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4번째 줄:
 
=== 주제: 신생 군주국 (1 ~ 2장) ===
군주론은 앞으로 다루어질 주제를 서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첫 문장에서 마키아벨리는 "공화적이건 전제적이건 모든 형태의 최고 정치 권력 조직체"를 중립적으로 포괄하기 위하여 '[[국가]](state)'<ref>이탈리아어로 'stato'. {{harvtxt|Machiavelli니콜로 마키아벨리|2015|p=195}}: "「군주론」에서 스타토(stato)는 주로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그것은 일정한 영토적 경계 내에 존재하는 정치공동체의 정부는 물론 그러한 정치공동체를 지칭한다(물론 이는 16세기 중반 이래 영어 단어인 '국가[state]'가 지닌 두 가지 정치적 의미이기도 하다).</ref>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어떻게 국가라는 단어가 르네상스 시대에 이러한 근대적 의미를 갖게 되었는지는 마키아벨리의 저서 중 특별히 중요하게 여겨졌던 비슷한 문장과 함께 많은 학문적 논의의 주제가 되어 왔다.<ref>{{Harvtxt|Guarini|1999|p=30}}</ref>
 
마키아벨리는 공화국에 대해 다른 곳에서 저술하였다고 언급하면서, 군주론은 군주국에 대한 글이 될 것이라고 하였지만 사실 그는 실질적으로 공화국 또한 많은 힘을 가졌으며 군주국의 한 유형이라고 간주하고 있다. 더 중요한 건, 덜 세태적이게도 그는 세습 군주국으로부터 신생 군주국을 구별하고 있다.<ref name=Ch1>{{Citation|last=Machiavelli|url=http://ebooks.adelaide.edu.au/m/machiavelli/niccolo/m149p/chapter1.html/|chapter=Chapter 1|title=The Prince|publisher=Constitution.org |accessdate=2010}}</ref> 그는 2장에서 세습 군주제는 통치하기 용이하다고 말하며 '''짤막하게''' 세습 군주제를 다루고 있다. 세습 군주에게 있어서 "군주가 상식밖의 사악한 비행으로 미움을 사지 않는 한, 신민들이 그를 따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것이다.<ref name=Ch2>{{Citation|last=Machiavelli|url=http://ebooks.adelaide.edu.au/m/machiavelli/niccolo/m149p/chapter2.html/|chapter=Chapter 2|title=The Prince|publisher=Constitution.org |accessdate=2010}}</ref><ref>{{harvtxt|Machiavelli|2015|p=18}}</ref>일반적으로 이러한 저작물의 유형은 오직 세습 군주국에 초점이 맞추어 진다. {{harvtxt|Gilbert|1938|pp=19~23}}는 1장과 2장의 독특함은 군주를 위한 조언의 전례와 대조적으로 "관습에 저항함으로써 권력을 취득해야 하는 통치자에 대해 이야기 하기 위한 계획적인 의도"라고 서술하였다. 그는 마키아벨리가 그의 경험과 더불어 [[타키투스]]의 영향을 받았을지 모른다고 생각하지만, 뚜렷한 단서는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