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滿洲 胡 (토론 | 기여)
잔글 滿洲 胡 사용자가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문서를 종서 및 횡서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가로쓰기, 세로쓰기보다 좀 더 고급 어휘를 사용하는 게 더 문서 명칭의 격을 높일 뿐만 아니라 더...
滿洲 胡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Hunmin jeong-eum.jpg|thumb|《[[훈민정음]] 언해본》.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행갈이를 하고 있다.]]
[[파일:Su shi-calligraphy.jpg|thumb|[[송나라|송]]대의 학자 [[소식]](蘇軾)의 서예 작품 〈한식첩(寒食帖)〉.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행갈이를 하고 있다.]]
'''가로쓰기와종서 세로쓰기및 횡서'''는 [[문서]]에 [[문자]]를 써 나가는 방식이다.
 
[[세계]]에 존재하는 문서는 그 [[언어]] 및 표기 문자 체계의 조합에 따라 [[문자]]를 써나가는 방향(서자 방향[서자방향(書字方向))]이 다르다. 이 방법은 크게 '''가로쓰기종서(縱書)'''(세로쓰기)와 '''횡서'''(橫書)〕와 '''세로쓰기'''〔'''종서'''(縱書가로쓰기)로 나뉜다. 가로쓰기에는종서에서는 [[왼쪽]]에서행갈이를 [[오른쪽]]으로우에서 쓰는좌로 하는 '''좌횡서우종서'''(左橫右縱書)와 그 반대로 쓰는하는 '''우횡서좌종서'''(右橫左縱書)로 나뉘고, 세로쓰기에는횡서에서는 행갈이를우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좌로 하는 '''좌종서우횡서'''(左縱右橫書)와 그 반대로 하는쓰는 '''우종서좌횡서'''(右縱左橫書)로 나뉜다.
 
[[한국어중국어]]·와 이외 [[중국어한국어]]·[[일본어]]·[[베트남어]] 등 [[한자 문화권]]의 언어는 전통적으로 우종서를 썼고, 간혹 간판과편액 같이 가로쓰기를횡서를 해야 할 때에는 우횡서로 썼다. 근대 이후 서양 문물이 동아시아에 전래한 이후에는 좌횡서도 도입되어 현재까지 병용되고 있다. 가로쓰기와종서와 세로쓰기가횡서 모두 가능한 문자는 현대에는 비교적 드물어, 문자가 정방형(正方形)의 네모 칸 안에 쓰이는 형태는 한자 문화권의 특징으로 자리하고 있다.
 
서양 언어들이 좌횡서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아랍어]]·[[히브리어]] 등으로 대표되는 중동권에서는 반대로 우횡서가 쓰인다. 독자적인 문자를 가지는 [[남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는 서양처럼 좌횡서가 많다. [[몽골 문자]]로 표기되는 [[몽골어]]는 특이하게 좌종서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몽골 문자가 위구르 문자에서 파생한 것에서 유래한다.
 
고대에는 [[신성 문자|히에로글리프]]처럼 서자 방향이 꽤 융통성 있는 문자들은 행마다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우경식|우경식 서법]](牛耕式 書法, {{lang|en|boustrophedon}}) 등의 방법도 있었다. 또 아래에서 위로 행을 거듭하여 쓰는 가로쓰기는횡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아래에서 위로 쓰는 세로쓰기는종서는 [[아일랜드어]]의 [[오검]] 비문의 예 및 [[돌궐]] 문자가 드물게 그처럼 쓰이는 데, 역사적으로도 매우 드물게 존재한다.
 
== 가로쓰기와종서와 세로쓰기의횡서의 차이점 ==
[[파일:Garo.png|thumb|400px|한국어(대한민국)의 원고지 가로쓰기]]
[[파일:Sero.png|thumb|80px|한국어(대한민국)의 원고지 세로쓰기]]
[[초서|초서체]]의 경우 가로쓰기는 다소 부적합한 면이 있기는 하나, [[한글]]·[[한자]]·[[가나 (문자)|가나]]는 가로쓰기와종서, 세로쓰기횡서 모두 쓸 수가능 있다. 실제 표기에서 가로쓰기와종서와 세로쓰기횡서 간의 차이점이 다소 있다. 숫자의 경우, [[아라비아 숫자|인도-아라비아 숫자]]는 가로로 쓰고, 한자의 숫자는 세로로 쓴다. 구두점의 경우, 한국어와 일본어는 가로쓰기와종서와 세로쓰기에횡서 차이가 있다([[#용례|아래]]를 보라).
 
또한, 가로쓰기와종서와 세로쓰기에는횡서 구두점·선·인용 부호의 방향에 차이가 있다. 괄호·인용 부호·선·물결표 등은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서 서로 90도 회전한다.
 
가로쓰기(좌횡서)로우리가 흔히 쓰는 좌횡서로 된 책은 서양 언어와 마찬가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쪽수가 넘어간다. 세로쓰기(우종서)로 반대로 책은우종서로 반대로책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쪽수가 넘어간다.
 
일본어의 [[후리가나]]나 중국어 번체의정체의 [[주음 부호|주음부호]]와 같은 [[루비 문자]]는 세로쓰기일 경우 다음과 같이 본 문자의 오른쪽에, 가로쓰기일횡서일 경우 주로 본 문자의 위쪽에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span lang="ja" xml:lang="ja">
50번째 줄:
서양으로부터 괄호 문자가 도입되기 이전인 전근대 시대에는 한자 다음에 훈민정음으로 발음을 단 문헌이 간행되었다. 《[[훈민정음#책|훈민정음]]》 [[훈민정음#훈민정음 해례본|해례본]]이 대표적이다. 이 책에서는 큰 글씨로 씌어진 본문의 경우, 한자마다 각 글자 다음 칸에 작은 글씨로 훈민정음을 써서 발음을 표시하였다. 그리고 작은 글씨로 씌어진 주석의 경우, 각각의 한자가 적힌 칸 다음에 훈민정음 발음을 적은 것은 본문과 동일하지만 가독성과 인쇄상의 편의를 위하여 글씨 크기를 더 줄이지는 않았다. 물론 《훈민정음》혜례본은 전통적인 세로쓰기 서적이므로, 일반적으로는 한자 아래에 훈민정음 발음 표기가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한자가 줄의 마지막 칸에 적혀서 더 이상 그 줄에 글씨를 쓸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다음 줄 첫 칸에 훈민정음 발음을 표기하였다.
 
근대 이후에 동아시아 문자 표기에서 [[로마자]]나 [[아라비아 숫자]] 등 가로쓰기에 적합한 글자가 혼용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이 때 가로쓰기횡서 문서에서는 그대로 좌횡서로 적는다. 세로쓰기종서 문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태로 쓰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 경우 읽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세로쓰기에서 로마자나 아라비아 숫자를 회전시키지 않고 그냥 매 글자를 순서대로 적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대개 글자 수가 적은 경우([[두문자어]] 등)에만 한정된다. 간혹 한 칸(한글, 한자, 가나, 주음 문자 기준) 안에 로마자나 아라비아 숫자 2~3개를 좌횡서로 쓰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세로쓰기종서 안의 가로쓰기라고횡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표기는 대개 아라비아 숫자가 2~3개만 연이어 나오는 경우에 많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드물다.
 
=== 동아시아의 가로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