp|109}} 이로써 이베리아 반도에서 있었던 781년 간의 이슬람 통치가 종식되었다. 한편 1492년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발견한 해이기도 하다. <ref>Stanley G. Payne, [http://libro.uca.edu/payne1/payne9.htm Chapter Nine The United Spanish Monarchy], A History of Spain and Portugal</ref>
 
그라나다를 정복한 에스파냐는 [[알람브라 칙령]]을 반포하여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하지 않은 무슬림과 유대인을 추방하였다.
94번째 줄:
<references group="주해"/>
== 주석 ==
{{주석각주}}
 
[[분류:스페인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