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개조 요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각주: Replaced: {{reflist -> {{각주 using AWB
Namobot (토론 | 기여)
봇: 인용 틀 미사용 변수 삭제
1번째 줄:
'''21개조 요구'''({{llang|zh|二十一個條項|얼쓰이거 탸오샹}}, {{llang|ja|対華二十一ヶ条要求|타이카 니주이치가조 요큐}}, {{llang|en|Twenty-one Demands}})는 [[1915년]] [[1월 18일]]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이 중국에 대해 요구한 21가지 특혜조건을 말한다. 1914년 유럽에서 [[제1차 세계 대전]](~1918년)이 발발하자 일본은 [[영일 동맹]]을 이유로 연합국측에 가담하여 참전했다. 그 진의는 동아시아 지역에 있어서의 일본의 지위를 더 높이고 국제적인 발언권 강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ref >{{서적 인용 |제목=[[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장=[[: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현대 세계의 새 질서/세계를 뒤흔든 세계대전/일본의 침략전쟁#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 |연도= 2004|출판사=도서출판 범한 |인용문=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영·일 동맹(英日同盟)을 이유로 연합국측에 가담하여 참전했는데 그 진의는 극동지역에 있어서의 권익 확대와 국제적인 발언권 강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ref><ref>{{서적 인용 | 저자 = 연민수 |제목= 일본역사 |꺾쇠표 = 예 |출판사=보고사 |연도=1998 |쪽=246|id = ISBN 89-86142-81-3 |인용문=일본은 일영동맹에 근거하여 연합군측에 가담하고 이해 8월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였다<sup>1)</sup>. ... 1) 참전의 목적은 가토 타카아키(加藤高明) 외상의 발언에서 알 수 있듯이 일영동맹의 약속과 독일의 근거지를 아시아로부터 일소하여 일본의 지위를 높힌다는 전략이었다. }} </ref> 1914년 8월 일본은 [[독일]]에 [[선전포고]]한 후, 일본 육군은 중국에 있던 독일의 조차지 [[산둥 반도]]의 [[자오저우 만]]([[칭다오]] 포함)을, 일본 해군은 태평양의 독일령 남양군도를 점령하고,<ref >{{서적 인용 |제목=[[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장=[[: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현대 세계의 새 질서/세계를 뒤흔든 세계대전/일본의 침략전쟁#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 |연도= 2004|출판사=도서출판 범한 |인용문= 일본은 즉각 중국 산둥성(山東省)의 독일 이권을 차지하고 독일령 남양군도(南洋群島)를 점령했다.}} </ref><ref>{{서적 인용 | 저자 = 연민수 |제목= 일본역사 |꺾쇠표 = 예 |출판사=보고사 |연도=1998 |쪽=246|id = ISBN 89-86142-81-3 |인용문=육군은 독일의 아시아 근거지인 중국의 산동반도의 교주만(膠州灣)을, 해군은 태평양의 독일령 남양군도를 점령하였다. }} </ref> 이어서 [[산둥 반도]] 전역에서 군사행동을 전개하였다. 산둥 반도를 점령하고 나서, 일본은 [[위안스카이]] 북양정부에 대해, 산둥에 대한 독일의 권익을 일본이 계승하고, 만주에 대한 일본의 이권을 반영구화하며 [[남만주]]와 [[내몽골]] 일부를 일본에 조차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등 21가지 특혜조건을 요구(1915년 1월 18일)하였고, 중국은 이를 수용(5월)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는 행위는 [[5·4 운동]](1919년)과 같은 격렬한 배일(排日) 여론에 밀려 실패하였다. <ref>{{서적 인용 | 저자 = 연민수 |제목= 일본역사 |꺾쇠표 = 예 |출판사=보고사 |연도=1998 |쪽=246~247|id = ISBN 89-86142-81-3 |인용문 = 더욱이 세계대전으로 유럽열강이 아시아에 눈을 돌릴 여력이 없는 것을 본 일본은 1915년 중국의 원세개(袁世凱) 정권에게 중국에서의 권익확대를 위한 21개조의 요구를 제출하였다. 중국측은 이를 쉽게 용인하지 않았지만 일본은 최후통첩을 보내 강력하게 요구하여 대부분을 승인시켰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격한 배일운동이 일어났으며<sup>3)</sup> 열강도 일본의 이러한 행동에 의심을 갖게 되었다. ... 3) 특히 파리강화회담이 열리던 1919년에 5․4운동이라 불리는 격렬한 배일운동이 일어났다. }} </ref> (→[[일본의 역사]]·[[제1차 세계 대전]]) 이 21개조에 대한 처리는 중국의 민중이 위안스카이에게서 이탈하는 계기가 된다.
 
== 배경과 체결 과정 ==
 
흑룡회의 영수 [[우치다 료헤이]]는 중국으로 세력을 확대하려는 의도에서 중국 혁명과 공화제를 지지했다. <ref name="왕효추"/> 그가 신해혁명 기간에 쓴 "중국개조론"에서 "일본은 열국(列國)을 지도하여 중국을 개조하는 주도권을 장악해야 하고, 공화 정치를 건설하는 일을 찬성하는 방법으로 중국이 과분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힘껏 고취했다. <ref name="왕효추"/> 그리고 1914년 10월에 기초한 "중국 문제 해결에 관한 의견서"에서 더욱 철저하에 그가 중국을 멸망시키려 하는 망령된 의도를 드러냈다. <ref name="왕효추"/> 그는 일본과 중국이 비밀군사동맹조약을 체결하되 조건을 걸어야 한다고 건의했다. <ref name="왕효추"/> 즉, 일본은 중국의 남만주·내몽고·[[산둥 성|산둥]]·[[푸젠 성|푸젠]] 등에서 특수한 권리를 누리고, 중국의 군대·군수공장·해군·재정·교육 등은 모두 일본에게 위탁 처리하고, 중국이 타국에 차관 조차 할양을 할 경우 반드시 일본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것 등이었다. <ref name="왕효추"/> 사실상 이것은 중국을 일본의 식민지로 만드는 것이었다. <ref name="왕효추"/> 이 의견서는 21개조 요구의 토대가 되었다. <ref name="왕효추"/>
 
일본 제국주의는 이미 당시 중국내에서 다른 유럽 열강들이 가지고 있었던 것과 비슷한 요구를 중국에 강요했는데 이는 1차 세계대전으로 다른 열강들이 중국에 대하여 세력이 후퇴하였고<ref name="글로벌"/> [[중국 군벌]]들의 세력다툼으로 중국이 혼란한 시기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1915년 1월 [[가토 다카아키]] [[일본 외무성|일본 외무 대신]]은 [[위안스카이]] 중국 총통에게 21개조의 요구를 제출했다. <ref name="글로벌"/> 그 내용은 내용은 [[산둥 성]]·[[남만주]](南滿州)·동부 [[몽골]](蒙古)에서의 일본의 특수권익 승인, 한야평공사(漢冶萍公司)의 중·일 합변화(合辨化), 중국 옌안의 불할양(不割讓), 중국정부 각 기관·군대에의 일인 고문 고용 등이 주요한 골자로 되어 있다. <ref name="글로벌"/> 중국에서는 반대가 일어났고, 또한 구미 열강을 자극하여 국제문제화했다. <ref name="글로벌"/> 중국 정부는 당초 이를 거부했으나 일본이 동년 5월 7일 최후 통첩을 발하자 5월 9일 중국은 이에 굴복하고 요구를 승인했다. <ref name="글로벌"/> <ref>백범흠《중국:외교관의 눈으로 보다》늘품플러스(2010) 411쪽 ISBN 978-89-93324-15-0 </ref> 일본은 당시 중화민국의 대총통 [[위안스카이]]에게 이같은 요구를 전달했고 위안은 거의 그대로 요구조건을 들어주는 서명을 하였다.
 
<제1호 산둥권익>
11번째 줄:
# 중국 정부는 산둥성 내 또는 그 연해 일대의 토지 또 는 도서를 어떠한 명목으로도 타국에 양여하거나 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약정한다.
# 중국 정부는 지부(芝罘)(중국 산둥 성(山東省) 산둥 반도(山東半島)의 북쪽 연안에 있는 도시의 옛 이름.) 또는 용구(龍口)와 교주만으로 부터 제남(濟南)에 이르는 철도와 연결하는 철도의 부설을 일본국에 윤허(允許)한다.
# 중국 정부는 가급적 빨리 외국인의 거주 및 무역을 위하여 자진해서 산둥성에 있어서의 주요 도시를 개항할 것을 약속한다. 그 지점은 별도로 협정한다.
 
<제2호 남만주(南滿州)·동부 내몽고(東部內蒙古)에 있어서의 일본 국의 우선권>
23번째 줄:
##남만주 및 동부 내몽고에 있어서의 제세를 담보로 하여 타국으로부터 차관을 얻는 일.
# 중국 정부는 남만주 및 동부 내몽고에 있어서의 정치 재정 군사에 관하여 고문 교관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반드시 먼저 일본국과 협의할 것.
# 중국 정부는 본 계약 체결일로부터 99개년간 일본에게 [[길장철도]](吉長鐵道)의 관리 경영을 위임한다.
 
<제3호 "한야평공사(漢冶萍公司)"의 합판(合辦)>
 
# 양 체약국은 장래 적당한 시기에 한야평 공사를 양국 의 합판으로 할 것과 중국 정부는 일본국 정부의 동의 없이 동 공사에 속하는 일체의 권리와 재산을 스스로 처분하거나 또는 동 공사가 처분하지 아니하겠다는 것 을 약정한다.
# 일본국 자본가측 채권 보호의 필요상 중국 정부는 한 야평 공사에 속하는 광산 부근에 있어서의 광산에 대 하여는 동 공사의 승인 없이는 그것의 채굴을 동 공사 이외에 허가하겠다는 것과 기타 직접으로나 간접으로 동 공사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조치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동 공사의 동의를 얻을 것을 약정 한다.
 
<제4호 영토불할양(領土不割讓)>
34번째 줄:
# 중국 정부는 중국 연안의 항만 및 도시를 타국에게 양여하 거나 대여하지 않을 것을 약정한다.
 
<제5호 희망조항(希望條項)>
 
# 중앙 정부에 정치 재정 및 군사 고문으로 유력한 일본인을 초빙할 것.
45번째 줄:
 
== 영향 ==
이와 같은 불평등한 내용을 위안이 그대로 들어줌으로, 이후 중국에서는 5월 9일을 [[국치기념일]](國恥記念日)로 정하고 항일(抗日)·배일(排日) 운동이 전개되기에 이른다. <ref name="글로벌"/> 그리고, 중국내 반일 감정 및 반봉건 감정은 고조되었다. [[산둥 반도]] 문제는 훗날 [[1919년]] [[5.4운동]]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 같이보기 ==
62번째 줄:
{{각주|
refs=
<ref name="왕효추">왕효추 저, 신승하 역《근대 중국과 일본》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82쪽 ISBN 89-7641-461-6 </ref>
<ref name="글로벌">《[[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현대 세계의 새 질서/세계를 뒤흔든 세계대전/일본의 침략전쟁#대중 21개조 요구|대중 21개조 요구]]〉</ref>
<ref name="왕효추">왕효추 저, 신승하 역《근대 중국과 일본》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82쪽 ISBN 89-7641-461-6 </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