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암기적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수정
23번째 줄:
비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조가 연잉군((延?君)으로 있었을 때인 경종 원년(1721) 8월 15일 부친 숙종의 탄신일을 맞아 명릉을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농사(農舍)에서 닷새 동안 머물렀다. 장차 대궐로 돌아가 기거하기 위해 말 한 필과 시동(侍童) 두 명을 데리고 저녁에 출발했는데, 덕수천(德水川)에 이르러 밤이 깊고 불도 없어 금암(黔巖)의 참사(站舍)에서 쉬게 되었다. 그때 어떤 사람이 소를 몰고 앞내를 건너고 있었는데, 뒤따르던 사람이 도둑이라고 알렸다. 영조는 이를 보고 안타까워하며 참장(站將) 이성신(李聖臣)에게 “작년의 흉년으로 기한(飢寒)이 닥친 것이다. 그러나 농부에게 소가 없으면 무엇으로 밭을 갈겠는가? 참장이 비록 낮은 관리이나 그 또한 직책이니 그대가 처리하라”고 했다. 이에 참장은 소를 주인에게 돌려주고 도적을 관청에 알리지 않았다. 날이 밝자 길을 떠나 도성에 도착했는데, 이미 연잉군이 세제(世弟)로 책봉되어 학가(鶴駕, 세자의 수레)가 궁문 밖에서 의례를 갖추고 있었다. 그 뒤 영조 32년(1756년) 봄 영조는 명릉에 일이 있어 거둥하는 차에 그 참사에서 다시 머무르게 되었고, 이에 이성신을 찾았으나 이미 사망한 뒤였으므로 그의 아들 이인량(李寅亮)을 찾아 활과 화살을 하사하고 아비의 옛 관직을 주어 세습하도록 하였다.
 
정조는 할아버지 영조가 1721년 8월 15일 숙종(1661~1720)의 회갑을 맞이하여 명릉을 참배한 뒤 농사에 머물며 한 마디 말로 백성에게 은덕을 베풀었던 그날이 바로 세제에 책봉되던 날이었음은 하늘이 내린 상서로운 인연이며, 50여 년간 재위하며 세상에 많은 은덕을 베푼 치적의 징조가 바로 그것이었다고 찬미하였다.
 
== 비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