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소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로봇: 불교 용어 목록#견소단(으)로 이중 넘겨주기 고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불교}}
#넘겨주기 [[불교 용어 목록#견소단]]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견소단'''(見所斷, {{llang|sa|[[:en:darśana-prahātavya|<span style="color: black">darśana-prahātavya</span>]]}})은 [[무루혜]](無漏慧)에 의한 [[4제]](諦)의 관찰인 [[견도]](見道)에 의해 끊어지는 [[법 (불교)|법]](法)으로, 여기서의 법은 [[번뇌]](煩惱)인 [[유루법]](有漏法)들과 이것들과 상응하여 함께 발생하는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들을 말한다. '''견도소단'''(見道所斷), '''견단'''(見斷) 또는 '''견혹'''(見惑)이라고도 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2 82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62 862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55 1055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2%AC%EB%8F%84%EC%86%8C%EB%8B%A8&rowno=1 見道所斷(견도소단)]". 2012년 9월 10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899&DTITLE=%A8%A3%A9%D2%C2%5F 見所斷]". 2012년 9월 10일에 확인}} (참고: [[수소단]](修所斷), [[비소단]](非所斷))
 
[[수면 (불교)|수면]](隨眠: 7종 98가지) 중 [[견소단]](見所斷: 7종 88가지) - <span style="color: red">빨간색(총 10가지)</span>은 98수면에서 제외되는 것들<!--
 
-->
# [[욕탐수면]](欲貪隨眠: 4가지) - [[견소단]] 수면의 누적 개수는 4가지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span style="color: red">욕계계(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탐(貪) (누적 1)</span><!--
 
-->
# [[진수면]](瞋隨眠: 4가지) - [[견소단]] 수면의 누적 개수는 8가지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진 (마음작용)|진]](瞋)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진 (마음작용)|진]](瞋)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진 (마음작용)|진]](瞋)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진 (마음작용)|진]](瞋)
## <span style="color: red">욕계계(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진(瞋) (누적 2)</span><!--
 
-->
# [[유탐수면]](有貪隨眠: 8가지) - [[견소단]] 수면의 누적 개수는 16가지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span style="color: red">색계계(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탐(貪) (누적 3)</span><!--
-->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탐 (마음작용)|탐]](貪)
## <span style="color: red">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탐(貪) (누적 4)</span><!--
 
-->
# [[만수면]](慢隨眠: 12가지) - [[견소단]] 수면의 누적 개수는 28가지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span style="color: red">욕계계(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만(慢) (누적 5)</span><!--
-->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span style="color: red">색계계(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만(慢) (누적 6)</span><!--
-->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만 (마음작용)|만]](慢)
## <span style="color: red">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만(慢) (누적 7)</span><!--
 
-->
# [[무명수면]](無明隨眠: 12가지) - [[견소단]] 수면의 누적 개수는 40가지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span style="color: red">욕계계(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무명(無明) (누적 8)</span><!--
-->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span style="color: red">색계계(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무명(無明) (누적 9)</span><!--
-->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
## <span style="color: red">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무명(無明) (누적 10)</span><!--
 
-->
# [[견수면]](見隨眠: 36가지) - [[견소단]] 수면의 누적 개수는 76가지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12가지 [[견 (마음작용)|견]](見)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유신견]](有身見)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변집견]](邊執見)<!--
 
-->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사견]](邪見)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사견]](邪見)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사견]](邪見)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사견]](邪見)<!--
 
-->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견취]](見取)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견취]](見取)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견취]](見取)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견취]](見取)<!--
 
-->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계금취]](戒禁取)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계금취]](戒禁取)<!--
 
-->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12가지 [[견 (마음작용)|견]](見)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유신견]](有身見)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변집견]](邊執見)<!--
 
-->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사견]](邪見)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사견]](邪見)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사견]](邪見)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사견]](邪見)<!--
 
-->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견취]](見取)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견취]](見取)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견취]](見取)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견취]](見取)<!--
 
-->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계금취]](戒禁取)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계금취]](戒禁取)<!--
 
-->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12가지 [[견 (마음작용)|견]](見)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유신견]](有身見)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변집견]](邊執見)<!--
 
-->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사견]](邪見)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사견]](邪見)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사견]](邪見)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사견]](邪見)<!--
 
-->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견취]](見取)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견취]](見取)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견취]](見取)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견취]](見取)<!--
 
-->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계금취]](戒禁取)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계금취]](戒禁取)<!--
 
-->
# [[의수면]](疑隨眠: 12가지) - [[견소단]] 수면의 누적 개수는 88가지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욕계계]](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의 (마음작용)|의]](疑)
 
==함께 보기==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저자=곽철환|제목=[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 <span id="CITEREF.EC.84.B8.EC.B9.9C_.EC.A7.80.EC.9D.8C.2C_.ED.98.84.EC.9E.A5_.ED.95.9C.EC.97.AD.2C_.EA.B6.8C.EC.98.A4.EB.AF.BC_.EB.B2.88.EC.97.AD"></span>{{서적 인용|저자=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연도=K.614, T.1579|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1 유가사지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570(15-465), T.1579(30-279)}}
* {{서적 인용|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연도=K.955, T.1558|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 아비달마구사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955(27-453), T.1558(29-1)}}
* {{서적 인용|저자=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연도=K.614, T.1585|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1 성유식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614(17-510), T.1585(31-1)}}
* {{서적 인용|저자=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연도=K.618, T.1612|제목=[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1&startNum=1 대승오온론]|출판사=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id=K.618(17-637), T.1612(31-848)}}
* {{서적 인용|저자=운허|제목=[http://buddha.dongguk.edu/bs_list.aspx?type=fromto&from=%EA%B0%80&to=%EB%82%98&pageno=1 불교 사전]|편집자=동국역경원 편집}}
* {{언어고리|en|크기=9pt}} {{서적 인용|저자=DDB|제목=[http://www.buddhism-dict.net/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기타=Edited by A. Charles Muller}}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미륵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0/1579_001.htm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0, No. 1579. CBETA|연도=T.1579}}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佛門網|제목=[http://dictionary.buddhistdoor.com/ 佛學辭典(불학사전)]}}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星雲|제목=[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htm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판=3판}}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1/1612_001.htm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612, CBETA|연도=T.1612}}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normal/T29/1558_001.htm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9, No. 1558, CBETA|연도=T.1558}}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31/1585_001.htm 성유식론(成唯識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585, CBETA|연도=T.1585}}{{참고 자료 끝}}</onlyinclude><noinclude>
 
== 주석 ==
<div style="font-size: 10pt"><references/></div>
 
{{5위75법}}
{{5위100법}}
 
[[분류:불교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