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살가야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치환됨: {{18계 → {{십팔계 using AWB
Namobot (토론 | 기여)
봇: quote → ps
1번째 줄:
{{불교}}
 
'''20살가야견'''(二十薩迦耶見) 또는 '''20종살가야견'''(二十種薩迦耶見)은 [[살가야견]] 즉 [[유신견]](有身見)을 [[5온]] 또는 [[5취온]]에 근거하여 세분하였을 때의 5가지 [[아견]](我見)과 15가지 [[아소견]](我所見)을 통칭하는 낱말이다. 전통적인 용어로는 '''20구살가야견'''(二十句薩迦耶見)이라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3014&DTITLE=%C2%C4%AD%7B%ADC%A8%A3 薩迦耶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quoteps=<br>"薩迦耶見:
 梵語 satkāya-drsti 。音譯為薩迦耶達利瑟致。薩迦耶,梵語 satkāya,又作薩迦邪、颯迦耶。迦耶,梵語 kāya,聚集之義,意譯作身。薩是有之義,又含虛偽、移轉之義。見為梵語 drsti(達利瑟致)之意譯。故薩迦耶見總譯作有身見,或譯作虛偽身見、移轉身見。為五見之一,亦為十隨眠之一。即於五蘊和合之體,執著我及我所等妄見。<br>
 關於此見之名義,因諸部派對薩迦耶之「薩」字見解不同,故有諸多異說,茲略述如下:(一)有身見,為說一切有部所立。此部以「薩」為有之義,謂身為五蘊之集合,此五蘊之法體為實有,故稱有身;而緣此實有之身,執著我、我所等之妄見,稱為有身見。(二)虛偽身見,又作壞身見、偽身見,為經量部所立。此部以「薩」為壞、無常之義,謂身為五蘊之假合,生滅無常,無有實體,故稱壞身、虛偽身;而緣此虛偽之身,生起我、我所等之執著妄見,稱為虛偽身見、壞身見。(三)移轉身見,為大乘唯識宗所立。此宗以「薩」為移轉之義,亦即有無不定,或非有似有之義;以「身」為因緣和合依他起性,故謂身為非有非無,稱為移轉身;而於此移轉身上,推度我、我所等之妄見,稱為移轉身見。<br>
 此外,若就薩迦耶見分別緣於五蘊而論,則可以下列二十句以表之,即:先以色蘊而言,可分為四句,第一句為「色即是我,如主」;第二句為「我有色,如瓔珞」;第三句為「色即是我所,如僮僕」;第四句為「我在色中,如器」。準此而言,受、想、行、識四蘊亦各有如上之四句,總成二十句。在翻譯名義大集(梵 Mahāvyutpatti)中,載有此二十句薩迦耶見之梵名。另據大毘婆沙論卷八載,薩迦耶見若分別緣於二見(我、我所)、三界、五蘊、九地、十二處、十八界等,則可有一句乃至九三六句之薩迦耶見;然若以相續、世、剎那等之法相以分別之,則有無量之薩迦耶見。〔大毘婆沙論卷四十六、卷四十九、順正理論卷四十七、俱舍論卷十九、瑜伽師地論卷五十八、卷八十七、大乘五蘊論、成唯識論述記卷六末、卷九末、大乘阿毘達磨雜集論述記卷三、俱舍論光記卷十九、玄應音義卷二十三〕(參閱「五見」 1099、「隨眠」6351) p6600"}}{{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271&DTITLE=%A7%DA%A9%D2%A8%A3 我所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quoteps=<br>"我所見:
 梵語 mama-kāra-drsti。妄執五蘊之法為我所有,稱為我所見。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載,此見有三,即:(一)相應我所,謂我有物質之形;如謂「我有色」乃至「我有識」,即執著色等五蘊與我身相應,故稱相應我所。(二)隨轉我所,謂物質之形屬於我;如謂「色屬我」乃至「識屬我」,是執著五蘊之法從屬於我,由我之自在力而轉,故稱隨轉我所。(三)不離我所,謂我在物質之形中;如謂「我在色中」乃至「我在識中」,即執著實我不離色等,乃處在蘊中,遍體隨行,故稱不離我所。<br>
 五蘊之法,一一皆具此三義,故總稱十五我所見;此十五我所見再加上五種我見,即成二十種薩迦耶見。〔大毘婆沙論卷八、卷九、卷四十九、俱舍論卷十九、成唯識論卷四、卷六、俱舍論光記卷十九、成唯識論述記卷五本、卷六末〕 p2940"}}{{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29061/%E4%BA%8C%E5%8D%81%E5%8F%A5%E8%96%A9%E8%BF%A6%E8%80%B6%E8%A6%8B 二十句薩迦耶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quoteps=<br>"二十句薩迦耶見: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br>解釋:
15번째 줄:
5가지 [[아견]](我見)을 전통적인 용어로 '''5아견'''(五我見)이라 하고, 15가지 [[아소견]](我所見)을 전통적인 용어로 '''15아소견'''(十五我所見)이라 한다.
 
'''아견'''(我見)은 [[실아]](實我) 즉 [[실아|실제로 존재하는]] '''나'''[我]가 있다는 [[염오견]]으로, [[비아]](非我)의 [[법 (불교)|법]] 즉 [[무아]](無我)의 [[법 (불교)|법]]을 나[我]라고 [[집착]]하는 [[견해 (불교)|견해]]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280&DTITLE=%A7%DA%A8%A3 我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quoteps=<br>"我見:
 梵語 ātma-drsti。指執著有實我之妄見,亦即於非我之法,妄執為我。據大乘起信論載,此又分人、法二種:(一)人我見,即執著於色、受、想、行、識,以五蘊假合之身心為實我。(二)法我見,即妄計一切法皆有其實在體性。又唯識宗以我見為四根本煩惱之一,謂其與第七末那識相應。此末那識係由無始以來虛妄之熏習力,緣於第八阿賴耶識之分,而有實我實法之見。〔大毘婆沙論卷八、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俱舍論卷十九、成唯識論卷四、卷六、成唯識論了義燈卷二本〕 p2939"}}{{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2174&categoryId=2886 아견(我見)]". 2013년 4월 3일에 확인|quoteps=<br>"아견(我見):
<br>① 나라는 견해. 자아(自我)라는 견해.
<br>② 나에 변하지 않는 고유한 실체가 있다고 집착하는 그릇된 견해. 자아(自我)에 변하지 않고 항상 독자적으로 존속하는 실체가 있다고 집착하는 그릇된 견해."}} 한편, [[아견 (말나식)|아견]](我見)은 [[유식학]]에서 [[제7말나식]]이 항상 [[상응 (심불상응행법)|상응]]하는 [[4가지 근본번뇌]] 가운데 하나이다. 이와는 달리 [[20살가야견]]의 문맥에서의 [[아견]](我見)은 [[5온]] 또는 [[5취온]]의 각 요소를 나[我]라고 여기는 것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5%84%EA%B2%AC&rowno=2 我見(아견)]". 2013년 4월 2일에 확인|quoteps=<br>"我見(아견):
또는 신견(身見), 5견(見)의 하나. 보통으로 ‘나’라 함은 5온(蘊)이 화합한 것으로서 참으로 ‘나’라 할 것이 없는데 ‘나’가 있는 줄로 잘못 아는 견해."}} 따라서, '''5아견'''(五我見)이 있게 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3014&DTITLE=%C2%C4%AD%7B%ADC%A8%A3 薩迦耶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271&DTITLE=%A7%DA%A9%D2%A8%A3 我所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29061/%E4%BA%8C%E5%8D%81%E5%8F%A5%E8%96%A9%E8%BF%A6%E8%80%B6%E8%A6%8B 二十句薩迦耶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
 
'''아소견'''(我所見)의 일반적인 정의에 따르면, [[아소견]]은 '''내 것'''[我所]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을 내 것[我所]이라고 여기는 [[염오견]]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5%84%EC%86%8C%EA%B2%AC&rowno=1 我所見(아소견)]". 2013년 4월 2일에 확인|quoteps=<br>"我所見(아소견):
내게 딸린 온갖 물건은 원래 일정한 소유주가 없는 것인데, 참으로 나의 소유물이라고 고집하는 치우친 소견."}}{{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2280&categoryId=2886 아소견(我所見)]". 2013년 4월 3일에 확인|quoteps=<br>"아소견(我所見):
내 것, 나에게 소속된 것이라고 집착하는 그릇된 견해. 내 것, 나에게 소속된 것이라는 관념."}} 내 것[我所]이라는 견해는 나[我]가 존재한다는 전제하에서만 성립되므로 [[아소견]]도 [[살가야견]] 즉 [[유신견]](有身見: 나[身]가 있다는 견해)에 소속되는 것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5온의 각 요소를 내 것[我所]이라고 여기는 유형의 견해'를 [[아소견]]이라고 하는데, 보다 엄밀히는, 이 유형의 견해에 '내가 5온의 어느 요소에 존재한다는 유형의 견해'와 '5온의 각 요소가 나라는 존재 안에 존재한다는 유형의 견해'를 합한 3가지 유형의 견해를 통칭하여 [[아소견]]이라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3014&DTITLE=%C2%C4%AD%7B%ADC%A8%A3 薩迦耶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271&DTITLE=%A7%DA%A9%D2%A8%A3 我所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29061/%E4%BA%8C%E5%8D%81%E5%8F%A5%E8%96%A9%E8%BF%A6%E8%80%B6%E8%A6%8B 二十句薩迦耶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5온의 각 요소가 내 안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유형의 견해'를 '''상응아소'''(相應我所)라고 한다. 이것은 내가 5온의 각 요소와 [[상응 (심불상응행법)|상응]]할 수 있는 것은 나라는 존재 안에 5온의 각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보는 견해이기 때문에 [[상응아소]]라고 한다. '5온의 각 요소를 내 것이라고 여기는 유형의 견해'를 '''수전아소'''(隨轉我所)라고 한다. 이것은 5온의 각 요소가 나의 자재력 즉 역량에 따라 혹은 버리기도 하고 혹은 부리는 것이기도 한다는 뜻에서 [[수전아소]]라고 한다. '내가 5온의 어느 요소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유형의 견해'를 '''불리아소'''(不離我所)라고 한다. 이것은 나라는 존재가 5온에 편재하여 언제나 5온과 함께 행동한다는 뜻에서 [[불리아소]]라고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271&DTITLE=%A7%DA%A9%D2%A8%A3 我所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29061/%E4%BA%8C%E5%8D%81%E5%8F%A5%E8%96%A9%E8%BF%A6%E8%80%B6%E8%A6%8B 二十句薩迦耶見]". 2013년 4월 2일에 확인}}{{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8c04 T31n1606_p0698c04 - T31n1606_p0698c17]. 20구살가야견(二十句薩迦耶見)|quoteps=<br>"問於五取蘊有二十句薩迦耶見。謂計色是我我有諸色。色屬於我我在色中。如是計受想行識是我我有識等識等屬我我在識等中。於此諸見幾是我見幾我所見。答五是我見。十五是我所見。謂計色是我。計受想行識是我。此五是我見。餘十五是我所見。何因十五是我所見。相應我所故。隨轉我所故。不離我所故。相應我所者。謂我有色乃至我有識。所以者何。由我與彼相應說有彼故。隨轉我所者。謂色屬我乃至識屬我所以者何。若彼由此自在力轉。或捨或役。世間說彼是我所故。不離我所者。謂我在色中乃至我在識中。所以者何。彼計實我處在蘊中遍體隨行故。"}}{{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24 24-25 / 388]. 20구살가야견(二十句薩迦耶見)|quoteps=<br>"5취온에서도 스무 가지의 살가야견이 생겨나는 것이니, 자아는 색에 의해 존재한다고 하거나, 색이 자아의 속성이라고 하거나, 또는 자아는 색 가운데 존재한다고 합니다. 또 이처럼 수온ㆍ상온ㆍ행온ㆍ식온을 자아라고 헤아리거나, 자아는 식온에 의하여 존재한다고 하거나, 식온이 자아의 속성이라고 하거나, 식온 가운데 자아가 존재한다고도 한다.
<br>이와 같은 여러 가지 견해 중에서 몇 가지가 아견(我見)이고 몇 가지가 아소견(我所見)입니까?
<br>이 가운데에서 다섯 가지만이 아견이고, 나머지 열다섯 가지는 아소견이다. 색을 자아라고 헤아리는 것과 수ㆍ상ㆍ행ㆍ식을 자아라고 헤아리는 다섯 가지가 ‘아견’이다. 나머지 열다섯 가지는 ‘아소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