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번뇌심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quote → ps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24번째 줄:
<div style="clear: left;"></div>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다음의 8가지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이 대수번뇌심소 그룹을 이룬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3a28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24 324-325 / 58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2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번뇌성]]의 이 8가지 [[마음작용]]을 '''대수번뇌'''(中隨煩惱) 또는 '''대수혹'''(中隨惑)이라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1 隨煩惱(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B2%88%EB%87%8C&rowno=2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096&DTITLE=%A4j%C0H%B7%D0%B4o 大隨煩惱]". 2012년 11월 5일에 확인|ps=<br>"大隨煩惱:
 梵語 kleśa-mahā-bhūmikā dharmāh。又作大煩惱地法。指恆與染污心相應之煩惱。大毘婆沙論卷四十二(大二七‧二二○中):「若法一切染污心中可得,名大煩惱地法。」計有六種,即:(一)癡(梵 moha),為暗昧,於一切所知境障如理之解。(二)放逸(梵 pramāda),為縱蕩,不勤修各種善法。(三)懈怠(梵 kausīdya),為懶惰,心不勇悍。(四)不信(梵 āśraddhya),為不信因果之理。(五)惛沉(梵 styāna),為身心鈍重,不堪任當。(六)掉舉(梵 auddhatya),為躁動,心不靜寂。其中癡為六根本煩惱之一,其餘五法屬枝末之惑。品類足論卷二、大毘婆沙論卷四十二則列舉十種大煩惱地法,即以上述六種,除去惛沉,另加失念、心亂、不正知、非理作意、邪勝解等五種;成唯識論卷六則除去「癡」,另加失念、散亂、不正理,而稱為「八大隨惑」。〔順正理論卷十一、雜阿毘曇心論卷二、成唯識論述記卷六末〕"}}
 
56번째 줄: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normal/T29/1558_001.htm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9, No. 1558, CBETA|연도=T.1558}}
 
== 주석각주 ==
<div style="font-size: 10pt"><references/></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