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14번째 줄:
<div style="clear: left;"></div>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소'''(燒)는 [[번뇌]]의 [[번뇌의 동의어|다른 이름]]인 [[결 (불교)|결]](結){{.cw}}[[박 (불교)|박]](縛){{.cw}}[[수면 (불교)|수면]](隨眠){{.cw}}[[수번뇌]](隨煩惱){{.cw}}[[전 (불교)|전]](纏){{.cw}}[[폭류]](暴流){{.cw}}[[액 (불교)|액]](軛){{.cw}}[[취 (불교)|취]](取){{.cw}}[[계 (번뇌)|계]](繫){{.cw}}[[개 (불교)|개]](蓋){{.cw}}[[주올]](株杌){{.cw}}[[구 (번뇌)|구]](垢){{.cw}}[[상해 (불교)|상해]](常害){{.cw}}[[전 (번뇌)|전]](箭){{.cw}}[[소유 (불교)|소유]](所有){{.cw}}[[근 (번뇌)|근]](根){{.cw}}[[악행]](惡行){{.cw}}[[누 (불교)|누]](漏){{.cw}}[[궤 (불교)|궤]](匱){{.cw}}'''소'''(燒){{.cw}}[[뇌 (번뇌)|뇌]](惱){{.cw}}[[유쟁]](有諍){{.cw}}[[화 (불교)|화]](火){{.cw}}[[치연]](熾然){{.cw}}[[조림 (불교)|조림]](稠林){{.cw}}[[구애 (불교)|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다.{{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8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314b20 T30n1579_p0314b20 - T30n1579_p0314b23]. 번뇌(煩惱)의 차별(差別)|ps=<br>"煩惱差別者。多種差別應知。謂結。縛。隨眠。隨煩惱。纏。暴流。軛。取。繫。蓋。株杌。垢。常害。箭。所有。根。惡行。漏。匱。燒。惱。有諍。火。熾然。稠林。拘礙。如是等類煩惱差別當知。"}}{{sfn|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614, T.1579|loc=제8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220 220-221 / 829]. 번뇌(煩惱)의 차별(差別)|ps=<br>"번뇌(煩惱)의 차별(差別)<sup style="color: blue">31)</sup>이란 여러 가지 차별(差別)이 있는 줄 알아야만 한다. 말하자면 결(結) 박(縛) 수면(隨眠) 수번뇌(隨煩惱) 전(纏) 폭류(暴流) 액(軛) 취(取) 계(繫) 개(蓋) 주올(株杌) 구(垢) 상해(常害) 전(箭) 소유(所有) 근(根) 악행(惡行) 루(漏) 궤(匱) 소(燒) 뇌(惱) 유쟁(有諍) 화(火) 치연(熾然) 조림(稠林) 구애(拘礙)이다.
<br>위와 같은 등의 종류가 번뇌의 차별(差別)인 줄 알아야 한다.
47번째 줄: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normal/T29/1558_001.htm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9, No. 1558, CBETA|연도=T.1558}}
 
== 주석각주 ==
<div style="font-size: 10pt"><references/></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