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OREASTUDYDSB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32번째 줄:
명군이 전쟁의 판도를 바꾸었지만, 명나라가 개입하여 전쟁이 길어진 측면도 있다. 개전 1년 후 조선군은 오합지졸 병력 17만 5천을 운용하고 있었고 일본군은 도해 15만 중에서 승려와 의사를 위시해 전투 부대와 작전을 지원하는 非전투 요원 대부분을 포함해 7만 명 이상이 전사한 상태고 전선도 경상도 남부로 고착되었으나 전세가 불리할 때마다 일본은 강화를 요청하였고 피해나 위험 부담 없이 전쟁을 마무리하고 싶었던 명군은 조선 장수들의 공세 요구를 묵살하고 강화에 응하곤 하였다.
 
명군은 [[벽제관 전투]]에서 패하여 [[개성]]으로 한때 후퇴하였다. 이에 일본군은 한양에 집결하여 마침 함경도에서 철수하는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와 연합하여 [[행주산성]]을 공격하였다. 행주산성은 [[권율]]이 방어하던 곳으로서 일본군과 격전을 벌인 끝에 방어하였다. 행주산성에서 한 전투는[[행주대첩]]은 권율의 분전도 있었지만, {{출처|군사에 관련된 식견이 전혀 없으면서 지휘관으로 임무를 수행한 다이묘}}인 우키타승병을 히데이에와비롯한 이시다병사들의 미쓰나리라서용맹한 조선군의활약과 성을[[화차]]의 방어할활약이 매우 있었다컸다. 특히 이 공성전에서 [[우키타 히데이에]]는 부상(負傷)하였다. 행주산성 방어전은 [[김시민]]의 [[제1차 진주성 전투|진주성 전투]], [[이순신]]의 [[한산도 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첩 중 하나이다.
 
==== 강화 회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