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대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221.147.107.111(토론)의 12785338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고려시대]] 개성성균관 자리에는 [[고려 문종]]의 별궁이 있었는데 순천관(順天館, 외국사신들이 들르던 숙소)·숭문관(崇文館, 교육기관)으로 변천되어 오다가 [[고려 선종]] 6년([[1089년]])에 [[국자감 (고려)|국자감]](國子監, 최고 [[유교]] 교육기관)을 이곳에 옮겨왔으며, [[고려시대]]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지고, 지금의 건물은 [[조선 선조]] 35년([[1602년]]) ∼ [[조선 광해군]] 2년([[1610년]]) 사이에 다시 지은 것이다. 그 가운데 대성전(大成殿)과 서쪽의 재(齋)는 [[조선 선조]] 35년([[1602년]])에 짓고, 명륜당(明倫堂)과 동무(東廡)·서무(西廡)는 [[조선 선조]] 38년([[1605년]])에 다시 지었다.
 
[[조선시대]]의 [[국립]] 고등교육기관으로는 [[조선 태조]] 7년([[1398년]])에 준공된 [[성균관]]이 있는데 [[고려 충선왕]] 2년([[1310년]]) [[개성]]에 있던 [[성균관]]과는 다른 건물이다. [[조선시대]] 최고의 [[국립]] 교육기관 [[성균관]]은 [[고려시대]] [[국자감 (고려)|국자감]]의 전통을 이어받아 [[사서]]와 [[오경]] 등을 기본으로 했다. 교육방법은 강독(講讀), 제술(製述), 서법(書法)으로 이뤄졌다. 또한 [[성균관]] 내에는 오늘날 학생총회에 해당하는 재회(齋會)가 존재하여 학자의 사기를 진작하고 존중하는 기풍이 전통으로 내려왔다. <ref name="교육기관">{{뉴스 인용|url=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038028|제목='서울'·'님'… 한국인 삶 깃든 언어·유교사상 씨앗|이름성명=권성하 기자|작성일자=2012-12-10|출판사=대전일보|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2-12-12}}</ref><ref>{{뉴스 인용|url=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3471&yy=2012|제목=大幹 숨을 고르다-황악, 유학의 본산 향교|이름성명=박용우 특임기자|작성일자=2012-11-30|출판사=매일신문|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2-12-12}} </ref><ref>{{뉴스 인용|url=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55248|제목=서울대 통합 논란... 조선이 더 '진보적'이네|이름성명=김종성 기자|작성일자=2012-07-12|출판사=오마이뉴스|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2-12-12}}</ref>
 
[[조선 태조]] 7년([[1398년]])에 [[조선 태조|태조]]는 숭교방(崇敎坊一明儉洞)에 [[성균관]] 건물을 준공하고 [[고려]] 제도대로 유학(儒學)을 강의하는 명륜당(明倫堂), [[공자]](孔子)를 모신 문묘(文廟), 유생들이 거처하는 재(齋)를 두었으며, [[조선 태종|태종]]은 땅과 노비를 지급하고 친히 문묘에서 제사를 지냈고 왕세자의 입학을 명령하였다. 이후 이것은 상례가 되었으며 여러 왕을 거치는 동안 경기도 연해의 섬(島), [[전라남도]] 해안의 어장(漁場)과 많은 땅이 부속되었다. 규모는 [[조선 성종|성종]] 때에 완성되었는데, 향관청(享官聽)과 존경각(尊經閣·도서관)도 이때 증설되었고, [[조선 현종|현종]] 때에 비천당(不闡堂·과거장), [[조선 숙종|숙종]] 때 계성당(啓聖堂)이 세워졌다.
31번째 줄:
더구나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한국의 군정기|미군정기]]를 거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는 3년간 국내 고등교육계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서울대학교|서울대]]는 [[국대안 파동]]을 겪으면서 국대안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논란 끝에 안정화의 길로 접어들었고 사립 전문학교들의 [[대학]] 승격과 신규 [[대학]]의 설립이 이뤄졌다. [[광복]] 후 [[전문대학]]으로 있던 [[연세대학교|연희전문]], [[고려대학교|보성전문]], [[이화여자대학교|이화여전]] 등이 종합대학으로 승격되고, [[부산대학교|국립부산대]], [[한국해양대학교|국립해양대]] 등 [[국립대]]도 설립되었다.
 
또한 역시 2년제 [[전문대학]]의 형태로 운영되던 [[종로구]] [[혜화동]]의 [[동국대학교|혜화전문학교]](惠化專門學敎)가 [[1946년]] [[9월 20일]], [[동국대학교|동국대]]로 설립인가를 받았고 [[종로구]] [[명륜동]]의 [[성균관대학교|명륜전문학교]](明倫專門學敎)는 [[1946년]] [[9월 25일]],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로 설립인가를 받았는데, [[종로구]] [[낙원동 (서울)|낙원동]]의 [[단국대학교|단국대]]는 [[1947년]] [[11월 1일]]에 [[광복]] 최초 4년제 대학으로 정식 설립인가를 받았다. [[1948년]]에는 [[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대]], [[중앙대학교|중앙대]], [[한양대학교|한양대]], [[국민대학교|국민대]], [[1949년]]에는 [[건국대학교|건국대]], [[홍익대학교|홍익대]]가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1949년]]에 가인가를 받았던 [[경희대학교|경희대]]는 [[1952년]]에 정식 설립인가를 받았고 일제때 [[평양]]에 있다가 폐교되었던 [[숭실대학교|숭실대]]는 [[1954년]] [[4월 15일]], 당시 [[문교부]]로부터 정식 설립인가를 받았다.([[한국대학신문]]의 [[광복]]이후 정규대학 설립인가 현황([[1946년]]~[[1954년]]) 참조)<ref name="해방후 국내 대학설립인가 현황">{{뉴스 인용|url=http://www.unn.net/ColumnIssue/Univ50Detail.asp?idx=11&n4_page=1&n1_category=1|제목=미 군정기 대학 설립 봇물|이름성명=한국대학신문|작성일자=2004-01-15|출판사=한국대학신문|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0-03-01}}</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6/25/2011062500034.html|제목="1953년 戰禍 속 졸업생에게" 김창숙 선생 친필 훈사 발견|이름성명=곽래건 기자|작성일자=2011-06-25|출판사=조선일보|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1-06-25}} </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3/all/20110625/38299890/1|제목=成大 창립자 김창숙 선생의 1953년 졸업훈사 공개|이름성명=손효주 기자|작성일자=2011-06-25|출판사=동아일보|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1-06-25}}</ref>
 
광복 후 당시 문교부에 등록된 한국 내 《대학설립인가의 현황<ref name="해방후 국내 대학설립인가 현황"/>》을 보면 이같은 사실을 알 수 있는데 [[서울대학교]]는 원래 [[1924년]] 일제가 세운 [[경성제국대학교]]로 출발하였으나 해방후 정립한 [[1946년]] [[8월 22일]]을 [[서울대학교]]의 개교일로 잡아 지금까지 기념해 오고 있다. 참고로 인가서를 기준으로 하면 [[이화여자대학교|이화여대]]가 신청일자가 [[1946년]] [[6월 24일]]로 기록된 제1호 인가서를, [[연세대학교|연희(연세)대]]는 [[1946년]] [[7월 31일]]로 기록된 제2호 인가서를 미군정청 학무국으로부터 받았으며, [[고려대학교|고려대]]는 신청일자가 [[1946년]] [[8월 5일]]로 기록된 제3호 인가서를 받아 [[8월 15일]]에 전격적으로 발표한 종합대학 승격의 법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unn.net/ColumnIssue/Univ50Detail.asp?idx=10&n4_page=1&n1_category=1|제목=여자대학에 1호 인가서가 웬 말?|이름성명=한국대학신문|작성일자=2004-01-15|출판사=한국대학신문|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1-01-11}}</ref>
 
2000년대 이후에는 [[대한민국]]의 출산률은 계속 줄고 있는데 대학의 진학률은 늘고 있다. 실제로 전산업 취업유발계수(투자액 10억원당 유발되는 취업자 수)가 [[2000년]] 18.1에서 [[2007년]] 13.9로 감소하였으며, 대학진학률은 [[1990년]] 33.2%에서 [[2009년]] 81.9%로 48.7%p 급증했다. 세계적으로 제조업 경쟁력을 보유한 [[독일]]도 대학진학률이 50%대임을 감안하면, [[대한민국]]의 고학력 노동공급은 가히 장대비 수준이라는 전문인의 분석이 나오고 있다. <ref>[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3/08/2010030800086.html "여학생 대학진학률 남학생 앞질렀다"], 김연주 기자, 조선일보, 2010-03-08</ref> 그러나 [[2010년]] 조사로 40%의 국민이 [[대학]] 진학이 필수가 아니다라는 생각을 가지면서 점차 의식이 변화하고 있다.<ref>[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0/10/31/0706000000AKR20101031022900004.HTML "국민 40%, 대학진학 `필수' 아니다"], 김효정 기자, 연합뉴스, 2010-10-31</ref>.<ref>{{뉴스 인용|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412053|제목=국민 40% “대학진학 필수 아니다”|이름성명=홍성율 기자|작성일자=2010-11-01|출판사=아시아투데이|언어=한국어|확인일자=2011-07-15}}</ref>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