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 (고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ealist8706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보우'''(普愚: [[1301년|1301]]~[[1382년|1382]])는 [[고려]] 말 고승으로 [[불교]] 개혁에 힘쓴 [[승려]]이다. 호는 태고(太古){{.cw}}보허(普虛)이며, 속성은 홍씨(洪氏)이고 시호는 원증(圓證)이다.<ref name="글로벌-보우">[[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사/중세사회의 발전/고려 후기의 사회와 문화/고려 후기의 문화#보우|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고려 후기의 사회와 문화 > 고려 후기의 문화 > 보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ref name="글로벌-보우3">[[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한국의 사상/고려시대의 사상/고려시대의 불교사상#보우|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보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흔히 '''태고'''(太古) 또는 '''태고국사'''(太古國師)라 불린다.
 
고려말에 [[고려]]는 [[원나라]]에 재침략받고 이어 그 지배하에 들어가는 사회상 불안에 따른 불교단의 타락과 오랫동안 쌓여온 기복 불교(祈福 佛敎)의 폐단은 마침내 고려 사회에 [[배불]]의 싹을 마련하고 있었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한국의 사상/고려시대의 사상/고려시대의 불교사상#보우의 9산통합|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槪說〕 > 보우의 9산통합]],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한편 원나라의 쇠퇴는 [[공민왕]]에게 정치상 자주성을 되찾을 기회를 주어 복고 정치를 과감히 수행해 갔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보우와 [[혜근]]은 이런 세상에 출현하여 [[임제종]]의 선풍(禪風)으로 불교를 일상 현실에 살리려고 하였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이러한 사람이들 중에서도 보우는 특히 이런 사상을 강하게 나타내어보우는 [[구산]]의 통합을 시도하여 그 과제를 [[조선]] 대(代)에 넘겨주었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공민왕이 뒤에 요승이라고훗날 《[[청사 (책)|청사]]》(靑史)에 요승이라고 기록된 [[신돈]]을 기용하여 실정한 탓에 배불하는배불의 기운이 비등하였고 고려는 멸망하는멸망의 일로를길을 걸었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이에 [[불교]]도 운명을 함께하여 조선 전체가 관여하는 배불책 탓에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탄압받아 쇠락하는 과정을 겪었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보우와 혜근을 함께 이은 [[혼수 (승려)|혼수]]의 법맥이 조선에 이어졌다.<ref name="글로벌-보우의 9산통합"/>
 
== 생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