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종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수상경력: 현대문학상은 2009년이라서 수정(공식사이트 확인)
→‎생애: 출처 추가
50번째 줄:
 
== 생애 ==
[[1939년]] [[1월 17일]] [[일본]] [[도쿄 시|도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아동 문학|아동문학가]] [[마해송]](馬海松)이며, 어머니는 [[춤|무용가]] [[박외선]](朴外仙)이다.<ref>[http://news.donga.com/3/all/20150526/71473683/1 ‘국적회복’ 마종기, 시집 출간…“비바람 속 마지막 평화를 믿었다”] 동아일보,2015-05-26</ref>부모로부터 예술적 자질을 물려받은 그는 어린 시절부터 시쓰기를 좋아했고 중학생 시절에는 이미 당대 ‘학원’ 문단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ref>[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3061201033530065005 마종기 시인은 누구… 연세대 의대 재학중 등단, 1966년 渡美… 전문醫 생활] 문화일보, 2013-06-12</ref> [[서울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을 졸업했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52790841 마종기의 시에 '42'가 자주 등장하는 까닭은] 한국경제,2015-05-27 </ref>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본과 3학년이던 [[1959년]], 시 「해부학 교실」 등의 작품으로 [[박두진]] 시인의 추천을 받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으며 [[1960년]]에는+ 첫 시집 『조용한 개선』을 상자했다. 그리고 이 시집으로 연세대학교 제정 제1회 ‘연세문학상’을 수상했다. 이 즈음 마종기는 가톨릭에 입교한다. [[1963년]]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대한민국 공군|공군]] [[중위]]로 임관하는데 이때 후일 오랜 친교를 나눌 [[정현종]] 시인과 교유한다. [[196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에 입학. 시동인 모임 〈시단〉에 가입한다. 동인으로는 문덕수, [[신동엽]], [[이형기]] 등이 있다. 1965년에는 ‘재경 문인 한일 회담 반대 서명’에 참여한 것으로 인해 공군 방첩대에 체포되어 10일간 구류에 처해진다. 이후 [[1966년]] 그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박사 과정에 입학하지만 [[대한민국 공군|공군]] [[군의관]] [[대위]] 만기 제대 직후 도미한다. 도미 이후 그는 [[미국]] [[오하이오 주]] 데이턴 시의 마이애미 밸리 병원 인턴으로 취직하며 의사로서의 경력을 이어간다. 이후 오하이오 의과대학 방사선과 조교수 겸 방사선 동위원소 실장, 오하이오 의대 소아과 임상 정교수 등을 지냈으며 오하이오 아동병원 초대 부원장 겸 방사선과 과장을 역임했다. 특히 [[1975년]]에는 오하이오 의과대학 졸업생 대표로부터 이 해 최고의 교수상(골든 애플상)을 받는데 이는 조교수급 동양인으로서는 첫 수상이었다.<ref> 마종기/정과리, 「유량·고난 혹은 운명의 궤적-안팎에서 함께 본 시인의 생애」, 정과리 엮음, 『마종기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참조 </ref>
도미 이후에도 1968년에는 [[김영태]], [[황동규]]와 함께 3인 시집 『평균율 1』을, 1972년에는 『평균율 2』를 출간하는 등 꾸준히 창작활동을 했으며 이후에도 2010년 출간된 『하늘의 맨살』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 계속해서 문제적 시집을 출간하면서 이수문학상, 현대문학상, 박두진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02년]] 의사생활을 은퇴한 뒤에는 매년 봄과 가을, 한국을 방문하면서 연세대학교 초빙교수로서 강의를 하고 시집과 에세이집을 출간하는 등 아직 문단의 현역으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작품 세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