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군사 인력을(를) 삭제함, 분류:군인을(를)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군사 계급}}
'''부사관(전문사관)'''(副士官, {{llang|en|Enlisted rank, (Non-commissioned officer; NCO(육군/공군/해병대)/ Petty Officer; PO(해군/해안경비대)}})은 [[군대]]내 [[장교]]와 [[병사 (군인 계급)|병]] 중간의 신분으로 [[병사 (군인 계급)|병]]을 통솔, 전문적인 기술 및 지식을 견비한 간부, 즉 직업 군인이다.
==우리나라에서 고학력자들의 부사관지원율이 낮은 이유==
 
===우리나라에서 고학력자들의 부사관지원율이 낮은 이유에 대한 개관===
 
우리나라에서 대졸자 등 고학력자들은 부사관에 지원하는 일이 매우 드물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부사관들은 대부분 고졸자들이 입대한다.
 
===우리나라에서 고학력자들이 직업군인입대시 부사관 아닌 장교로 입대한다===
 
우리나라에서 대졸자들이 직업군인으로 입대하면 대부분 학군사관으로 입대한다.
 
그 외에 학사사관 등 대학졸업후 장교로 입대하는 게 일반적이다.
 
===장교입대는 대졸학력을 요구하고 부사관입대는 고졸학력을 요구한다===
 
우리나라에서 장교입대에는 최소 학력이 대졸이고 부사관입대에는 최소 학력이 고졸이다.
 
따라서 대졸자들이 부사관입대 하는 것보다 장교입대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이다.
 
===부사관의 의무복무기간이 장교의 의무복무기간보다 길다===
 
부사관의 의무복무기간은 4년 3개월이고 장교의 의무복무기간은 3년 3개월로 1년이나 길다.
 
고졸자들이야 부사관으로 입대할수 밖에 없지만 대졸자들은 부사관보다 의무복무기간이 1년이나 짧은 장교로 입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고학력자들이 부사관을 거의 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점==
 
===우리나라에서 고학력자들이 부사관을 거의 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개관===
 
우리나라에서 대졸자 등 고학력자들은 부사관에 지원하는 일이 매우 드물고 고졸자들이 주로 입대하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부사관에서 우수한 인재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
 
그 결과 우수한 인재인 대졸자들이 우리나라의 부사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다.
 
===그 결과 부사관들의 지휘통솔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부사관들중 우수한 인재인 대졸자들이 적어 분대를 지휘하는 데 있어서 지휘력이 저하된다.
 
== 한국의 부사관(전문사관) 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