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성의 고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주석: Replaced: {{reflist -> {{각주 using AWB
잔글 →‎레아의 고리계 존재 가능성: 치환됨: {{Main -> {{본문 using AWB
461번째 줄:
 
== 레아의 고리계 존재 가능성 ==
{{Main본문|레아의 고리}}
 
토성의 두번째로 큰 위성 [[레아 (위성)|레아]]는 고체 입자로 구성된 원반 내에 세 개의 좁은 띠를 포함하는 매우 작은 고리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가설화 되었다.<ref name="Jones2008">{{cite journal | title=The Dust Halo of Saturn's Largest Icy Moon, Rhea | url=http://www.sciencemag.org/cgi/content/short/319/5868/1380 | journal=Science | volume=319 | issue=5868 | pages=1380–1384 | publisher=AAAS | date=2008-03-07 | doi=10.1126/science.1151524 | pmid=18323452 |bibcode=2008Sci...319.1380J | display-authors=1 | last=Jones | first=Geraint H. | last2=Roussos | first2=E. | last3=Krupp | first3=N. | last4=Beckmann | first4=U. | last5=Coates | first5=A. J. | last6=Crary | first6=F. | last7=Dandouras | first7=I. | last8=Dikarev | first8=V. | last9=Dougherty | first9=M. K. | last10=Garnier | first10=P. | last11=Hansen | first11=C. J. | last12=Hendrix | first12=A. R. | last13=Hospodarsky | first13=G. B. | last14=Johnson | first14=R. E. | last15=Kempf | first15=S. | last16=Khurana | first16=K. K. | last17=Krimigis | first17=S. M. | last18=Krüger | first18=H. | last19=Kurth | first19=W. S. | last20=Lagg | first20=A. | last21=McAndrews | first21=H. J. | last22=Mitchell | first22=D. G. | last23=Paranicas | first23=C. | last24=Postberg | first24=F. | last25=Russell | first25=C. T. | last26=Saur | first26=J. | last27=Seiß | first27=M. | last28=Spahn | first28=F. | last29=Srama | first29=R. | last30=Strobel | first30=D. F. }}</ref><ref name="LakdawallaE">{{cite web | last=Lakdawalla | first=E. | title=A Ringed Moon of Saturn? Cassini Discovers Possible Rings at Rhea | work=[http://www.planetary.org/home/ The Planetary Society web site] | publisher=[[Planetary Society]] | date=2008-03-06 | url=http://planetary.org/news/2008/0306_A_Ringed_Moon_of_Saturn_Cassini.html | accessdate=2008-03-09 }}</ref> 이러한 가설상의 고리는 발견되지는 못했지만, 2005년 11월 카시니의 관측에서, 레아 근처에서의 토성의 자기권의 고에너지 전자의 부족으로부터 그 존재가 추정되었다. [[카시니-하위헌스|자기권 영상 기구]](''Magnetospheric Imaging Instrument'', MIMI)는 위성의 양면의 플라스마 흐름에서 세 개의 급격한 감소가 간간이 끼어드는, 거의 대칭적인 패턴을 보이는 부드러운 변화를 관측했다. 플라스마가 아마 수 데시미터에서 약 1미터 직경의 입자로 구성된 고밀도 고리 또는 고리 호를 포함하는 적도의 원반 모양의 고체 물질에 의해 흡수된 것이라면, 이를 설명할 수 있게 된다. 레아의 고리의 존재를 드러내는 더 최근의 증거 일부는 위성의 적도 2도 이내의 둘레 근처에 4분의 3 만큼 뻗어 있는, 일사불란하게 분포된 자외선상의 작고 밝은 점들의 집합이다. 이 점들은 궤도에서 벗어난 고리 물질의 충돌 지점으로써 설명된다.<ref name="Lakdawalla2">{{cite web | last=Lakdawalla | first=E. | title=Another possible piece of evidence for a Rhea ring | work=[http://planetary.org/blog/ The Planetary Society Blog] | publisher=[[Planetary Society]] | date=2009년 10월 5일 | url=http://planetary.org/blog/article/00002137/ | accessdate=2009-10-06 }}</ref> 그러나, 카시니의 목표가 된 가설상의 고리 면의 여러 각도에서의 관측에서는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그러한 불가사의한 특징에 대한 또다른 설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f name="sn.201006">{{cite web |url=http://news.sciencemag.org/sciencenow/2010/06/the-moon-rings-that-never-were.html |publisher=ScienceNow |title=The Moon Rings That Never Were|last=Kerr |first=Richard A. |date=2010-06-25 |accessdate=2010-08-05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