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maus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인터위키 링크 1 개가 위키데이터d:Q10855194 항목으로 옮겨짐
잔글 치환됨: {{12처 → {{십이처 using AWB
1번째 줄:
{{불교}}
 
'''견'''(見, {{llang|sa|[[:en:dṛṣṭi|<span style="color: black">dṛṣṭi</span>]], [[:en:darśana|<span style="color: black">darśana</span>]]}}, {{llang|pi|[[:en:diṭṭhi|<span style="color: black">diṭṭhi</span>]]}}, {{llang|en|[[:en:view|<span style="color: black">view</span>]]}})은 [[심려]](審慮: 심사숙고)하고 [[결탁]](決度: 확인 판단)하는 것, 또는 [[심려]]와 [[결탁]]을 통해 형성된 '''견해'''(見解: 일반 사전적인 뜻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978600 견해(見解)]",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15일에 확인.</ref>), '''의견'''(意見), '''주장'''(主張)을 말한다. 즉, 견(見)의 [[본질적 성질]]은 '''심려'''(審慮: 심사숙고)와 '''결탁'''(決度: 확인 판단)이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6 86 / 1397]}} 음역하여 '''날라사낭'''(捺喇捨囊) 또는 '''달리슬치'''(達利瑟致)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2%AC&rowno=10 見(견)]". 2012년 9월 11일에 확인|quote=<br>"見(견): 【범】 darśana ; dṛṣṭi 【팔】 diṭṭhi 날라사낭(捺喇捨囊)ㆍ달리슬치(達利瑟致)라 음역. 견해, 의견, 주장을 말함. 이것이 정견(正見)과 사견(邪見)에도 통하나, 흔히는 편벽된 견해나 주장에 쓰임. 2견ㆍ4견ㆍ5견ㆍ7견ㆍ10견ㆍ62견 등이 있음."}}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모두 견(見)이 [[혜]](慧), 즉 [[반야]](般若) 또는 [[지혜]](智慧), 즉 [[판단작용]] 또는 [[식별력]]의 일종이라고 본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6 86 / 1397]}}{{sfn|권오민|2003|pp=69-81}}
 
견(見)은 바른 견해나 주장인 [[정견]](正見)과 진리에 어긋나는 잘못된 견해나 주장인 [[부정견]](不正見){{.cw}}[[악견]](惡見) 또는 [[사견]](邪見)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지만, 불교에서는 [[5견]](五見)의 경우처럼 흔히 후자의 [[부정견]](不正見){{.cw}}[[악견]](惡見) 또는 [[사견]](邪見)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2%AC&rowno=10 見(견)]". 2012년 9월 11일에 확인|quote=<br>"見(견): 【범】 darśana ; dṛṣṭi 【팔】 diṭṭhi 날라사낭(捺喇捨囊)ㆍ달리슬치(達利瑟致)라 음역. 견해, 의견, 주장을 말함. 이것이 정견(正見)과 사견(邪見)에도 통하나, 흔히는 편벽된 견해나 주장에 쓰임. 2견ㆍ4견ㆍ5견ㆍ7견ㆍ10견ㆍ62견 등이 있음."}}
 
견의 분류에는 [[2견]]{{.cw}}[[4견]]{{.cw}}[[5견]]{{.cw}}[[7견]]{{.cw}}[[8견]]{{.cw}}[[10견]]{{.cw}}[[62견]] 등이 있다. 대표적인 분류로는 '''8견'''(八見)을 들 수 있다. 《[[구사론]]》에 따르면, 견은 [[유신견]](有身見){{.cw}}[[변집견]](邊執見){{.cw}}[[사견]](邪見){{.cw}}[[계금취]](戒禁取){{.cw}}[[견취]](見取)의 '''[[5염오견]]'''(五染汚見: 5종의 그릇된 견해) 또는 '''[[5견]]'''(五見)과 [[세간정견]](世間正見){{.cw}}[[유학정견]](有學正見){{.cw}}[[무학정견]](無學正見)의 '''3정견'''(三正見: 3종의 바른 견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8견'''(八見)이라 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0c03 T29n1558_p0010c03 - T29n1558_p0010c16]. 8견(八見)|quote=<br>"頌曰。<br>
41번째 줄:
==지혜의 일종으로서의 견==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견(見)은 [[5위75법]] 중 [[심소법]](心所法)의 [[대지법]](大地法: 마음이 일어날 때면 언제나 항상 함께 일어나는 마음 작용들)에 속한 [[혜]](慧), 즉 [[지혜]](智慧) 즉 판단작용의 일종이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6 86 / 1397]}}{{sfn|권오민|2003|pp=69-81}}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서도 견(見)이 [[혜]](慧) 즉 판단작용의 일종이라는 것에는 의견을 같이한다. 하지만 [[혜]](慧)가 [[대지법]]과 같은 성격의 [[변행심소]]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대상 (불교)|대상]]을 만났을 때만 일어나는 [[마음작용]]들의 그룹인 [[별경심소]]에 포함된다고 본다.
 
또한, [[설일체유부]]에서는 [[부정견]] 또는 [[악견]]이 [[혜 (불교)|혜]]의 그릇된 상태라고 보기 때문에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부정견]] 또는 [[악견]]을 별도의 [[법 (불교)|법]]으로 설정하고 있지 않다. 이에 비해 [[유식유가행파]]는 비록 [[부정견]] 또는 [[악견]]이 [[혜 (불교)|혜]]의 그릇된 상태인 것은 맞지만 이것은 별도의 [[법 (불교)|법]]으로 설정해도 좋을 만큼 그 세력이 뚜렷하고 강하므로 별도의 [[법 (불교)|법]]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보며, 이에 따라 [[5위 100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부정견]] 또는 [[악견]]을 [[번뇌심소]]에 속한 별도의 [[법 (불교)|법]]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결과 [[5위 100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번뇌심소]] 그룹은 [[탐 (마음작용)|탐]](貪){{.cw}}[[진 (마음작용)|진]](瞋){{.cw}}[[만 (마음작용)|만]](慢){{.cw}}[[치 (마음작용)|치]](癡, 無明){{.cw}}[[의 (마음작용)|의]](疑){{.cw}}[[부정견 (마음작용)|부정견]](不正見, 惡見)의 6가지 [[근본번뇌]]로 구성되어 있다.
126번째 줄:
==주석==
<div style="font-size: 10pt"><references/></div>
 
[[분류:불교 용어]]
[[분류:불교 사상]]
[[분류:심소법]]
[[분류:지혜]]
[[분류:근본번뇌]]
 
{{불교 둘러보기}}
{{5온}}
{{12처십이처}}
{{18계}}
{{5위75법}}
{{5위100법}}
 
[[분류:불교 용어]]
[[분류:불교 사상]]
[[분류:심소법]]
[[분류:지혜]]
[[분류:근본번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