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공동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번째 줄:
한국의 큰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사회양극화와 주민간의 갈등, 지역 내 문제(생활안전, 고령화-복지, 일자리 창출, 실업, 다문화 가정 등)로 인해<ref>한국정책학회 기획세미나 공동체 발전 국민포럼, 공동체 발전 국민포럼 운영계획, 한국정책학회</ref> 지역공동체의 중요성이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또한 시민사회로의 성장과 거버넌스 시대에 지역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민`관 협력적 추진을 통해 공동체 구현에 힘쓰기 시작했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오면서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909_0010277020&cID=10818&pID=10800 정부의 주요 과제]로 지역공동체의 활성화가 선정된 바, 현대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으며 마을공동체의 활성화를 통해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마을 공동체에 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래서 정부와 주민들, 중간조직의 협력을 통해 지역마다 특색을 살린 사업을 만들고 추진하여 '같이 잘 먹고 잘 살수 있는' 을 이루려는 시도를 하고있다.
 
== 마을공동체 사업의 현황과 운영방향운영 ==
전국의 지역공동체수는 약 5885개로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시도 별로는 경기도, 전북, 경북 순으로 마을공동체 사업이 많다.<ref>하현상, 중앙정부 지원 마을공동체 사업의 현재와 나아갈 길, 한국정책학회,한국정책학회 기획세미나 공동체 발전 국민포럼, 4쪽</ref> 마을공동체의 종류는 정보화 마을, 평화생태마을, 체험휴양마을, 자연생태우수마을, 마을기업, 희망마을 등 이 있다. 마을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업들도 다양한데 전통시장이나 상가활성화, 자연상태관광사업,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생활 공간 개선이나 사회복지 시설 확충 사업등으로 그 수는 셀 수 없이 많다. 이러한 사업들은 주로 정부의 주도하에 이루어 지며 마을이 자발적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다.
정부는 사업시작을 위한 예산을 주고 중간관리 조직을 설치한다. 중간관리 조직은 전문가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업을 기획하고 주민들과 실질적으로 만나 공동체 사업을 계획해 나가는 역할을 한다. 처음 정부의 주도로 공동체 사업을 만들 때는 마을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담당부서를 설정한다. 또한 중간관리 조직을 설치함으로써 비전문가인 일반 주민들에게 생소한 공동체 사업을 잘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주고있다. 하지만 중간관리 조직의 연계성이 아직 부족하고 전문가들의 잦은 교체로 연속성을 이어가기 힘들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를 위해 중간지원 조직에 관한 법규를 제도화 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지는 만큼 정부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소통의 장을 열었다. 2015년 11월 9일 부터 11일 까지 열린 [http://globalhanmadang.net/ 공동체 글로벌 한마당]에서는 전문가들가 마을공동체 사업가 등이 참여해 현재 다양한 공동체 사업의 현황과 미래 과제를 점검하는 장을 열었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시민의 자발적 의지로 만들고 있는 다양한 공동체 구성원과 활동가들의 경험을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중간지원조직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 마을공동체사업의 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