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해능: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11.230.60.80(토론)의 13191577판 편집을 되돌림
→‎개요: 한국어표기이상
11번째 줄:
 
== 개요 ==
분해능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나타낸 사람은 아베였다(1873년). 위 식에서 광학기기의 분해능을 좋게 한다는 것은 d를 최대한 작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λ를 작게 하거나 θ를 크게 해야 한다. 그런데 가시광선에는 파장 0.4~0.5μm이라는 범위가 있으며, λ는 작아도 0.4μm이 한계이다. 또 θ는 입사광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이므로 sin θ는 1을 넘는 일이 없다. n은 공기에서 1, 물에서 1.33, 세다유에서시더유에서 1.51이다. λ, sin θ, n의 최대치를 취하여 분해능을 계산하면 d는 0.172μm가 된다. 즉, 광학기기의 분해능은 약 0.2μm약(弱)으로, 이 이상 접근한 두 점은 광학기기에서는 두 점으로 인정할 수가 없다.
 
분해능은 '해상력'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인간의 정상적인 눈은 75μm 간격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해능은 75μm가 된다. 그러나, 보려고 하는 물체가 약간 어두운 곳에 놓여 있어서 75μm의 간격은 분간할 수 없고 100μm는 판별할 수 있다면, 이런 경우 이 눈은 75μm의 분해능을 갖지만 100μm의 해상력밖에 발휘할 수 없다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분해능은 가장 좋은 조건하의 해상력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