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일레 셀라시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후임자=
|배우자=메넨 아스파우
|자녀=로마네워르크<br />테나그네워르크<br />암하 셀라시에<br />제네베워르크<br />체하이<br />마코넨메콘닌<br />살레사흘레 셀라시에
|왕가=[[솔로몬 왕가]]
|부친=라스 마코넨 월데미카엘 구데사
|모친=웨이제로 예시메벳예시메베트 알리 아바지파르
|출생일={{출생일|1892|7|23}}
|출생지={{국기|에티오피아|1897}} 에제르사고로
19번째 줄:
}}
 
'''하일레 셀라시에 1세'''({{llang|am|ኃይለ ሥላሴ|하일레 실라세}} {{해석|[[삼위일체]]의 힘}}, [[1892년]] [[7월 23일]] ~ [[1975년]] [[8월 27일]], 재위 [[1930년]] ~ [[1974년]])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마지막 [[에티오피아의 군주|황제]]이며, 아명은 '''타파리테페리 마콘넨메콘닌 월데월더 미카엘'''({{llang|am|ተፈሪ መኰንን ወልደ ሚካኤል}})이다.
 
[[1916년]]에 [[쿠데타]]를 일으켜서 [[이야수 5세]]를 폐위시키고, [[자우디투 1세]]를 황제로 즉위시켰다. 자신은 황태자가 되었고, 실권을 행사했다. [[1930년]]에 선제가 서거하고, 곧바로 황제가 되었다. [[1931년]]에 [[에티오피아 제국 헌법|헌법]]을 제정하였고, 노예 제도를 철폐하였다.
25번째 줄:
[[1936년]]에는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의 침략을 받았다. [[에티오피아의 군사|에티오피아군]]은 필사적으로 저항하였으나, 결국 패전하였다. 결국 황제는 외국으로 망명하였고, 이탈리아의 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에티오피아 황제를 5년간 겸임하였다. 그러나, 국제 사회는 이탈리아 왕의 에티오피아 황제 겸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1941년]], [[영국]]은 이탈리아군을 에티오피아에서 쫓아 내고 하일레 셀라시에를 복위시켰다. 복위 이후, 에티오피아는 연합국으로 참전하였다. [[1951년]]에는 자신의 군대를 [[대한민국]]에 파견하였다.
 
[[1974년]]에 [[멩기스투]] 육군 소령은 하일레 셀라시에를 폐위시켰다. 하일레 셀라시에는 [[1975년]] [[8월 27일]], 급작스럽게 사망했는데 공식 발표에는 전립선 수술 중에 발생한 합병증으로 죽었다고 하지만 일부 왕정 지지파들 사이에서는 독살형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그의 유해는 [[1992년]] 그가 살았던 궁전 안에서 발굴되어, [[2000년]]에 [[아디스아바바]]의 트리니티성 삼위일체 대성당 내 묘지에 묻혔다. 일설에는 수백명의 자녀가 있었다는 설도 있다.
 
== 한국 전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