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지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BaRokoko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BaRokoko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 중시조 = 지종해 (池宗海)
| 집성촌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br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br />[[평안북도]] [[정주군]]<br />[[충청북도]] [[괴산군]]<br />[[충청남도]] [[부여군]]<br />[[충청남도]] [[아산시]]<br />[[전라북도]] [[부안군]]<br />[[전라남도]] [[완도군]]<br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순천시]]<br />[[제주도]]
| 인물 = [[지자심]], [[지윤보]], [[지용기]], [[지용수]], [[지윤]], [[성빈 지씨]], [[숙의 지씨]], [[지유용]], [[지정]], [[지달하]], [[지성해]], [[지덕해]], [[지여해]], [[지계최]], [[지광한]], [[지천석]], [[지운영]], [[지석영]], [[지청천]], [[지달수]], [[지복영]], [[지갑종]], [[지연태]], [[지종걸]], [[지순]], [[지상욱]], [[지석진]], [[지진희]], [[지석훈]], [[지창욱]], [[지소연]]
| 년도 = 2000
| 인구 = 118,211명
39번째 줄: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0명, 무과 급제자 83명, 생원·진사시 36명을 배출하였다. 근대 인물로는 [[조선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종두법을 도입한 [[지석영]], 독립운동가 [[지청천]] 장군 등이 있다.
 
* [[지자심]](池資深, 1149년 ~ ?) : 고려 중기 문신. 벼슬은 평장사, 호부시랑, 경상도 안찰사.<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0912 동국통감 권29 고려기(東國通鑑 卷29 高麗紀) 고려 신종 5년, 임술년(壬戌年), 1202년]</ref> 부인은 김씨. [[평강 채씨]] 시조 태사 채송년의 외조부
 
* [[지윤보]](池允輔, ? ~ 1295년) : 고려 후기 무신. 1280년(충렬왕 6) 장군으로 임비(林庇)와 함께 시사(侍史) 심양(沈陽)을 숭문관(崇文館)에서 국문하였으며, 1282년에는 앞서 세자를 시종한 공으로 대장군으로서 2등공신이 되었다.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에 이르러 치사하였다.
 
* '''[[지용기]]'''(池湧奇, 1330년 ~ 1392년) : 고려 후기 문신. 공민왕 때 삼사우윤(三司右尹)을 지내고, 우왕 초에는 예의판서(禮儀判書)를 거쳐 밀직부사(密直副使)·밀직사동지사(密直司同知事)를 역임하고 수성분의공신(輸城奮義功臣)의 호를 받았다. 1378년(우왕 4) 전라도 도순문사(都巡問使)가 되어 왜구를 격파하고, 1381년 밀직사지사(密直司知事)로서 전라도 원수(元帥)가 되어 정읍(井邑) 등지에서 왜구를 격퇴했다. 이듬해 양광(楊廣)·전라·경상도의 조전원수(助戰元帥)로 기용되어 이을진(李乙珍)과 함께 반남현(潘南縣)에서 왜구를 격퇴하고 1384년 문하평리(門下評理)가 되었다. 이듬해 밀직사지사(密直司知事)로서 양광도 도순문사가 되고 1388년(우왕 14) 요동 공격 때 안주도 부원수(安州道副元帥)로서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 이성계(李成桂)의 지휘하에서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가담, 1389년(공양왕 1) 이성계와 함께 공양왕을 세워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임명되고, 중흥공신(中興功臣)의 호를 받았으며 충의군(忠義君)에 봉해졌다. 그 뒤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이르렀으나 이·초(彛初)의 옥에 연루된 김종연(金宗衍)의 당인으로 지적되어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
 
* [[지용수]](池龍壽) : 고려 말기의 무신. 아버지는 시중 평장사(侍中平章事) 지환(池桓)이고, 외손자는 조선 세종 때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최만리]](崔萬理)이다. 고려 충목왕 때 현릉직(顯陵直)으로 보임되었다. 공민왕(恭愍王) 때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하자 안우(安祐)를 도와 경성(京城) 수복에 공을 세워 이듬해 1등공신(一等功臣)이 되었고,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가 되었다가, 전공판서(典工判書)로 옮겼으며, 규의선력공신(揆義宣力功臣)의 호를 하사받았다. 안우경(安遇慶) 등과 함께 덕흥군(德興君)의 군대를 격퇴한 공으로 추성규의선력공신(推誠揆義宣力功臣)의 호를 더하여 하사받았다. 이후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 임명되었다가 거듭 승진해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었으며, 다시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로 제수 받았다. 1365년(공민왕 14) 밀직사(密直司), 지도첨의(知都僉議), 상원수(上元帥)가 되고, 이듬해 첨의평리(僉議評理)로 교동에 침입한 왜구(倭寇)를 격파하였다. 1367년 서북면 도순문사가 되었다. 1369년(공민왕 18) 서북면 상원수(上元帥) 겸 평양윤(平壤尹)이 되었다. 벼슬은 문하시중 찬성사(門下侍中贊成事) 겸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하였다.
 
* '''[[지윤]]'''(池奫, ? ∼ 1377년) : 고려 후기 무신. 고려 공민왕 말년에 판숭경부사(判崇敬府事)가 되었으며, 서북면원수·경상도상원수 등 출정군(出征軍)의 지휘관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우왕 때에는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판판도사사(判版圖司事)가 되어 재상에 올랐는데, 당시의 권신(權臣)인 [[이인임]](李仁任)과 한패가 되어 친원정책을 비판하는 임박(林樸)·[[정도전]](鄭道傳)·박상충(朴尙衷) 등을 탄압하였다. 그러나 아들 지익겸(益謙)을 왜구토벌의 지휘관으로 내보내는 문제 등으로 점차 이인임과 사이가 나빠졌는데, 기회를 엿보던 이인임이 김승득(金承得)·이열(李悅)·화지원(華之元) 등 자신의 심복들을 정부비방죄로 몰아 유배시키자, 이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지신사(知申事) 김윤승(金允升)과 공모하여 이인임·최영 등을 제거하려고 하였으나 결국 실패하였다.
 
* [[지유용]](池有容, 1363년 ~ 1437년) : 조선 전기의 문신. 1426년(세종 8) 지영강현사(知永康縣事), 영강진첨절제사(永康鎭僉節制使)를 거쳐 1430년(세종 12) 우군첨총제(右軍僉摠制)로 임명되었고 1432년(세종 14) 판경성군사로 있을 때 경원을 군마로 부방(赴防)할 것과 공물의 감면을 상언하였다. 판경성부사(判鏡城府事), 종성도호부사(鍾城都護府使), 강계부사(江界府使), 판의주목사(判義州牧事) 등을 역임하였다.
 
* [[지계강]](池繼江, 1422년 ~ 1460년) : 첨지중추원사, 상호군, 곽산군수, 증 병조참의
 
* [[지달하]](池達河) : 조선 초기 문신. 지용기의 6대손으로 1465년(세조 11) 진사로서, 춘장문과에 정과로 급제했다. 1481년(성종 12) 이전에 병조정랑(兵曹正郞)이 되고, 이어 이조정랑을 역임하였다. 1489년(성종 20) 한어(漢語, 중국어)에 능하고, 중국과 우리 나라간에 주고 받는 외교문서와 관청의 공문서에 사용된 이문(吏文)에 능하며, 또한 심행(心行)이 독실(篤實)해 타의 모범이 된다 하여 승문원관에 제수되었다. 이후 한어와 이문의 교육에 전념하였고, 같은 관아의 최고 녹관인 정3품 판교(判校)를 역임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1585 지달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줄 52 ⟶ 62:
* '''[[지여해]]'''(池汝海, 1591년 ∼ 1636년) : 조선 중기의 무신. 자는 수지(受之). 고려의 명장 충의군(忠義君) 지용기(湧奇)의 8대손이며, [[송시열]]의 외조부이다. 시직 지영수(永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지운(芸)이고, 아버지는 사과 지경담(景湛)이며, 어머니는 선교랑(宣敎郞) 김정현(金挺賢)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영변통판으로 300여 군사를 이끌고 운산의 적을 기습, 패주시켰다. 이 전공으로 절충장군 ( 折衝將軍 )에 올라 용천부사가 되었으나 모함하는 자의 참소로 의주에 충군(充軍)되었다. 배소에 있을 때 가도(假島)에 주둔한 명나라 장수 유흥치(劉興治)의 변란에 백의종군하여 큰 공을 세우고 장연부사가 되었다가 얼마 뒤 철산부사가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체찰사 김류(金濫)의 비장 (裨將)으로서 지략을 발휘하였다.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적의 포위 속에 있을 때 김류에게 출전을 간청하여 임금의 허락을 받고 어영포수(御營砲手) 200여 명을 이끌고 나아가 싸우다 전원이 전사하였다. 패보를 접한 인조는 매우 슬퍼하고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를 추증하고 전사자를 수습하여 매장하게 하였다.
 
* '''[[지계최]]'''(池繼崔, ? ∼ 1636년) : 조선 중기의 무신. 1623년([[조선 인조]] 1) 도원수(都元帥) 장만(張晩)의 휘하에서 서로소모별장(西路召募別將)이 되었다. 1624년 부원수 이괄(李适)이 강적(姜適)을 보내어 반란에 가담할 것을 종용했으나 거절하고 강적을 죽였다. 이괄이 난을 일으키자 안현(鞍峴)에서 정충신(鄭忠信) ·남이흥(南以興) 등과 적을 진압시켜 진무공신(振武功臣) 3등에 책록, 충성군(忠城君)에 봉해졌다. 1631년 희천군수(熙川郡守)를 지낸 뒤 서흥부사(瑞興府使)로 나가 선정을 하였고, 1636년 병자호란 때 원수(元帥) 김자점(金自點)의 소모장(召募將)이 되어 서흥 검수참(劍水站)에서 용전하다가 전세가 불리하자 남한산성으로 철수하다 신계(新溪)에서 포위되자 자결하였다. 한성부판윤에 추증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071 지계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지광한]](池光翰, 1659년 ∼ 1756년) :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자는 휘보(輝甫), 호는 설악(雪嶽)‧대충와(大蟲窩). 충청도 청주(淸州) 와송리(臥松里)에서 출생하였다. 7세에 『소학(小學)』을 배우고, 9세에 문리(文理)를 깨우쳤다. 1731년(영조 7) 함안(咸安)의 안인촌(安仁村)으로 이사하여 『홍사(鴻史)』를 지었다. 『지씨홍사(池氏鴻史)』라고도 불리는 이 책은 반고(盤古)에서부터 명(明)나라까지 제왕통기(帝王統紀) 16편, 열전 32편 등으로 편제되어 있다. 1734년(영조 10) 진양(晉陽), 사천(泗川) 등지를 유람하며 유림시객(儒林詩客)들과 교유하다가 함안으로 돌아와 자호를 대충와(大蟲窩)로 지었다. 이외 취은준(醉隱寯), 취은옹(醉隱翁), 설루자(雪樓子), 은구암(隱求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43세 때는 현풍현(玄風縣)으로 이사하여 서당을 열어 제자들을 키웠다. 또 『기전첩록(紀傳捷錄)』을 편술하기도 했다. 48세 되던 해인 1742년(영조 18) 다시 공주(公州) 한적동(寒寂洞)으로 이사하였다. 53세 때 「지씨가훈(池氏家訓)」과 「자림(字林)」을 저술했고, 이듬해에는 「소학조례(小學條例)」, 「절주음(絶酒飲)」을 지었다. 이때 자호를 설루자(雪樓子)라 했으니, 이는 앵화설월(櫻花雪月)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후 60세 때 남쪽을 여행하다 가야산(伽倻山)에서 대설을 만나니 자호를 설악(雪嶽)이라 짓고 「설악전(雪嶽傳)」을 지었다. 1756년([[조선 영조]] 32) 7월 4일 사망하여 공주 낭월(朗月: 지금의 [[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에 장사지냈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b_A1659_1_0016464 지광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지천석]](池天錫) : 조선 후기 문신. 자 대수(大受). 호 호산(壺山). 숙종 때 과거문과에 급제하여 正郞(정랑)을 지냈다.
 
* '''[[지석영]]'''(池錫永, 1855년 ~ 1935년) : 조선 후기의 문신·정치인·의사·국문학자. 자는 공윤(公胤), 호는 송촌(松村), 서울 출신. 1879년 부산에 있던 일본 해군병원 제생의원(濟生醫院)에서 종두법을 배우고 그해 겨울 처가가 있는 충주 덕산면(德山面)에서 40여 명에게 종두를 시술했는데, 이것이 한국에서 공개적으로 실시된 최초의 종두로 알려져 있다. 이듬해 서울에서도 부산제생의원에서 보내온 두묘(痘苗)로 종두를 실시했다. 1880년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건너가 일본 위생국에서 두묘의 제조법과 독우(犢牛)의 채장법(採漿法) 등을 배우고 귀국한 뒤 우두국(牛痘局)을 설치하여 종두를 실시하고 그 방법을 가르쳤다. [[조선 고종]] 20년(1883년)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참의, 동래부사를 지내고 1885년 《우두신설(牛痘新說)》을 저술했다. 1899년부터 10년간 경성의학교 교장으로 있었다. 그는 국문연구에도 공헌하였다. 1905년에는 신정국문(新訂國文) 6개조를 왕에게 상소하여 공포케 하고 학부안에 국문연구소를 설치케 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254 지석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줄 69 ⟶ 79:
 
;문과
[[지달하]](池達河) 지덕빈(池德斌) [[지덕해]](池德海) 지봉령(池鳳翎) 지붕현(池鵬鉉) [[지석영]](池錫永) [[지성해]](池成海) 지응룡(池應龍) 지천석(池天錫) 지흠(池欽)
 
;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