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경제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Hongjm0411 (토론 | 기여)
태그: 모바일 앱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11번째 줄: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사고 파는 시장은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시장이 서는 장소에 따른 분류
** 성읍시 : 성에서 서는 시장을 성시, 행정관아가 있는 고을에서 서는 시장을 읍시라 부르며, 이 둘을 합쳐 성읍시라 한다. 상설시장인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 향시 : 성읍이 아닌, 시골에서 서는 시장을 가리킨다. 주로 5일장이나 7일장이다. (문경중앙시장)
** 가로시 : 성읍과 성읍, 마을과 마을 사이의 중간 지점에 있는 도로를 따라 서는 시장을 가로시라 부른다.
** 경계시 : 행정구역의 경계나 국경에서 서는 시장을 경계시라 한다. 한국사에서는 국경에서 서는 시장을 [[개시]]라고 불렀다.
** 항포시 : 항구나 포구에 서는 시장이다. 한국의 재래시장 가운데 [[강경장]]이 유명한 항포시이다.
** 제전시 : 절을 비롯한 종교사원 경내 또는 그 주변에서 서는 시장을 제전시라 한다. 한국사에서는 고려시대에 불교 사찰 주변에서 시장이 서기도 했으며, 신약성경에서 예수가 신전에서 장사하는 이들을 내쫓은 일화를 소개하는데, 그때의 상황이 제전시이다.
* 시장이 서는 주기에 따른 분류
** 상설시장 : 날마다 장이 서는 시장이다.
** 5일장 : 5일마다 한 번 장이 서는 시장이다. 동양의 재래시장은 5일장이 많았다.
** 7일장 : 7일마다 한 번 장이 서는 시장이다. 유럽이나 중동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7일마다 장이 섰다.
** 계절시장 : 특정 계절에만 서는 시장이다. 약령시는 주로 봄과 가을에 열리던 계절시장으로 시작하였다.
* 규모와 방식에 따른 종류
** 재래시장: 오래전부터 자연히 발생된 시장으로 [[남대문시장]], [[경동시장]] 과 같이 지역 이름이 붙는다.
29번째 줄:
** 농산물 시장: 농산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 수산물 시장: 수산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 약령시 : 한약재를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 전자상가 : 전기제품이나 전자부품 등을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45번째 줄:
 
== 시장의 실패 ==
시장경제는 [[애덤 스미스]]가 말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는 체제이다. 하지만 시장이 스스로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를 시장의 실패라고 한다.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거나 원료 독점 등으로독과점이 나타나는 경우, 환경오염 등 외부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 국방·치안처럼 재화나 서비스의 공급을 시장에 맡기기 힘든 공공재의 경우 등을 들 수 있다.또 좋은 투자계획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의 불완전으로 단지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대출을 받지 못하는 것도 시장이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시장 실패가 나타나면 보통 정부가 개입하게 된다. 하지만 정부 역시 시장에 대한 불완전한 정보와 능력의 한계 등으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를 정부의 실패라고 한다. 예컨대 적자 기업이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고 정부의 구제금융으로 연명하는 것은 정부의 실패이다.
== 주석각주 ==
{{commons|Category:Markets in South Korea}}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