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소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7번째 줄:
요임금의 후손인 기곤오가 소성의 하백에 봉해지고 기원전 2266년 소성이 단군조선에 영속 되었으며 기씨를 소씨로 고쳐서 소씨가 생겼다고 한다. 소곤오(기곤오)의 후손이 신라 6부 촌장중의 한사람인 돌산 고허촌(突山 高墟村)의 '''소벌도리'''(蘇伐都利)라고 한다.
 
소벌도리의 25세손인 '''소경'''(577년 출생)은 후손이 없었는데 꿈에 소벌도리가 나타나 진주 도사곡(저동)으로 이사를 하면 9저를 얻을 것이라고 하여 660년 3월 3일([[신라 무열왕]] 7년)에 지금의 진주시 상대동(저동)으로 이사를 한후에 9대에 걸쳐 9명의 장군을 낳게 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소벌도리를 원조으로 하고 진주를 본관으로 하였으며 소경을 중시조로 하였다. 시조 '''소경'''(蘇慶)은 진공의 29세손으로 [[상대등]](上大等)이 되어 경신년 봄 3월 2일 진주의 도사곡(塗斯谷)으로 옮겼다. 소경은 관직이 각우에 이르렀고 나라에 공을 세워 656년(무열왕 3년)에 왕이 그의 조상인 소벌도리를 문열왕에 추봉하였다. 소경의 15세손인 소계령이 [[고려]]조에서 현달하여 형부원외랑(6품),신호위상장군(上將軍:정3품), 이부상서(정3품장관)등을 지내고, 그 딸이 헌종(獻宗)의 비가 되어 회순왕후(懷純王后)에 책봉됨으로써 진산부원군(晋山府院君:진산은 진주의 별호)에 봉해졌다.
 
『진주소씨족보』(1935)나 『씨족원류』에 의하면 시조는 고려 말기의 소희철(蘇希哲)이다. 소희철(蘇希哲)은 상호군(上護軍)이었으며, 소희철의 후손 소세량(蘇世良)은 문과 출신으로 벼슬이 대사성(大司成)이었다. 소세량의 아우 소세양(蘇世讓)도 문과 출신으로 벼슬이 찬성(贊成)과 대제학(大提學)에 이르렀고 문정(文靖)이란 시호를 받았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14_580_0218}}</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