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형건김 (토론 | 기여)
태그: m 모바일 웹
115번째 줄:
1948년 [[2월]] [[북조선노동당]]중앙위원 및 제1기 [[최고인민회의|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3월]]의 [[조선로동당]] 통합준비 2차 대회에 정치위원의 한사람으로 참여하였다. [[9월]] 북한 정부가 수립되자 재정상(財政相)을 맡았다. <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809110032920101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8-09-11&officeId=00032&pageNo=1&printNo=601&publishType=00020 |제목 = 김일성내각 組閣을 완료 |출판사 =경향신문 |작성일자 = 1948-9-11 |쪽 = 1 |인용문 = <!--【公立通信】 평양 9일밤 방송에 의하면 조선최고인민회의에서 전원 일치 찬성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대 수상으로 당선된 김일성 장군은 즉시 조각에 착수하여 정부성원명부를 제출하였는데 조선최고인민회의에서는 이를 만장일치로 비준하엿으므로 정부는 이에 정식으로 성립되었다 조선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이에 관하여 9월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구성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조선최고인민회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정부를 다음과 같은 성원으로서 구성함을 결정한다. 수상 김일성 부수상 박헌영 동 홍명희 동 김책 국가기획위원회장 정준택 민족보위상 최용건 국가검열상(국방상) 김원봉 내상 박일우 외상 겸임 박헌영 산업상 겸임 김책 농림상 박문규 상상 장지우 교통상 주영하 재정상 최창익 교육상 백남운 체신상 김정규 사법상 이승엽 문화선전상 허정숙 노동상 허성택 보건상 이병남 도시경영상 이영 무임소상 이극로-->}}</ref>[[한국전쟁]] 후 [[195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내각 부수상에 취임하였다. [[1953년]] [[2월]] 부수상 겸 재정상이 되었다.
 
[[한국 전쟁]]이 종결된휴전된 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경제 개발 문제를 놓고 중공업우선론자와 반중공업 우선론자로 나뉘게 된다. 이때 그는 반(反) 중공업주의를 택한다. [[1954년]] [[3월]] 전원회의를 통해 박창옥, 최창익, 박의환, [[윤공흠]]과 국가건설위원장 [[김승화]] 등은 반(反) 중공업 노선을 지지하는 새로운 세력을 형성했다.<ref>역사비평 편집위원회,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역사비평사, 2000) 207페이지</ref> [[1954년]]의 내각 개편 때 다시 재정상이 되었다가 [[1954년]] [[11월 20일]] 해임되었다. [[1955년]] [[4월 22일]]과 [[4월 23일]] '남반부 출신 중학, 전문, 대학 학생대회'의 위원장으로 행사를 주관하였고, 그해 [[11월]] [[국가검열성]]상이 되었다.
 
1956년 [[박창옥]]·[[윤공흠]] 등과 함께 반당·반국가 종파분자로 비판받고 좌천되었다가 56년 [[8월 30일]]의 [[조선노동당]] 중앙위 8월 전원회의에서 [[소련파]] [[박창옥]] 등과 함께 [[김일성]]의 일인독재화를 지적하며 [[김일성]]을 정면으로 비판하였다. 이는 나중에 '[[8월 종파사건]]'으로 비화되는 원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