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 변화 ==
<ref name='ksh' />
본관제도는 고려의 지방행정 통치제도와 결합되면서 완전히 뿌리내리게 되었다. 중앙으로 진출한 상경귀족도 출신 지역과 연결되고, 또 출신 지역의 ‘토성’층은 중앙관료의 공급원 구실을 함으로써 거대 문벌귀족으로 지위를 굳혀갔다. 또한 중앙정치의 변화로 상경귀족이 몰락하더라도 토성은 그대로 유지되어 씨족의 생명력이 지속되었다. 심지어 조선 전기까지도 본관이나 문벌의 고유성을 유지하기 위해 족외혼보다는 족내혼을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앞서 예로 든 선산김씨의 세계도(족도)에서도 김종직의 선대를 보면 같은 선산김씨끼리 혼인한 족내혼이 70%나 될 정도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사실 삼국시대만 하더라도 같은 씨족끼리 결혼하는 족내혼과 다른 씨족과 결혼하는 족외혼이 병존했다. 예맥이나 고구려는 족외혼이 주종을 이뤘고, 신라는 족내혼이 대부분이었다. 그 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고려가 이를 계승하게 됨으로써 족내혼이 일반화 되었고, 족외혼은 예외적인 것이 되었다. 하지만 조선 건국에 주축 세력을 이룬 향리 출신의 신흥 사대부들이 고려의 문벌(족벌)체제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족내혼보다는 족외혼으로 관습이 바뀌게 된 것이다. 이렇듯 조선 초기까지 각 문벌은 자신의 고유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경우(정략혼)를 제외하면 족내혼을 했다.
 
하지만 고려 중기의 무신정권시대와 몽골 침략 이후로 본관제도의 변화는 불가피해졌다. 중앙정권의 변화가 무쌍하다보니 그로 인해 몰락하는 유력 토성들이 비일비재하게 생기고, 또 몽골 침략 이후 본관을 떠난 유민들이 급증하면서 문벌을 지탱하던 유력 토성의 기반이 약화되거나 무너진 것이다.
 
?더욱이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본관제도는 두 가지 문제로 인해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하나는 조선이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며 지방 토성의 분정을 허락지 않거나 격하시킨 것이다. 즉, 지방 유력토성에서 호장을 세습하며 지방세를 징수하고 행정을 총괄하는 분정 정책이 폐기되고, 지방 유력토성의 지위와 권한을 약화시킨 것이다. 그에 따라 지방행정을 담당하는 사람은 중인계급(6방)으로 격하되거나 몰락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족내혼보다는 족외혼이 강화되고, 또 거주지 이전이 손쉬워졌다. 즉, 지방 유력토성에 의해 세습적으로 관장되던 지방행정이 중앙에서 파견된 관료가 중심이 되는 행정체제로 재편되고, 족외혼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거주지 이전에 대한 통제도 약화된 것이다. 따라서 본관제도는 지방통치체제의 근간으로서 현실적 통치제도가 아닌 관념적인 혈연의식으로 전환되었다. 특히 족보의 발간으로 성관 통합이 이뤄지고, 또 군소 성관은 유력 본관을 따라 개관을 함으로써 집단적 신분질서로서의 본관제도가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본관은 다른 씨족과 구분하는 기준이 되고, 그가 속한 부계친족 집단의 신분적 상징이 되었다. 특히 성씨만 가지고 신분을 구별할 수 없게 되면서 본관을 더욱 중시하는 풍조가 만연하게 되었다. 이런 현상을 반영하듯 조선 후기 실학자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은 “풍속이 문벌을 중시하여 사족(士族)들은 반드시 원조(遠祖)의 출신지를 본관으로 삼았으며, 비록 자손들이 흩어져 살면서 100대가 지나도 본관을 바꾸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 함께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