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Namobot (토론 | 기여)
봇: quote → ps
5번째 줄:
<!--{{불교}}-->
 
'''도리천'''(忉利天, {{llang|sa|[[:en:Trāyastriṃśa|<span style="color: black">Trāyastriṃśa</span>]]}})은 음역하여 '''다라야등릉사'''(多羅夜登陵舍) 또는 '''달리야달리사'''(怛唎耶怛唎奢)라고도 하며, 의역하여 '''33천'''(三十三天)이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F%84%EB%A6%AC%EC%B2%9C&rowno=1 忉利天(도리천)]". 2013년 6월 16일에 확인|quoteps=<br>"忉利天(도리천):
【범】 Trāyastriṃśa 욕계 6천의 제2 천. 달리야달리사천(怛唎耶怛唎奢天)ㆍ다라야등릉사천(多羅夜登陵舍天)이라고도 쓰며, 33천이라 번역. 남섬부주(南贍部洲) 위에 8만 유순 되는 수미산 꼭대기에 있다. 중앙에 선견성(善見城)이라는, 4면이 8만 유순씩 되는 큰 성이 있고, 이 성 안에 제석천(帝釋天)이 있고, 사방에는 각기 8성이 있는데 그 권속 되는 하늘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한다. 사방 8성인 32성에 선견성을 더하여 33이 된다. 이 33천은 반달의 3재일(齋日)마다 성밖에 있는 선법당(善法堂)에 모여서 법답고 법답지 못한 일을 평론한다는 것이다. 이 하늘의 중생들은 음욕을 행할 때에는 변하여 인간과 같이 되지만, 다만 풍기(風氣)를 누설하기만 하면 열뇌(熱惱)가 없어진다고 한다. 키는 1유순, 옷의 무게는 6수(銖), 목숨 1천세. 그 하늘의 1주야는 인간의 백년. 처음 태어났을 때는 인간의 6세 되는 아이와 같으며, 빛깔이 원만하고 저절로 의복이 입혀졌다고 한다. 부처님이 일찍이 하늘에 올라가서 어머니 마야부인을 위하여 석 달 동안 설법하고, 3도(道)의 보계(寶階)를 타고 승가시국에 내려왔다고 전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545&DTITLE=%C9{%A7Q%A4%D1 忉利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quoteps=<br>"忉利天:
 梵名 Trāyastrijśa,巴利名 Tāvatijsa。音譯多羅夜登陵舍、怛唎耶怛唎奢。又作三十三天。於佛教之宇宙觀中,此天位於欲界六天之第二天,係帝釋天所居之天界,位於須彌山頂;山頂四方各八天城,加上中央帝釋天所止住之善見城(喜見城),共有三十三處,故稱三十三天。<br>
 據正法念處經卷二十五載此三十三天為:住善法堂天、住峰天、住山頂天、善見城天、鉢私地天、住俱吒天、雜殿天、住歡喜園天、光明天、波利耶多樹園天、險岸天、住雜險岸天、住摩尼藏天、旋行地天、金殿天、鬘影處天、住柔軟地天、雜莊嚴天、如意地天、微細行天、歌音喜樂天、威德輪天、月行天、閻摩娑羅天、速行天、影照天、智慧行天、眾分天、住輪天、上行天、威德顏天、威德燄輪天、清淨天等。<br>
 此天之有情身長一由旬,衣重六銖,壽一千歲(以世間百年為一日一夜),食淨摶食,有男娶女嫁之事,乃藉身身相近而以氣成就陰陽,初生時,如人類六歲模樣,色圓滿,自有衣服。又此天具足種種妙寶,有殊勝之樓閣、臺觀、園林、浴池、階道等,詳載於長阿含經卷二十忉利天品。據俱舍論卷十一載,此天位於須彌山頂,四角各有一峰,高五百由旬,有藥叉神名金剛手者,止住其中守護諸天。此外,尚記述此天境界之莊嚴情形,然與阿含經所述略異。<br>
 忉利天為帝釋之住處,此信仰自古即盛行於印度。傳說佛陀之母摩耶夫人命終後生於此天,佛陀曾上昇忉利為母說法三個月。〔雜阿含經卷十九、卷二十三、卷四十五、中阿含卷一晝度樹經、卷五十五持齋經、長阿含卷三遊行經、增一阿含經卷二十八、卷三十三、卷三十七、佛昇忉利天為母說法經、正法念處經卷二十六至卷三十五、有部毘奈耶雜事卷三十六、大智度論卷九、卷五十六、玄應音義卷二〕 p1930"}}{{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41002/%E5%BF%89%E5%88%A9%E5%A4%A9 忉利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quoteps=<br>"忉利天: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br>解釋:
41번째 줄: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br>解釋:
<br>===(界名)Tra%yastrm%s/a,作怛唎耶怛唎奢天,多羅夜登陵舍天。譯言三十三天。欲界六天中之第二,在須彌山之頂,閻浮提之上,八萬由旬之處。此天之有情身長一由旬,衣重六銖、壽一千歲(以世間百年為一日一夜),城廓八萬由旬,名喜見城,帝釋居之。巔之四方有峰,各廣五百由旬。每峰有八天。善法堂天,山峰天,山頂天,喜見城天,缽私他天,俱吒天,雜殿天,歡喜園天,光明天,波利耶多天,離險岸天,谷崖岸天,摩尼藏天,施行天,金殿天,鬘形天,柔軟天,雜莊嚴天,如意天,微細行天,歌音喜樂天,威德輪天,日行天,閻摩那娑羅天,連行天,影照天,智慧行天,眾分天,曼陀羅天,上行天,威德顏天,威德燄輪光天,清淨天,是為三十三天。玄應音義二曰:「忉利,此應訛也。正言多羅夜登陵舍天,此譯云三十三天。」慧苑音義上曰:「忉利,訛言。正云怛利耶怛利奢,言怛利耶者此云三也。怛利舍者十三也,謂須彌山頂四方各有八天城,當中有一天城,帝釋所居。總數有三十三處,故從處立名也。」法華經勸發品曰:「若但書寫,是人命終,當生忉利天上。」"}}{{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5%BF%89%E5%88%A9%E5%A4%A9 忉利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quoteps=<br>"忉利天:
<br>Pronunciations:
[py] Daolì Tiān
73번째 줄:
불교의 [[우주론 (불교)|우주론]]에 따르면, 도리천은 [[6욕천]](六欲天) 가운데 네 번째 [[하늘]][天]로, [[수미산]](須彌山)의 정상에 위치하고 있다. [[수미산]] 정상에는 동서남북 4방에 [[천인]](天人)들이 사는 각각 8개씩의 천성(天城)이 있으며, 중앙에는 '''제석천'''(帝釋天, {{llang|sa|[[:en:Śakra|<span style="color: black">Śakra</span>]]}}, {{lang|sa|[[:en:Indra|<span style="color: black">Indra</span>]]}}, [[인드라]])이 사는 '''선견성'''(善見城)이 있어 33천이라고 한다. 도리천의 [[천인]]들의 수명은 1000세이고, 도리천의 하루가 인간세상의 100년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F%84%EB%A6%AC%EC%B2%9C&rowno=1 忉利天(도리천)]". 2013년 6월 16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545&DTITLE=%C9{%A7Q%A4%D1 忉利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41002/%E5%BF%89%E5%88%A9%E5%A4%A9 忉利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
 
[[남방불교]]의 전설에 따르면, [[고타마 붓다]]의 [[어머니]]인 [[마야부인]]이 죽은 뒤 다시 태어난 곳이 바로 도리천이다. [[고타마 붓다]]는 [[완전한 깨달음]]을 [[증득]]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때인 우기(雨期)에 도리천으로 올라가서 어머니 [[마야부인]]을 위하여 석 달 동안 설법하였고 또한 이 기간 동안 잠시 지상에 내려와서는 [[10대 제자]] 중 지혜 제일인 [[사리불]]에게 그 설법의 요약판을 설법하였다. 이렇게 우기의 석 달이 지난 후 [[승가시국]](僧迦施國, {{llang|en|[[:en:Sankassa|<span style="color: black">Sankassa</span>]]}})에 내려왔는데, 승가시국은 불교의 [[8대성지]] 가운데 하나이다. 도리천에서 [[마야부인]]에게 설법한 것이 [[아비달마]] 즉 [[논장]]의 전체 버전이고 [[사리불]]에게 설법한 것이 그 요약 버전이다. [[사리불]]에게 [[아비달마]]의 전체 버전을 설하지 못한 것은 [[인간세계]]가 가진 한계 때문에 그 전체를 설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F%84%EB%A6%AC%EC%B2%9C&rowno=1 忉利天(도리천)]". 2013년 6월 16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545&DTITLE=%C9{%A7Q%A4%D1 忉利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sfn|Red Pine|2004|pp=11-13|quoteps=<br>"''Trayatrinsha'' is Sanskrit (Pali: ''Tavatimsa'') for "thirty-three."
<br>According to Buddhist cosmology this was the name of the
celestial residence of thirty-three devas, including Indra, their
158번째 줄:
rainy season, was attended by great fanfare; a stairway materialized for his descent,
and the gods escorted him with honorific banners, parasols, and clouds of
heavenly perfumes."</ref>
 
신라 [[선덕여왕]]이 자신이 죽으면 도리천에 묻어달라고 말했다.
164번째 줄:
==도리천의 위치==
 
《[[기세경]](起世經)》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의 시작 부분에서 [[고타마 붓다]]는 [[비구]]들에게 [[우주]] 즉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한 후, 아래 인용문과 같이 [[1수미세계]]의 구성요소들인 [[공륜 (불교)|공륜]][虛空]{{.cw}}[[풍륜]][風]{{.cw}}[[수륜]][水]{{.cw}}[[금륜]][地]의 [[4륜]]과, [[대지]](大地) 즉 [[금륜]]과, [[대해]](大海) 즉 [[8해]](八海)와, [[9산]](九山)의 한가운데에 있는 [[수미산]]에 대해 설하고 있다. 그런 후 [[욕계]]의 [[하늘 (불교)|하늘]]들인 [[6욕천]]{{.cw}}[[색계]]의 [[하늘 (불교)|하늘]]{{.cw}}[[무색계]]의 [[하늘 (불교)|하늘]]들을 설명 또는 열거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도리천 즉 33천은 [[6욕천]] 가운데 제2천으로 '''수미산 정상의 지표면'''에 위치하며, 도리천의 왕은 '''제석'''(帝釋)이다. 이 경전에 따르면 [[수미산]]의 높이는 총 16만 8천 [[유순]]인데 바다 속에 잠긴 부분이 8만 4천 [[유순]]이고 바다 위에 솟아난 부분이 8만 4천 [[유순]]이다. 따라서 도리천의 고도는 해발 8만 4천 [[유순]]이다.{{sfn|사나굴다 한역|T.24|loc=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4_p0310b08 T01n0024_p0310b08 - T01n0024_p0311b06].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quoteps=<br>"佛言。比丘。如一日月所行之處。照四天下。如是等類。四天世界。有千日月所照之處。此則名為一千世界。諸比丘。千世界中。千月千日千須彌山王。四千小洲。四千大洲。四千小海。四千大海。四千龍種姓。四千大龍種姓。四千金翅鳥種姓。四千大金翅鳥種姓。四千惡道處種姓。四千大惡道處種姓。四千小王。四千大王。七千種種大樹。八千種種大山。十千種種大泥犁。千閻摩王。千閻浮洲。千瞿陀尼。千弗婆提。千鬱單越。千四天王天。千三十三天。千夜摩天。千兜率陀天。千化樂天。千他化自在天。千摩羅天。千梵世天。諸比丘。於梵世中。有一梵王。威力最強。無能降伏。統攝千梵自在王領。云我能作能化能幻。云我如父。於諸事中。自作如是憍大語已。即生我慢。如來不爾。所以者何。一切世間。各隨業力。現起成立。諸比丘。此千世界。猶如周羅(周羅者隋言髻)。名小千世界。諸比丘。爾所周羅一千世界。是名第二中千世界。諸比丘。如此第二中千世界。以為一數。復滿千界。是名三千大千世界。諸比丘。此三千大千世界。同時成立。同時成已而復散壞。同時壞已而復還立。同時立已而得安住。如是世界。周遍燒已。名為散壞。周遍起已。名為成立。周遍住已。名為安住。是為無畏一佛剎土眾生所居。諸比丘。今此大地。厚四十八萬由旬。周闊無量。如是大地。住於水上。水住風上。風依虛空。諸比丘。此大地下。所有水聚。厚六十萬由旬。周闊無量。彼水聚下。所有風聚。厚三十六萬由旬。周闊無量。諸比丘。此大海水。最極深處。深八萬四千由旬。周闊無量。諸比丘。須彌山王。下入海水。八萬四千由旬。上出海水。亦八萬四千由旬。須彌山王。其底平正。下根連住大金輪上。諸比丘。須彌山王。在大海中。下狹上闊。漸漸寬大。端直不曲。大身牢固。佳妙殊特。最勝可觀。四寶合成。所謂金銀琉璃頗梨。須彌山上。生種種樹。其樹鬱茂。出種種香。其香遠熏。遍滿諸山。多眾聖賢。最大威德。勝妙天神之所止住。諸比丘。須彌山王。上分有峰。四面挺出。曲臨海上。各高七百由旬。殊妙可愛。七寶合成。所謂金銀琉璃頗梨真珠車磲瑪瑙之所莊挍。諸比丘。須彌山下。別有三級。諸神住處。其最下級。縱廣正等。六十由旬。七重牆院。七重欄楯。七重鈴網。復有七重多羅行樹。周匝圍遶。端嚴可愛。其樹皆以金銀琉璃頗梨赤珠車磲瑪瑙七寶所成。一一牆院。各有四門。於一一門。有諸壘堞重閣輦軒卻敵樓櫓臺殿房廊苑園池沼。具足莊嚴。一一池中。並出妙華。散眾香氣。有諸樹林。種種莖葉。種種花果悉皆具足。亦出種種殊妙香氣。復有諸鳥。各出妙音。鳴聲間雜。和雅清暢。其第二級。縱廣正等。四十由旬。七重牆院。七重欄楯。七重鈴網。多羅行樹亦有七重。周匝齊平。端嚴可愛。亦為七寶。金銀琉璃頗梨赤珠車磲瑪瑙之所挍飾。所有莊嚴。門觀樓閣臺殿園池果樹眾鳥。皆悉具足。其最上級。縱廣正等。二十由旬。七重牆院。乃至諸鳥。各出妙音。莫不具足。諸比丘。於下級中。有夜叉住。名曰缽手。第二級中。有夜叉住。名曰持鬘。於上級中。有夜叉住。名曰常醉。諸比丘。須彌山半。高四萬二千由旬。有四大天王所居宮殿。須彌山上。有三十三天宮殿。帝釋所居。三十三天已上一倍。有夜摩諸天所居宮殿。夜摩天上。又更一倍。有兜率陀天所居宮殿。兜率天上。又更一倍。有化樂諸天所居宮殿。化樂天上。又更一倍。有他化自在諸天宮殿。他化天上。又更一倍。有梵身諸天所居宮殿。他化天上。梵身天下。於其中間。有摩羅波旬諸天宮殿。倍梵身上。有光音天。倍光音上。有遍淨天。倍遍淨上。有廣果天。倍廣果上。有不麤天。廣果天上。不麤天下。其間別有諸天宮殿所居之處名無想眾生。倍不麤上。有不惱天。倍不惱上。有善見天。倍善見上。有善現天。倍善現上。有阿迦尼吒諸天宮殿。諸比丘。阿迦尼吒已上。更有諸天。名無邊空處。無邊識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此等皆名諸天住處。諸比丘。如是處所。如是界分。眾生居住。是諸眾生。若來若去。若生若滅。邊際所極。此世界中。所有眾生。有生老死。墮在如是生道中住。至此不過。是名娑婆世界無畏剎土。諸餘十方一切世界。亦復如是。"}}{{sfn|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K.660, T.24|loc=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77&startNum=2 2-6 / 222].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와 1수미세계(一須彌世界)|quoteps=<br>"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br>“비구들아, 하나의 해와 달이 다니면서 사천하를 비추는 것처럼 이와 같은 4천하에 천 개의 해와 달이 있어 비추어지는 곳을 곧 1천 세계라고 한다.
<br>비구들아, 천 세계 중에는 천 개의 달과 천 개의 해와 천 개의 수미산왕과 4천 소주(小洲)와 4천 대주(大洲)와 4천 소해(小海)와 4천 대해(大海)가 있으며, 4천의 용 종족과 4천의 큰 용 종족과 4천의 금시조(金翅鳥) 종족과 4천의 큰 금시조 종족과 4천의 나쁜 길 처소[惡道處]의 종족과 4천의 크게 나쁜 길 처소의 종족과 4천의 소왕(小王), 4천의 대왕, 7천의 갖가지 큰 나무, 8천의 갖가지 큰 산들과 10천의 갖가지 큰 니리(泥犁 : 지옥)들, 그리고 천의 염마왕(閻摩王), 천의 염부주, 천의 구타니(瞿陀尼), 천의 불파제(弗婆提), 천의 울단월(鬱單越)과 천의 사천왕천, 천의 삼십삼천, 천의 야마천, 천의 도솔타천, 천의 화락천, 천의 타화자재천, 천의 마라천과 천의 범세천(梵世天)이 있다.
191번째 줄:
<br>비구들아, 아가니타천 위에 다시 여러 하늘이 있는데, 무변공처(無邊空處)·무변식처(無邊識處)·무소유처(無所有處)·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라 하나니, 이들은 모두 하늘들이 살고 있는 곳의 이름이다.
<br>비구들아, 이와 같은 처소와 이와 같은 지경에 중생들이 살고 있는데, 이 모든 중생들은 오고 가기도 하며 났다가 없어지기도 하여 끝끝내 다하느니라. 이 세계 안의 모든 중생들은 나고·늙고·죽음이 있으며, 이와 같이 나는 길[生道] 가운데 떨어져 머무르며 여기에서 더 지나가지 못하니, 이것이 사바 세계요, 두려움 없는 국토[無畏刹土]이다.
<br>나머지 모든 시방의 일체 세계들도 그와 같다."}} 이에 비해, 《[[구사론]]》 제11권에 따르면, [[수미산]]의 총 높이는 16만 [[유순]]으로, 바다에 잠긴 부분이 8만 유순이고 바다 위에 드러난 부분이 8만 유순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59b17 T29n1558_p0059b17 - T29n1558_p0059c09]. 4천왕천(四天王天)|quoteps=<br>"日等宮殿何有情居。四大天王所部天眾。是諸天眾唯住此耶。若空居天唯住如是日等宮殿。若地居天住妙高山諸層級等。有幾層級。其量云何。何等諸天住何層級。頌曰。
<br>  妙高層有四  相去各十千
<br>  傍出十六千  八四二千量
<br>  堅手及持鬘  恒憍大王眾
<br>  如次居四級  亦住餘七山
<br>論曰。蘇迷盧山有四層級。始從水際盡第一層。相去十千踰繕那量。如是乃至從第三層盡第四層亦十千量。此四層級從妙高山傍出圍繞盡其下半。最初層級出十六千。第二第三第四層級。如其次第。八四二千。有藥叉神名為堅手住初層級。有名持鬘住第二級。有名恒憍住第三級。此三皆是四大天王所部天眾。第四層級四大天王及諸眷屬共所居止故。經依此說四大王眾天。如妙高山四外層級四大王眾及眷屬居。如是持雙持軸山等七金山上亦有天居。是四大王所部封邑。是名依地住四大王眾天。於欲天中此天最廣。"}}{{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25 525-527 / 1397]. 4천왕천(四天王天)|quoteps=<br>"해 등의 궁전에는 어떠한 유정이 살고 있는 것인가?
<br>사대천왕(四大天王)에게 소속된 천중(天衆)들이 살고 있다.<sup style="color: blue">44)</sup>
<br>그렇다면 이러한 온갖 천중은 오로지 여기에만 머무는 것인가?
221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45)</sup> 여기서 공중에 사는 천이란 욕계의 야마·도솔·낙변화·타화자재 등의 4천과 색계 온갖 천을 말하며, 땅에 사는 천이란 욕계 6천 중의 사대천왕과 삼십삼천을 말한다.(후술)
<br><sup style="color: blue">46)</sup>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r><sup style="color: blue">47)</sup> 『장아함경』 권제20 『세기경(世記經)』 「사천왕품」(대정장1, p. 130중 이하); 『기세경(起世經)』 권제6 「사천왕품」(동 p.339하 이하);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권제6 「사천왕품」(동 p.394하 이하) 참조."}} 따라서 도리천의 고도는 해발 8만 유순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59c09 T29n1558_p0059c09 - T29n1558_p0060a23]. 도리천(忉利天)|quoteps=<br>"三十三天住在何處。頌曰。
<br>  妙高頂八萬  三十三天居
<br>  四角有四峰  金剛手所住
233번째 줄:
<br>  花香不能逆風熏  根莖等香亦復爾
<br>  善士功德香芬馥  逆風流美遍諸方
<br>據人間香故作是說。以世共了無如是能。化地部經說。此香氣順風熏滿百踰繕那。若無風時唯遍五十。外西南角有善法堂。三十三天時集於彼詳論如法不如法事。"}}{{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27 527-531 / 1397]. 도리천(忉利天)|quoteps=<br>"그렇다면 삼십삼천(三十三天)은 어떠한 처소에 주재하는 것인가?
<br>게송으로 말하겠다.
<br>  묘고산 꼭대기는 8만 유선나로서
284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52)</sup> 『대비바사론』 권제133(한글대장경123, p. 186)에 의하면, 반월(半月)의 8일과 14일과 15일."}}
 
한편, 《[[기세경]](起世經)》은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의 이역본들 가운데 하나로, [[수나라|수]](隋: 581~618)나라 시대인 585~600년 사이에 [[사나굴다]](闍那崛多)가 [[한역]]한 경전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8%B0%EC%84%B8%EA%B2%BD&rowno=1 起世經(기세경)]". 2013년 6월 26일에 확인|quoteps=<br>"起世經(기세경):
<br>K-660, T-24. 수(隋)나라 때 사나굴다(闍那崛多, Jñānagupta)가 585년에서 600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사바제성(舍婆提城) 가리라(迦利羅) 석실(石室)에 계실 적에 여러 비구에게 세계와 국토의 조직ㆍ기원ㆍ성립ㆍ파괴 등의 까닭과 그 과정을 말한 것이다. 섬부주품(贍部洲品)ㆍ울단월주품(鬱單越州品)ㆍ전륜성왕품(轉輪聖王品)ㆍ지옥품(地獄品)ㆍ제용금시조품(諸龍金翅鳥品)ㆍ아수라품(阿修羅品)ㆍ 4천왕품(天王品)ㆍ33천품(天品)ㆍ전투품(戰鬪品)ㆍ겁주품(劫住品)ㆍ세주품(世住品)ㆍ최승품(最勝品) 등 12품으로 되어 있다. 그 내용은 『대루탄경(大樓炭經)』과 거의 유사하다. 이역본으로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ㆍ『대루탄경』과 『장아함경』의 제4분에 있는 「세기경(世記經)」이 있다. ⇒『대루탄경(大樓炭經)』"}}{{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014&DTITLE=%B0_%A5@%B8g 起世經]". 2013년 6월 26일에 확인|quoteps=<br>"起世經:
 凡十卷。隋代闍那崛多譯。收於大正藏第一冊。其內容敘述世界之組織、狀態、起源、成壞等過程。分閻浮洲品、鬱單越洲品、轉輪聖王品、地獄品、諸龍金翅鳥品、阿修羅品、四天王品、三十三天品、鬥戰品、劫住品、世住品、最勝品等十二品。本經共有六種譯本,然現存者僅四種,除本經外,餘三者為起世因本經(隋代達磨笈多譯)、大樓炭經(西晉法立、法炬共譯)、長阿含經卷十八至卷二十二(東晉佛陀耶舍、竺佛念共譯)。〔出三藏記集卷二、大唐內典錄卷七、開元釋教錄卷二、卷四、卷七〕 p4322"}}
 
313번째 줄:
그 [[제3층급|맨 위의 등급]][最上級]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20유순인데, ...
비구들아, [[제1층급|맨 아래급]][下級]에는 [[발수]](鉢手)라는 [[야차]]가 살고 있으며, [[제2층급|제2급]](第二級)에는 [[지만 (불교)|지만]](持鬘)이라는 [[야차]]가 살고 있으며, [[제3층급|상급]](上級)에는 [[상취]](常醉)라는 [[야차]]가 살고 있다.
비구들아, [[수미산]] 중턱[須彌山半] 높이 4만 2천 [[유순]]되는 [[제4층급|곳]]에 [[사대천왕]](四大天王)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으며 [편집자주: 여기까지는 [[6욕천]] 중 제1천인 [[4천왕천]]에 대한 설명이다], '''수미산 위에는'''[須彌山上] '''삼십삼천'''(三十三天: [[6욕천]] 중 제2천인 [[도리천]])의 궁전이 있는데 '''제석'''(帝釋)이 살고 있다. 삼십삼천에서 한 갑절 올라가면 [[야마천]](夜摩天: [[6욕천]] 중 제3천)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야마천에서 위로 또 한 갑절 올라가면 [[도솔타천]](兜率陀天: [[6욕천]] 중 제4천)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도솔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화락천]](化樂天: [[6욕천]] 중 제5천)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화락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6욕천]] 중 제6천)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타화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범신천]](梵身天: [[색계]] [[초선천]]의 통칭{{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5221&DTITLE=%B1%EB%B2%B3%A4%D1 梵眾天]". 2013년 6월 26일에 확인|quoteps=<br>"梵眾天:
 梵名 Brahma-pārisadya-deva。音譯梵波梨沙天。又作梵身天。色界初禪天之第一天。以其乃大梵所有、所化、所領之天眾所住,故稱梵眾天。此天之天眾身長半由旬,壽命半劫。又梵身天,除指梵眾天外,於長阿含經卷二十亦將梵迦夷天(梵 Brahman-kāyika-deva)譯作梵身天,而為色界初禪天之總稱。〔佛地論卷五、俱舍論卷八、卷十一、雜阿毘曇心論卷二〕(參閱「梵天」4627) p4638"}})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다.”
|4=《기세경》 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4_p0310c05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77&startNum=3 한글본]}}
434번째 줄:
<br>..."</ref> 이것을 줄여서 '''석제환인'''(釋提桓因) 또는 '''석가제바'''(釋迦提婆)라고도 한다. 그리고 환인(桓因)은 [[석제환인]]의 줄임말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309&DTITLE=%AB%D2%C4%C0%A4%D1 帝釋天]". 2013년 6월 24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7124/%E6%A1%93%E5%9B%A0 桓因]".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석가제환인다라]](釋迦提桓因陀羅)에서 석가는 샤크라(Śakra)의 음역어인데, 샤크라는 [[힌두교의 신]] [[인드라]](Indra)의 여러 다른 이름들 가운데 하나이다. 제환은 데바남(Devānām)의 음역어인데 '[[데바]]들의(of devas, of gods, of demigods)'를 뜻하며,<ref>[http://vedabase.net/d/devanam "devanam"]. Bhaktivedanta VedaBase Network. 2013년 6월 27일에 확인.</ref> [[제바]](提婆)라고도 음역하며 보통 의역하여 [[천 (불교)|천]](天)이라고 한다. 인다라는 [[인드라]](indra)의 음역어인데 우두머리(chief) 또는 왕(king)을 뜻한다. 즉, 환인(桓因)은 석가제'''환인'''다라(釋迦提桓因陀羅)에서 {{nowrap|'환인'}}을 추출하여 약어로 삼은 것으로, 데바들의 왕(lord of devas)을 뜻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309&DTITLE=%AB%D2%C4%C0%A4%D1 帝釋天]". 2013년 6월 24일에 확인}}{{sfn|Dawson|1888|loc="INDRA" pp. 123-125}}
 
'''제석'''(帝釋)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천제(天帝) 샤크라(Sovereign Śakra)' 즉 '[[신 (불교)|신]][天]들의 제왕[帝], 샤크라[釋](king of the gods, Śakra)'이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7750/%E5%B8%9D%E9%87%8B 帝釋]". 2013년 6월 27일에 확인|quoteps=<br>"帝釋: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br>解釋:
451번째 줄:
<br>  Kumārajīva: {L.48c3} 釋提桓因"}} 또한 [[제석천]]은 간단히 '''천주'''(天主)라고도 하는데, 이것도 역시 '[[데바]][天]들의 왕[主]'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인드라]](Indra)를 의역한 것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309&DTITLE=%AB%D2%C4%C0%A4%D1 帝釋天]". 2013년 6월 24일에 확인}}{{sfn|Dawson|1888|loc="INDRA" pp. 123-125}}
 
불교 [[우주론 (불교)|우주론]]에 따르면, [[제석천]]이 '모든 [[데바]]들 즉 모든 [[천신]](天神)들의 왕' 즉 [[최고신]](God)인 것은 아니며, [[6욕천]] 가운데 제2천인 도리천 즉 33천의 왕이다. 그런데, [[6욕천]]의 제1천인 [[4천왕천]]의 왕들인 [[4천왕]]이 [[제석천]]의 통솔을 받으므로, [[제석천]]은 [[6욕천]]의 제1천과 제2천의 왕이라고 할 수 있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AC%EC%B2%9C%EC%99%95&rowno=2 四天王(사천왕)]".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즉, [[제석천]]은 [[욕계]]{{.cw}}[[색계]]{{.cw}}[[무색계]]의 여러 [[하늘 (불교)|하늘]]들 가운데 최하위의 두 [[하늘 (불교)|하늘]]의 왕일 뿐이다. 그렇기는 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불교 우주론에서 [[하늘 (불교)|하늘]][天]들은 지표면에 존재하는 하늘인 [[지거천]]과 공중에 존재하는 하늘인 [[공거천]]으로 나뉘는데, [[욕계]]의 [[6욕천]] 가운데 가장 하위의 두 하늘인 제1천인 [[4천왕천]]과 제2천인 도리천(33천)만이 [[지거천]]이며 나머지 모든 [[욕계]]{{.cw}}[[색계]]{{.cw}}[[무색계]]의 [[하늘 (불교)|하늘]]들은 모두 [[공거천]]이다. 이런 측면에서는 환인(桓因) 즉 [[제석천]]은 비록 지상계와 천상계 전체의 [[최고신]](God)은 아니지만 지상계의 [[최고신]]이라고 할 수 있다. [[제석천]]이 거주하는 궁전은 '하나의 [[세계 (불교)|세계]][一世界]' 즉 [[1수미세계]](一須彌世界) 또는 [[1소세계]](一小世界)의 중심을 이루는 산인 [[수미산]]의 정상의 지표면에 위치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223&DTITLE=%B6%B7%C0%B1%A4s 須彌山]".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그리고, 불교 우주론에서, [[태양신]] 즉 [[일천]](日天)은 [[달의 신]]인 [[월천]](月天)과 함께 [[6욕천]]의 제1천인 [[4천왕천]]에 속하는 [[천신]]이다. 즉, [[4천왕]]의 통솔을 받는 [[데바]]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59b17 T29n1558_p0059b17 - T29n1558_p0059c09]}}{{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25 525-527 / 1397]}} [[4천왕천]]의 [[천신]]들이 거주하는 곳, 즉 [[4천왕천]]의 범위는 [[해]]와 [[달]], [[수미산]]의 하반부 그리고 [[7금산]](七金山)이다. 즉, [[9산 (불교 우주론)|9산]] 가운데 제9산 즉 맨바깥의 산맥인 [[철위산]]이 제외되며, 또한 [[철위산]]과 제8산 사이에 있는 짠물 바다에 둘러싸여 있는 네 대륙인 [[4대주]](四大洲)가 제외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59b17 T29n1558_p0059b17 - T29n1558_p0059c09]}}{{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25 525-527 / 1397]}} [[4대주]]는 [[인간도]]의 [[유정 (불교)|유정]]들의 [[세계 (불교)|세계]] 즉 거주처이다. [[4대주]]를 [[4천하]](四天下)라고도 한다. 즉, '''불교 용어로서의 천하'''(天下)는 [[4대주]]의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AC%EC%B2%9C%ED%95%98&rowno=1 四天下(사천하)]".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4대주]] 가운데 남쪽에 있는 대륙인 [[남섬부주]](南贍部洲) 즉 [[염부제]](閻浮提)는 원래는 [[인도]] 아대륙을 가리킨 것이지만, 후대에서는 [[지구]] 즉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인간세계]]'''[人世]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1948&DTITLE=%C0F%AFB%B4%A3 閻浮提]". 2013년 6월 24일에 확인|quoteps=<br>"閻浮提:
 梵名 Jambu-dvīpa,巴利名 Jambu-dīpa 之音譯。又作閻浮利、贍部提、閻浮提鞞波。閻浮,梵語 jambu,乃樹之名;提,梵語 dvīpa,洲之意。梵漢兼譯則作剡浮洲、閻浮洲、贍部洲、譫浮洲。略稱閻浮。舊譯為穢洲、穢樹城,乃盛產閻浮樹之國土。又出產閻浮檀金,故又有勝金洲、好金土之譯名。此洲為須彌山四大洲之南洲,故又稱南閻浮提(梵 Daksina-jambu-dvīpa)、南閻浮洲、南贍部洲。<br>
 長阿含卷十八閻浮提洲品載,其土南狹北廣,縱廣七千由旬,人面亦像此地形。又阿耨達池之東有恆伽(殑伽)河,從牛之口出,從五百河入於東海。南有新頭(信度)河,從獅子之口出,從五百河入於南海。西有婆叉(縛芻)河,從馬之口出,從五百河入於西海。北有斯陀(徙多)河,從象之口出,從五百河入於北海。又大樓炭經卷一、起世經卷一、起世因本經卷一等之說亦同。俱舍論卷十一載,四大洲中,唯此洲中有金剛座,一切菩薩將登正覺,皆坐此座。<br>
 凡上所述,可知閻浮提原本係指印度之地,後則泛指人間世界。〔雜阿毘曇心論卷三、立世阿毘曇論卷一、大毘婆沙論卷一七二、大唐西域記卷一、玄應音義卷十八〕 p6337"}}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인간세계]] 즉 [[천하]]는 [[1수미세계]](一須彌世界)의 아주 작은 일부분이다.
 
불교 우주론에 따르면, 한 명의 [[부처]]의 [[교화 (불교)|교화]] 범위를 [[1불찰]](一佛刹) 즉 1개의 [[불국토]]라고 하는데, 1불찰은 1개의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말한다. '[[6욕천]]의 나머지 네 하늘과 [[색계]]{{.cw}}[[무색계]]의 [[하늘 (불교)|하늘]]들을 포함한, 1개의 [[태양]]과 1개의 [[달]]이 있는 [[1수미세계]] 즉 [[1세계]]'가 1000개 모여서 [[소천세계]](小千世界)를 이루고, 소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중천세계]](中千世界)를 이루며, 중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대천세계]](大千世界)를 이룬다. 이와 같이 천(千, 1000)이 3번 중첩되었다고 하여 [[대천세계]]를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도 한다. 이러한 [[3천대천세계]]가 [[우주]] 즉 [[법계 (불교)|법계]]를 이룬다. 따라서 엄밀히 계산하면 [[1수미세계]]가 10억 개 모인 것이 하나의 [[우주]]인데, 불교 우주론에 따르면 이것은 단지 표현상의 서술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대천세계]] 즉 [[우주]]는 실제로는 [[1수미세계]] 즉 [[1세계]]가 천백억(千百億 = 1000 × 100억) 개 즉 10조 개 모인 것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C%B2%9C%EC%84%B8%EA%B3%84&rowno=2 一大三千世界(일대삼천세계)]". 2013년 6월 24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65&DTITLE=%A4T%A4d%A4j%A4d%A5@%AC%C9 三千大千世界]". 2013년 6월 24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36152/%E5%8D%83%E7%99%BE%E5%84%84%E5%8C%96%E8%BA%AB 千百億化身]". 2013년 6월 24일에 확인"}} 이러한 견해에 의할 때,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인간세계]] 즉 [[천하 (불교)|천하]] 즉 [[남섬부주]]는 [[우주]]의 지극히 미소한 일부일 뿐이다. 하지만 한 [[유정 (불교)|유정]]이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할 때 그 [[지혜 (불교)|지혜]]는 [[우주]]의 전 영역, 즉 천백억 개의 세계 전체를 포괄한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36152/%E5%8D%83%E7%99%BE%E5%84%84%E5%8C%96%E8%BA%AB 千百億化身]". 2013년 6월 24일에 확인|quoteps=<br>"千百億化身: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br>解釋: (術語)謂菩提樹下成道之佛身,即八相成道之佛也。梵網經說盧舍那佛坐千葉之蓮華臺,其千葉一一有百億之國(即三千大千世界也),其一一國各有一佛於成道菩提樹下而說法。經下曰:「我今盧舍那,方坐蓮華臺。周匝千華上,復現千釋迦。一華百億國,一國一釋迦。各坐菩提樹,一時成佛道。如是千百億,盧舍那本身。」"}}{{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7316/%E5%8D%83%E7%99%BE%E5%84%84%E8%BA%AB 千百億身]". 2013년 6월 24일에 확인|quoteps=<br>"千百億身: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br>解釋: The Buddha Locana seated on a lotus of a thousand petals, each containing myriads of worlds in each world is, Śākyamuni seated under a bodhi tree, all such worlds attaining bodhi at the same instant."}}
466번째 줄:
==33천==
 
《[[정법념처경]]》 제25권에 따르면 도리천에 존재하는 33천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sfn|반야류지 한역|T.721|loc=제25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17n0721_p0143b17 T17n0721_p0143b17 - T17n0721_p0143c07]. 33천(三十三天)|quoteps=<br>"如是比丘。觀四天王天已。觀三十三天所住之地。及觀業行。以何業故生三十三天。彼以聞慧。見三十三天所住之地。何等三十三。一者名曰住善法堂天。二者名住峰天。三者名住山頂天。四者名善見城天。五者名缽私地天。六者名住俱吒天(俱吒者山名也)。七者名雜殿天。八者名住歡喜園天。九者名光明天。十者名波利耶多樹園天。十一者。名險岸天。十二者。名住雜險岸天。十三者。名住摩尼藏天。十四者。名旋行地天。十五者。名金殿天。十六者。名鬘影處天。十七者。名住柔軟地天。十八者。名雜莊嚴天。十九者。名如意地天。二十者。名微細行天。二十一者。名歌音喜樂天。二十二者。名威德輪天。二十三者。名月行天。二十四者。名閻摩娑羅天。二十五者。名速行天。二十六者。名影照天。二十七者。名智慧行天。二十八者。名眾分天。二十九者。名住輪天。三十者。名上行天。三十一者。名威德顏天。三十二者。名威德焰輪天。三十三者。名清淨天。如是三十三天。"}}{{sfn|반야류지 한역, 김월운 번역|K.801, T.721|loc=제25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63&startNum=617 617-618 / 1802]. 33천(三十三天)|quoteps=<br>"이렇게 그 비구는 사천왕천을 관찰하고 다시 삼십삼천의 사는 땅과 그 업행을 관찰한다. 어떤 업으로 삼십삼천에 태어나는가? 그는 들어 얻은 지혜로 삼십삼천의 사는 땅을 본다.
<br>삼십삼천이란, 이른바 첫째의 이름은 주선법당천(住善法堂天)이요, 둘째는 주봉천(住峯天)이며, 셋째는 주산정천(住山頂天)이요, 넷째는 선견성천(善見城天)이며, 다섯째는 발사지천(鉢私地天)이요, 여섯째는 주구타천(住俱吒天)[구타(俱吒)는 산 이름이다.]이며, 일곱째는 잡전천(雜殿天)이요, 여덟째는 주환희원천(住歡喜園天)이며, 아홉째는 광명천(光明天)이요, 열째는 파리야다수원천(波利耶多樹園天)이며, 열한째는 험안천(險岸天)이요, 열두째는 주잡험안천(住雜險岸天)이며, 열셋째는 주마니장천(住摩尼藏天)이요, 열넷째는 선행지천(旋行地天)이며, 열다섯째는 금전천(金殿天)이요, 열여섯째는 만영처천(鬘影處天)이며, 열일곱째는 주유연지천(住柔軟地天)이요, 열여덟째는 잡장엄천(雜莊嚴天)이며, 열아홉째는 여의지천(如意地天)이요, 스무째는 미세행천(微細行天)이며, 스물한째는 가음희락천(歌音喜樂天)이요, 스물두째는 위덕륜천(威德輪天)이며, 스물셋째는 월행천(月行天)이요, 스물넷째는 염마사라천(閻摩娑羅天)이며, 스물다섯째는 속행천(速行天)이요, 스물여섯째는 영조천(影照天)이며, 스물일곱째는 지혜행천(智慧行天)이요, 스물여덟째는 중분천(衆分天)이며, 스물아홉째는 주륜천(住輪天)이요, 서른째는 상행천(上行天)이며, 서른한째는 위덕안천(威德顔天)이요, 서른두째는 위덕염륜천(威德焰輪天)이며, 서른셋째는 청정천(淸淨天)인데, 이것을 삽십삼천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