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수아 앙리 드 몽모랑시뤽상부르 공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치환됨: {{1911 -> {{1911브리태니커 using AWB
24번째 줄:
 
'''프랑수아 앙리 드 몽모랑시-부트빌, 피네 공작'''(François Henri de Montmorency-Bouteville, duc de Piney, [[1628년]] [[1월 8일]] - [[1695년]] [[1월 4일]]), '''드 뤽상부르'''(de Luxembourg)로 불린다. 그는 프랑스 장군이자 [[프랑스 원수]]이며 [[콩데 공 루이 2세 드 부르봉|대 콩데]](the great Condé)의 후계자이자 훌륭한 동료였다.
 
 
== 초기 생애 ==
줄 36 ⟶ 35:
 
=== 대동맹 전쟁 1688-97년 ===
1690년 [[대동맹 전쟁]] 기간 뤽상부르는 [[스페인령 네덜란드]]에서 국왕 루이의 군대 사령관 [[위미에르 공작 루이 드 크레방|루이 드 크레방 위미에르 공작]](Louis de Crevant, Duke of Humières)을 대신해 위임되었다. 1690년 7월 1일 뤽상부르는 [[플뢰뤼스 전투 (1690년)|플뢰뤼스]](Fleurus)에서 윌리엄 동맹군 사령관과 [[발데크 공 게오르그 프리드리히|발데크 공]](Prince of Waldeck)에게 대승을 거두었다. 뒤이어 다음해 1691년 9월 18일 [[로이체 전투|로이체]](Leuze)에서 그는 다시 한번 승리를 거두었다.
 
다음 전역에서 그는 왕을 도와 1692년 [[나무르 공방전 (1692년)|나무르 공방전]](Siege of Namur)과 1692년 [[스텐케르케 전투|스텐케르케]](Steenkerque)에서 윌리엄을 패배시켰다. 1693년 7월 29일 [[네르빈덴 전투|네르빈덴]]에서 옛 적에게서 그의 가장 위대한 승리를 얻을 수 있었다. 이후 뤽상부르는 전투에서 획득한 무수한 적의 깃발을 모아 여러 컬러의 타피시에를 만들어 대성당에 보냈다. 이후 그의 닉네임은 ''르 타피시에 노트르담''(le tapissier de Nôtre Dame)이 되었다.
줄 44 ⟶ 43:
 
== 죽음 ==
그해 겨울 [[베르사유]]로 돌아온 뤽상부르는 병에 걸려 죽었다. 마지막 순간 뤽상부르를 간호하던 유명한 예수회 신부 부르달루(Bourdaloue)는 그의 죽음을 보고 말했다. "I have not lived his life, but I would wish to die his death". 뤽상부르의 품행은 그 시대 기준으로 보면 매우 나빴으나 장군으로써 그는 콩데의 훌륭한 제자였다. 전역(campaign)의 관리는 콩데와 비슷하게 나태했지만 좋은 영감(inspirations)을 포착해 그가 보인 전투의 움직임으로 윌리엄의 열정과 네덜란드와 잉글랜드 병사들의 끈기에 대항해 참아내며 견뎌낼 수 있었다.
 
루이 14세 치세의 군사 역사에서 제2시대는 뤽상부르의 죽음과 [[니콜라 카티나|카티나]](Catinat’s)의 불명예로 끝났다. 카티나와 뤽상부르는 콩데와 [[튀렌]]에 비해 한 수 아래지만, [[탈라르 공작 카미유 도스튄|탈라르]]와 [[빌레루아 공작 프랑수아 드 뇌빌|빌레루아]]에 비하면 우수했다. 그는 신랄한 위트를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그의 반박 중 하나를 찾아보면 그의 기형에 유래된 것이 있다. "난 결코 꼽추을 이길 수 없을 것이다"(I never can beat that cursed humpback) 윌리엄은 그를 평가하며 말했다. "내가 혹을 갖고 있는걸 그는 어떻게 알고 있을까?"(How does he know I have a hump?) 뤽상부르는 대꾸했다. "그는 절대 내 뒤를 보지 못할 것이다"(he has never seen my back.") 뤽상부르는 4명의 자식을 남겼는데, 그 중 한 명이 프랑스 원수가 된 마르샬 드 몽모랑시(Marechal de Montmorency)이다.
 
== 결혼 및 아이들 ==
줄 63 ⟶ 62:
* Camille Rousset's ''Louvois''
* biography of Luxemburg by Count de Segur (1907)
{{1911브리태니커}}
{{1911}}
{{Authority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