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적 항성생성 은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참조: Replaced: {{reflist -> {{각주 using AWB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4번째 줄:
 
== 정의 ==
[[File파일:Light and dust in a nearby starburst galaxy.jpg|thumb|근처의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에서의 빛과 먼지<ref>{{cite뉴스 news인용|title=근처의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에서의 빛과 먼지 |url=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potw1313a/|accessdate=2013년 4월 4일|newspaper=ESA/Hubble}}</ref>]]
 
용어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에 관해 몇몇 정의가 존재하는데, 모든 [[천문학자]]들이 동의할 만한 엄격한 정의는 없다.<ref name="Kennicutt2012_536">[[#Kennicutt2012|Kennicutt & Evans (2012), p. 536.]]</ref> 그러나, 정의는 보통 아래의 세가지 요소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23번째 줄:
 
=== 종류 ===
[[File파일:Artist's impression of a galaxy undergoing a starburst.jpg|thumb|폭발적 항성생성을 겪고 있는 은하 관한 예술가의 표현.<ref>{{cite뉴스 news인용|title=전체가 갓난 별의 온기를 느끼는 은하|url=http://www.spacetelescope.org/news/heic1308/|accessdate=2013년 4월 30일|newspaper=ESA/허블 프레스 릴리즈}}</ref>]]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의 유형 분류는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가 그 자체로 특별한 유형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어렵다. 폭발적 항성생성은 [[원반은하]]와, 종종 은하 도처에 퍼져 있는 폭발적 항성생성 무리를 내보이는 [[불규칙은하]]에서 발생한다. 그래도 천문학자들은 보통, 많고 뚜렷한 관측적 특징에 기반하여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를 분류한다. 분류 일부는 아래와 같다.
38번째 줄:
 
=== 구성요소 ===
[[File파일:Messier 82 HST.jpg|thumb|[[메시에 82]]는 [[큰곰자리]] 방향으로 약 1,2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가까운 원형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이다.]]
 
첫째로,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는 별을 형성하기 위한 많은 유효가스 공급량을 가져야 한다. 폭발적 항성생성 그 자체는 다른 은하와의 (M81/M82와 같은)접근, (더듬이 은하와 같은)충돌, 또는 (항성막대와 같은)은하의 중심쪽으로 물질에 힘을 가하는 또다른 과정에 의해 촉발된다.
111번째 줄:
 
<gallery style="margin:auto;">
File:A swirl of star formation.jpg|[[J125013.50+073441.5]] LARS(''Lyman Alpha Reference Sample'')로 명명된 연구의 일부로 [[허블 우주 망원경]]에 의해 촬영되었다.<ref>{{cite뉴스 news인용|title=별형성의 소용돌이|url=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potw1320a/|accessdate=2013년 5월 22일|newspaper=이번 주의 ESA/허블사진}}</ref>
File:NGC 1569.jpg|근처 왜소은하 NGC 1569(아프 210)의 중심 영역에서 일어나는 폭발적 항성형성 활동. 허블 우주 망원경에 의해 촬영되었다.
File:Ssc2008-12a small.jpg|122억 광년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해 있는 [[베이비 붐 은하]]는 매년 4000개의 별을 만들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공: [[NASA]].
129번째 줄:
 
==바깥고리==
* <cite id="Chandra_web">{{cite web인용
|url=http://chandra.harvard.edu/xray_sources/starburst.html
|title=찬드라 :: X-선 광원에 대한 현장 안내 ::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
138번째 줄:
}}</cite>
 
* {{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Kennicutt | first1 = R. C.
| last2 = Evans | first2 = N. J.
| doi = 10.1146/annurev-astro-081811-125610
| title = 우리은하와 근처 은하에서의 별의 형성
| journal =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 volume = 50
| pages = 531
| year = 2012
| pmid =
| pmc =
|arxiv = 1204.3552 |bibcode = 2012ARA&A..50..531K }}
 
* {{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Weedman | first1 = D. W.
| last2 = Feldman | first2 = F. R.
| last3 = Balzano | first3 = V. A.
| last4 = Ramsey | first4 = L. W.
| last5 = Sramek | first5 = R. A.
| last6 = Wuu | first6 = C. -C.
| doi = 10.1086/159133
| title = NGC 7714 - 원형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핵
| journal = 천체물리학 저널
| volume = 248
| pages = 105
| year = 1981
| pmid =
| pm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