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 (생물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김고-공대생들(2528)(토론)의 14537878판 편집을 되돌림
4번째 줄:
기생은 번식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또, [[포식]]과 구별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한편 [[공생]]과 확실하게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회충]]이나 [[촌충]]과 같이 다른 동물의 몸 속에 살면서 양분을 섭취하는 동물을 '내부 기생충'이라고 한다. 이에 반해, 이나 벼룩과 같이 다른 동물의 몸표면에 살면서 영양분을 취하는 동물은 '외부 기생충'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다른 동물에서 먹이를 얻고 있는 점에서 기생은 포식과 똑같은 생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기생벌의 포식 기생의 경우는 포식과 기생을 엄밀하게 구별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는 외부 기생충이지만, 벼룩류는 보통 숙주에 의존하는 정도가 낮아서 [[숙주]] 주위를 돌아다니는 일조차 있다. 피를 빨아먹을 때만 [[숙주]]에게 다가가는 [[빈대]]·[[등에]]·[[모기]] 등도 기생충인지 포식충인지를 구별하기 어렵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포식하는 동물([[포식자]])이 포식당하는 동물([[피식자]])보다 대형이거나 적어도 같은 정도의 크기인 데 비하여, 기생은 숙주에 비하여 기생충 쪽이 훨씬 작다. 또 일반적으로 포식의 경우는 포식자가 먹이인 피식자를 죽여버리는데 반해, 기생의 경우는 기생충의 작용에 의하여 숙주가 병에 걸려 죽는 일도 많으나, 기생 그 자체가 직접적으로 숙주의 죽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즉 포식은 자본(資本)을 먹고, 기생은 이자(利子)를 먹는 셈이다.
생물학 / 생태학에서는 기생은 기생동물이나 기생충이 숙주를 희생하고 이익을 얻는 종 사이의 비상호적인 공생 관계이다. 전통적으로 기생충은 주로 육안으로 보이는 생물 또는 (예를 들어, 기생충 등) 대형 기생 생물 말한다. 기생충은 현재 바이러스, 박테리아, 원생 동물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작은 기생 미생물들과 식물 미슬토와 실새삼 및 십이지장충 등의 동물을 포함한다,
 
열대 지방의 [[박쥐]]에게 기생하는 [[박쥐이파리]]라는 [[파리]]가 있다. 이것의 암컷은 처음에는 보통의 파리인데 긴 주둥이로 박쥐의 피부를 뚫어 공간을 만들고 그 속으로 잠입하면 날개와 다리가 떨어지고 배가 부풀어 플라스크 모양의 자루와 같은 몸으로 변해 버리며, 그 몸은 뒤끝만이 밖으로 나와 있어 외부에서 보인다. 이렇게 하여 [[항문]]으로부터 성숙한 [[유충]]을 출산한다.
육식 동물과는 달리, 기생충은 일반적으로 그 숙주보다 훨씬 작고 종종 숙주 속이나 위에서 장시간 살아간다. 둘 모두 소비자의 자원 간의 상호 작용의 특별한 경우이다. 기생충은 높은 수준의 분화를 보여주고 숙주보다 빠른 속도로 재생한다. 기생의 전형적인 예는 척추동물을 숙주로 하는 촌충, 흡충 말라리아 원충 및 벼룩 사이의 상호 작용이 포함된다. 기생은 일반적으로 그 숙주를 죽이는 포식기생관계와는 다르다.
 
한편, 수컷은 보통의 파리 모양을 하고 있는 외부 기생충이다. [[사무라이개미]]의 일개미 무리는 여름의 오후에 근처의 곰개미집으로 [[번데기]]를 약탈하러 가는데, 저항하는 [[곰개미]]는 큰 입으로 물어 죽인다. 그리하여 사무라이개미의 집에서 우화한 곰개미의 일개미는 사무라이개미를 위해 일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를 보통 '노예 사냥'이라고 말하는데 이것은 기생의 특수한 경우이다.
기생충은 이차 성징의 장애나 기생 거세 등의 일반 또는 전문적인 병리를 통해 숙주 동작의 생체 적합성을 감소시킨다. 기생충은 그들의 생존에 필요한 자원(식량, 물, 열, 서식지 등)을 숙주를 이용하여 충족한다. 기생은 많은 경우에 명확하게 적용되지만, 한쪽의 독점 카테고리라기 보다는 종간의 상호 작용 유형의 연속체의 일부이다. 대부분의 경우 숙주가 손상되었는지를 검증하는 것은 어렵다. 그렇지 않으면 기생충은 특정 분화를 하지 않고 또는 생물 간의 상호 작용이 오래 가지 못할 것이다.
 
== 형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