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화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Drankrno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Drankrno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순화군'''(順和君, [[1580년]] ~ [[1607년]] [[음력 3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다. 아버지는 조선의 제14대 왕 [[조선 선조|선조]]이며 어머니는 [[순빈 김씨]]이다. 이름은 보(𤣰), 시호는 희민(僖敏)이다.
 
[[임진왜란]] 당시 근왕병을 모집하려 [[강원도]]에 파견되었다가 일본군을 피해 회령으로 갔다. 그러나 왕자 신분을 내세워 행패를 부리다가 향리로 강등당해 [[회령]]으로 유배된 국경인(鞠景仁) 등에 의해 일본군에 넘겨졌다. [[1593년]] [[일본]]으로 압송되기 직전 명나라 사신 심유경과 일본군 고니시 유키나카의 협상이 성사되어 풀려났다. 살인과 물건갈취로 [[1601년]] 군의 작위에서 파면되었으며, [[1604년]] 호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그는 성격이 포악하여 사람을 함부로 죽이거나, 민가의 재물을 약탈하는 등의 행동을 하여 양사(兩司)로부터 거듭 탄핵당했다. 임진왜란 직후 도성이 함락되자 그는 [[임해군]] 진과 함께 각각 부대를 인솔, 순화군은 장인인 [[호군]] [[황혁]](黃赫), 처조부 [[황정욱]] 등과 함께 [[강원도]]를 거쳐 회령으로 갔으나, 순화군 일행을 알아본 국경인(鞠景仁)의 밀고로 [[카토 기요마사]] 휘하의 일본군에게 포로로 사로잡혔다. 이후 장인 황혁, 처조부 황정욱과 함께 [[안변군]]의 토굴에 감금되었다가 [[카토 기요마사]]군의 본진으로 압송되었다. 이때 그는 선조에게 항복 권유문을 쓰게 하라는 강요를 받고 항복권유문을 썼다. 그러나 처조부 황정욱은 비밀리에 항복 권유문은 진심이 아니라는 글을 써서 숨겨둔 뒤, 항복권유문을 쓰는 하인편에 딸려서 같이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고 글을 써서 보냈다. [[1593년]](선조 26) [[9월 29일]] [[부산]]에서 이복형 [[임해군]], 장인 [[황혁]], 처조부 [[황정욱]] 등과 함께 조선군에 송환, 인계되었다.
 
== 생애 ==
임진왜란이 종결된 후에도 그의 사람 죽이는 버릇과 재물 약탈이 계속되어 양사로부터 계속 탄핵을 받다가 [[1601년]] 파면되고, 순화군의 작위가 박탈당하였다가 뒤에 복작되었다.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과 [[호성공신|호성]][[원종공신]]을 책록할 때 순화군은 [[호성공신|호성]][[원종공신]] 1등의 한 사람으로 책록되었다.
[[순빈 김씨]] 소생으로 조선의 14대 왕 [[조선 선조|선조]]의 여섯째 서자였다. 그는 성격이 포악하여 사람을 함부로 죽이거나, 민가의 재물을 약탈하는 등의 행동을 하여 양사(兩司)로부터 거듭 탄핵당했다. 임진왜란 직후 도성이 함락되자 그는 [[임해군]] 진과 함께 각각 부대를 인솔, 순화군은 장인인 [[호군]] [[황혁]](黃赫), 처조부 [[황정욱]] 등과 함께 근왕병(勤王兵)을 모집하기 위해 [[강원도]]로갔으나 성과가 없었고, 동년 [[5월]] 일본군이 [[한강]]을 넘어 북상하자 이를 피하여 [[함경도]]로 들어가, [[함경도]] 방면으로 파견되어 있던 이복형 [[임해군]]의 근왕병 모집대와 합류하여 [[회령]]에 주둔하였다. 그러나 그는 왕자임을 내세워 행패를 부리다가 함경도민의 반감을 샀다. 곧 일본군이 [[회령]]까지 올라오자, 향리로 강등되어 회령으로 유배되어 있던 국경인(鞠景仁)과 그 친척 국세필(鞠世弼) 등의 밀고로, 임해군, 황혁, 황정욱 및 수행원들과 함께 [[카토 기요마사]] 휘하의 일본군 부장에게 포로로 사로잡혔다.
 
그는이후 성격이장인 포악하여 사람을 함부로 죽이거나황혁, 민가의처조부 재물을 약탈하는 등의 행동을 하여 양사(兩司)로부터 거듭 탄핵당했다. 임진왜란 직후 도성이 함락되자 그는 [[임해군]] 진과황정욱과 함께 각각 부대를 인솔, 순화군은 장인인 [[호군안변군]] [[황혁]](黃赫),토굴에 처조부감금되었다가 [[황정욱경상도]] 등과 함께 [[강원도밀양]]으로 거쳐 회령으로 갔으나이송되고, 순화군 일행을 알아본 국경인(鞠景仁)의 밀고로 [[카토 기요마사1593년]](선조 휘하의26) 일본군에게 포로로 사로잡혔다. 이후 장인 황혁, 처조부부산 황정욱과다대포에 함께 [[안변군]]의 토굴에 감금되었다가주둔하던 [[카토 기요마사]]군의 본진으로 압송되었다. 이때 그는 선조에게 항복 권유문을 쓰게 하라는 강요를 받고 항복권유문을 썼다. 그러나 처조부 황정욱은 비밀리에 항복 권유문은 진심이 아니라는 글을 써서 숨겨둔 뒤, 항복권유문을 쓰는 하인편에 딸려서 같이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고 글을 써서 보냈다. [[1593년]](선조 26) [[8월]] [[부산]] [[다대포]]항에 정박된 배 안에 구금되어 일본으로 보내지려 할 때, 명나라의 사신 심유경(沈惟敬)과 일본군 장수 [[고니시 유키나카]]의 회담이 성사되어, 그해 [[9월 29일]] [[부산]]에서 이복형 [[임해군]], 장인 [[황혁]], 처조부 [[황정욱]] 등과 함께 조선군에 송환, 인계되었다.
 
임진왜란이 종결된 후에도 그의 사람 죽이는 버릇과 재물 약탈이 계속되어 양사로부터 계속 탄핵을 받다가 [[1601년]](선조 34) 파면되고, 순화군의 작위가 박탈당하였다가 뒤에 복작되었다.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과 [[호성공신|호성]][[원종공신]]을 책록할 때 순화군은 [[호성공신|호성]][[원종공신]] 1등의 한 사람으로 책록되었다.
 
다음은 순화군이 죽었을 당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