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파극: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using AWB
2번째 줄:
 
== 명칭 및 기원 ==
'신파(新派)'란 말은 원래 [[일본]]에서 처음 쓴 신극용어의 하나로서 일본의 구파극(舊派劇)인 [[가부키]](歌舞伎) 연극에 대립하는 칭호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신파란 용어도 초창기에는 소시 시바이(壯士芝居)·쇼세이 시바이(書生芝居) 또는 신연극·신극 등의 이름으로 불리었으며, 1897년 이후 신극배우 가와카미(川上音次郞)는 연극을 ‘정극(正劇)’이라고 부른 일이 있다.<ref name="글로벌_1">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신파극/신파극의 연혁/신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소시(壯士)’는 당시 일본에서 초야에 있다가 정치운동에 투신한 청년을 일컫는 말인데, 그들은 정론(政論)고취를 목적으로 연극을 이용하였다. 즉, [[메이지 시대|메이지]] 20년(1887)을 전후해서 [[이토 히로부미|이토]](伊藤博文) 내각은 그들의 극단적인 유럽화 정책으로 세상 사람들의 비판을 받았는데, 특히 반정부측 입장에 있던 자유당 청년들의 맹렬한 비판을 사게 되었다. 이에 대해 이토 정부는 안보조례(安保條例)를 공포하여 언론탄압을 하게 되고, 언론을 봉쇄당한 장사들은 연극형식을 빌려 그들의 불만을 국민에게 호소하기에 이르렀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 소박한 연극개량의 의도가 부각되었으며 생활수단으로 연극을 이용하게 되었다. 그래서, 차차 당초의 목적인 정치의식이 박약해지고, 상업연극으로 발전하기에 이른 것이었다.<ref name="글로벌_1"/>
 
1894년 [[청일 전쟁]]이 일어나자 신연극의 여러 단체는 다투어 전황보고의 연극을 상연하여 대호평을 받았고, 이러한 군사극에 의하여 자리를 잡은 신연극은 1897년 전후부터 적극적으로 문단에 접근하고 소설극이나 서구의 번안극 또는 신문에 게재된 범죄소설이나 탐정실화를 각색한 탐정극을 상연하여 비로소 신연극의 예풍(藝風)이 확립되었다. 이에 신파는 구파(舊派)와 대립할 수 있게 되어, 이때부터 ‘신파극(新派劇)’이라는 이름도 생기게 되었다.<ref name="글로벌_1"/>
 
이후 수년간 신파의 발전기가 계속되고, 처음 정치극에서 출발한 신파는 가정비극·화류비련극(花柳悲戀劇)을 상연하기에 이르면서 그 전성기(1904~1910)를 맞이하여, 신파극의 고전이라고 일컫는 대표적 상연 목록인 〈금색야차(金色夜叉)〉, 〈불여귀(不如歸)〉, 〈하소수(夏小袖)〉, 〈상부련(想夫戀)〉, 〈고야성(高野聖)〉, 〈부자매(浮姉妹)〉, 〈여부파(女夫波)〉, 〈신생애(新生涯)〉, 〈기지죄(己之罪)〉, 〈협염록(俠艶錄)〉을 갖추기에 이른 것이다.<ref name="글로벌_1"/>
 
한국에서 신파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912년 2월 18일자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임성구(林聖九) 일행의 혁신단(革新團)이 낸 제2회 공연광고에 ‘신파연극 원조(新派演劇元祖)’라고 이름지은 것이 그 시초다. 근래에 연극이나 영화의 그 연기나 드라마에 대해 ‘신파조(新派調)’란 말을 쓰는데 그것은 한마디로 말해서 멜로드라마틱하고 다소 과장된 가정비극적 연극을 말하게 된 연유가 여기에 있는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ref name="글로벌_1"/>
43번째 줄:
|꺾쇠표=예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분류:신파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