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Feelyou (토론 | 기여)
잔글 Feelyou 사용자가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문서를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문서로 옮기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외래어표기법, 언론 표기, 본문 내 표기, 기존 출판물 등과의 표...
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에라스무스는 "인문주의자들의 왕자"라는 칭호를 누렸고, 순수한 [[라틴어]] 문체를 구사하는 고전적인 학자였다. "최고 영광의 기독교 인문주의자"로도 불렸다.<ref>Latourette, Kenneth Scott. A History of Christianity. New York: Harper & Brothers, 1953, p. 661.</ref> 그는 [[신약성서]]를 라틴어와 그리스어로 새롭게 다시 번역했다. 이는 기존 기독교에 의문을 표시하면서 [[종교 개혁]]과 [[가톨릭 개혁]]에 영향을 끼쳤다. 그의 다른 작품으로 《[[우신 예찬]]》, 《[[기독교 기사의 안내서]]》등이 있다.
 
에라스무스가 살았던 시대는 많은 [[지식인]]들이 [[교회]] 성직자의 권한 남용을 비판하던 때였다. 어떤 비평가들은 [[교황]]의 권능을 부정했고 새로운 신학 체계를 세웠다. 에라스뮈스도 동시대 주류 기독교의 신앙과 부정, 관행을 비판하던 교회 개혁가 중 한 사람이다. 한편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자유 의지]]({{lang|en|free will}}) 관념을 지지했다. 그래서 그는 [[예정론]]을 지지하는 많은 [[종교개혁]]가들과 마찰이 있었다. 그의 이러한 중립 노선은 [[마르틴 루터]] 같은 [[개신교]]종교개혁자들과 급진적인 [[교황주의자]] 양쪽의 실망과 분노를 샀다. [[로마 교황청]]의 부정부패와 [[성직자]]의 권한 남용을 비판했지만, 에라스뮈스는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 교회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았다.<ref>"그는 로마 가톨릭에 매서운 비판을 가했지만 로마 가톨릭에 남으려 했다. 동시에 그는 힘을 보태왔던 종교개혁, 심지어 인문주의 흐름과도 거리를 두었다." Johan Huizinga, ''Erasmus and the Age of Reformation'' (Tr. F. Hopman and Barbara Flower; New York: Harper and Row, 1924), 190.</ref> 종교개혁가 [[마르틴 루터]]는 그를 경멸조로 조롱했고, [[트리엔트 공의회]]는 그를 ‘불경스런 이교도’로 정죄했다. 이처럼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 양쪽 [[교회]]들으로부터들로부터 배척을 당했지만 에라스뮈스는 많은 당대 [[신학자]]들의 지지를 받으며 전 유럽에서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 뿐만 아니라 서구 문학사에서 근대성의 효시로 여겨지는 프랑스의 [[라블레]], 스페인의 [[세르반테스]], 영국의 [[셰익스피어]]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ref name="지만지"/> 그는 [[1536년]] [[바젤]]에서 죽었다.
 
== 생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