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털링 근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역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Namobot (토론 | 기여)
→‎역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28번째 줄:
과 같은 꼴로 근사하였고, 또 비례 상수 <math>B</math>를
:<math>\ln B\approx1-1/12+1/360-1/1260+1/1680</math>
로 근사하였다.<ref>{{저널 인용 |last=Pearson |first=Karl | 저자고리=칼 피어슨 |날짜=1924-12|title=Historical note on the origin of the normal curve of errors |journal=Biometrika |volume=16 |pages=402–404 |jstor=2331714|doi=10.2307/2331714|언어고리언어=en}}</ref> 이는
:<math>B^2/2\approx 3.1435\cdots</math>
이다. 드무아브르의 근사는 《확률론》({{llang|en|The Doctrine of Chances}}, 1판 1718년, 2판 1738년, 3판 1756년) 제2판<ref>{{서적 인용|이름=Abraham|성=de Moivre|제목=The Doctrine of Chances: or, A Method of Calculating the Probabilities of Events in Play|판=2|날짜=1738|위치=[[런던]]|출판사=H. Woodfall|url=http://books.google.com/books?id=PII_AAAAcAAJ|언어=en}}</ref> 에서도 등장한다.<ref>{{저널 인용 |doi=10.1214/ss/1177013818 |last=Le Cam |first=L. |title=The central limit theorem around 1935 |journal=Statistical Science |volume=1 |issue=1 |pages=78–96 [p. 81] |year=1986 |quote=The result, obtained using a formula originally proved by de Moivre but now called Sterling's formula, occurs in his ‘Doctrine of Chances’ of 1733.|issn=0883-4237 |언어고리언어=en }}</ref>
 
[[제임스 스털링 (수학자)|제임스 스털링]]은 상수 <math>B</math>가 <math>B^2/2=\pi</math>임을 보였다. 이후 [[자크 비네]]({{llang|fr|Jacques Binet}})가 스털링 근사의 추가항들을 도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