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 조각예술의 의의 ==
이미 조각이 우상(偶像)이나 건축장식 등과의 깊은 종속관계에서 벗어나 양괴나 공간을 실감하는 입체조형으로서의 자율성에 대해 오늘날만큼 명확하게 인식된 적은 없었다. 14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는 각 예술의 본질적인 성격에 대하여 논쟁을 반복한 기록이 남아 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회화론 에서도 회화와 조각을 비교하여 그 장단점을 논술하고 있다. 그 대의를 보면 “화가는 자연이나 원근법이나 명암법의 도움에 의하여 대단히 곤란한 화면에 공간을 표현할 수가 있으나 조각가는 색채의 변화나 성질을 변화시킬 수가 없다. 그림자(影)와 빛(光)의 문제는 조각에 있어서도 회화에 있어서도 중요하지만, 회화는 언제나 그 그림자와 빛을 자기자신이 지니고 있다. 조각은 투명한 물체를 표현할 수가 없다. 또한 빛이나 반영하는 형, 빛나는 물체, 구름이나 어두움, 자연의 변화무쌍한 현상의 효과를 낼 수가 없다. 조각가는 매우 노동적이고 비과학적이다. 그러나 회화는 보다 정신적이다” 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벤베누토 첼리니]](Benbenuto Cellini, 1500-1571, 이탈리아)는 조각가답게 다빈치의 말에 반론하고 있다. 그 대의는 “조각은 데생에 기초를 두는 다른 모든 예술 중에서 가장 위대하다. 그 이유는 8배나 많이 바라볼 수 있는 장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 저마다가 똑같이 아름답게 만들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 회화는 샘에 비친 영상(映像)에 불과하다”라고 진술하고 있다. 이들 논쟁에 대하여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미켈란젤로]](1475-1564)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같은 목적을 가진 것은 마찬가지이다. 작업의 엄격함이나 분량 등에 의하여 생기는 상위(相違)를 빼고서는 조각과 회화 사이에 아무런 가치의 차이는 없다.” 이렇듯 가벼운 논평에서 미켈란젤로가 위대한 조각가였음과 동시에 화가였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회화는 구상·추상 중 어느 표현형식을 취하건 간에 이미지(心象)의 가상(假象)임에는 틀림없다. 이에 반하여 조각은 실존하는 공간 속에 존재하는 물체로서 자립하는 양괴이다. 이 조건 위에서 조각가의 이미지가 구체화되기 위해서는양괴이며 소재와 기술과 용구(用具)가 공존하는 바탕이바탕에서 생긴다조각가의 이미지가 구체화 된다. 한편 미술사를 보면 조각이라는 작업이 거의 인체라는 하나의 테마에 바쳐져 있음을바쳐졌음을 알 수 있다(선사시대에는 동물이나 기호가 線彫된 것이 많지만). 인간이 자연과 싸우고 인간의 생과 사의 부조리(不條理)를 적어도 생각하게끔 되었다고 간주되는 시대가 되면되면서, 불변의 구상물로서 보여질 수 있는 소재에 인체를 파넣고 거기에 어떠한 종류의 의미를 표시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구체적으로 삼차원적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해서 고체의 견고함과 감촉이나 중량 따위따위는 복잡한 창작수속이나 기술적인 저항은 도리어 조각 그것 자체가 갖는 요소이고 숙명이어서 그 사실이 다른 예술과의 상이점이라고상이점이라 할 수 있다.<ref>{{글로벌세계대백과2|제목=조각예술의 의의|주소=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20&code=002002001000003000}}</ref>
 
== 조각의 분류 ==
20세기 초엽 무렵까지까지 즉 유럽에서 [[입체파]](立體派) 운동이 시작되기 이전까지는 이른바 입체를 형성하는 소재에 따라서 돌을 사용하면 석조(石彫), 나무를 사용하면 목조(木彫), 찰흙으로 원형(原形)을 만들면 소상이라는 명칭을 붙일 수가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소재에 대한 새로운 재질감과 현대의 복잡한 인간감정이 서로인간정서가 교차하여, 조소 표현도 단순히 구상적인 표현만에표현에만 멈추는한정된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새로운 소재의 개발은 단순히 덩어리로서의 과거의 입체감에덩어리로서의 그칠입체감 뿐만이 아니라 질적인 의미가 강해 입제척인 덩어리를 넘어서 연구되기에 이르렀다. 충실된 덩어리(塊, mass)가 투명한 질로 해방되어 종래의 조형구성의 상식을 훨씬 넘은 유동(流動)과 소멸(消滅)과 무한(無限)과 연속 등 지난 날의 조각가 꿈에도 생각할 수 없었던 세계로 사고의 촉수를 뻗치게끔 되었다. 이러한 발전 속에서 단순히 조소를 분류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편의상 대별(大別)를 시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 조소적인 수단에 의한 것 ===
(모델링) 브론즈상(像)·테라코타상(terracotta像)·도상(陶像)·건칠상(乾漆像)·시멘트조상(sement 彫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