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Hui-Gyeong Yun(토론)의 13619789판 편집을 되돌림
Hui-Gyeong Yun(토론)의 13619779판 편집을 되돌림
2번째 줄:
[[파일:Artesanía de Salta.jpg|thumb|공예]]
 
'''공예'''(工藝)는 인간의 일상 생활에서생활주변에서 주로 사용되며, 재료·의장(意匠)·기교 등에 의해서 미적 효과를 가진 도구와 기타 물품, 그리고 그 제작을 총칭한다. 직접적인 실용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회화·조각과 구별된다. 공예는 건축과 더불어 이른바 응용예술 분야에 속하고 있으나, 건축은 그 주된 요인이 구축체(構築體)와 내부·외부 공간의 형성에 있는 데 대해, 공예는 그 주된 요인이 광의에 있어서의 물품의 장식적 기능에 있다.
 
== 특징 ==
공예는 조형예술의 다른 부분에 비해 그 고유한 영역을 규정하기가 어렵다. 근대 이전에는 공업과 미술의 중간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며, 특히 19세기 중엽 이후부터는 점차로 공업적인 요소가 도입되는 한편, 미술과의 교류가 광범위하게 증가하고 있는 까닭이다. 개인 작가의 수공예로 만들어진 일품제작(一品製作)으로서 특히 완상에 중점을 두고 실용성에는 별로 치중하지 않은 것을 미술공예라 하고, 일정한 규격을 바탕으로 기계에 의해서 양산되는 것을 생산공예라고 하여 서로 대립시키기도 한다. 산업혁명을 경계로 하여 공예의 양상이 일변해서 대세로서는 생산공예 편으로 기울고 있으나, 오늘날에도 수공예(handicraft)는 존중되며, 전통공예라는 명칭으로 기계공예와 구별된다. 민예(民藝) 또한 이 수공예의 일종이며 특정작가의 것이 아니라 지역적·민족적 특성이 농후한 공예다.
공예는 조형예술의 다른 부분에 비해 그 고유한 영역을 규정하기가 어려우나 실용적 가치와 심미적 가치를 함께 지닌 조형물의 총칭한다.
공예라는 말은 사람들이 만든 조형물(造形物)중에서 미적 가치가 있는 미술품으로서의 공예미술을 뜻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공예라는 말은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구로서 사람의 창의나 예지를 거처 만들어진 생활용구를 말한다.
 
동양
중국 당대(唐代)의 염립덕전(閻立德傳)이라는 전기(傳記)속에서 공예(工藝)를 언급되며 여기서 공예의 의미는 오늘의 미술에 해당되는 포괄적 의미였으며 공(工)이란 만드는 것을 뜻하며, 예(藝)란 기술을 뜻하는데, 여기선 아주 드믈게 보는 기술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서양
1800년경 영국이 미술을 Fine Art와 Applied Art(응용미술), 두 가지 말로 표현했는데, 여기서 Applied Art는 오늘날 공예에 해당된다.
1888년 윌리암 모리스(William Morris)의 The Arts and Crafts Exhibition Society(수 공예집단)의 명칭에서 Craft라는 말이 사용되는데, Craft는 손재주를 가리키는 것으로 직공의 숙련된 손기술과 참다운 예술성을 뜻하는 Art가 합쳐져 오늘날의 공예에 가깝게 사용된다.
 
우리나라
16세기 이후의 여러 문헌에 등장하는 '셩녕' 이 '공예'와 가장 유사한 개념을 가진 말로 '셩녕'은 공장(工匠)이 '공예품을 만드는 일'을 포괄적으로 뜻하는 말로 쓰였다.
정속언해(正俗諺解)나 능엄경언해(愣嚴經諺)에서 공예인에 해당하는 직업을 '셩녕바지'라 번역하고 있다. '셩녕'은 생활한다. 일한다라는 뜻을 함축하면서 일상생활에서의 세간붙이를 제작하거나 마련하는 일, 즉 오늘날의 '공예'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개인 작가의 수공예로 만들어진 일품제작(一品製作)으로서 특히 완상에 중점을 두고 실용성에는 별로 치중하지 않은 것을 미술공예라 하고, 일정한 규격을 바탕으로 기계에 의해서 양산되는 것을 생산공예라고 하여 서로 대립시키기도 한다. 산업혁명을 경계로 하여 공예의 양상이 일변해서 대세로서는 생산공예 편으로 기울고 있으나, 오늘날에도 수공예(handicraft)는 존중되며, 전통공예라는 명칭으로 기계공예와 구별된다. 민예(民藝) 또한 이 수공예의 일종이며 특정작가의 것이 아니라 지역적·민족적 특성이 농후한 공예다.
 
==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