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quote → ps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5번째 줄:
| sa= kaukritya, kaukṛitya
| en= regret<br/>worry
| bo= འགྱོད་པ།
| bo-Latn=[[Wylie transliteration|Wylie]]: 'gyod pa; <br />[[THL Simplified Phonetic Transcription|THL]]: gyöpa
| ko= 악작, 오작, 회
| ko-Latn= akjak, ojak, hoi
13번째 줄:
{{불교}}
 
'''악작'''([[:zh:惡作|<span style="color: black">惡作</span>]],
{{llang|sa|[[:en:kaukṛitya|<span style="color: black">kaukṛitya</span>]]}},
[[:en:kaukritya|<span style="color: black">kaukritya</span>]],
{{llang|pi|[[:en:kukkucca|<span style="color: black">kukkucca</span>]]}},
{{llang|en|[[:en:regret|<span style="color: black">regret</span>]]}},
[[:en:worry|<span style="color: black">worry</span>]]) 또는 '''회'''([[:zh:悔|<span style="color: black">悔</span>]])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40번째 줄:
<br>六不定四者。一睡眠二惡作。三尋四伺。"}}{{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314&DTITLE=%A4%AD%A6%EC%A6%CA%AAk 五位百法]". 2012년 11월 2일에 확인. 부정심소(不定心所)|ps=<br>"(3)不定(由共同所起之心以分善惡,然其自體則無一定之性格),有悔、睡眠、尋、伺等四種。"}}{{sfn|황욱|1999|pp=72-75. 부정심소(不定心所)|ps=<br>"6) 不定心所[Aniyata-caitasa]: ‘不定心所’에서, ‘不定’이라는 것은 여기에서 말하는 心所는 그 性을 善이라고도 할 수 없고 染汚라고도 할 수 없으며 또한 三性의 어떤 心心所와 相應俱起할 때에 그 性이 역시 三性으로 변하기 때문에 ‘不定’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惡作[Kaukṛtya] ... ② 睡眠[Anuśaya] ... ③ 尋[Vitarka] ... ④ 伺[Vicāra]"}}
 
'''악작'''(惡作)은 '''후회'''(後悔)를 뜻하며, [[후회]]를 전통적인 불교용어로는 '''추회'''(追悔)라고 한다. 간단히, '''회'''(悔)라고도 한다. 또한, 이전의 잘못된 행위를 후회한다는 뜻의 [[악작 (마음작용)|악작]](惡作: 즉, 잘못된 행위 → 후회)은 이전의 잘못된 행위를 [[염오]](厭惡) 또는 [[혐오]](嫌惡)한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는데, 이 입장에서는 '''오작'''(惡作: 잘못된 행위를 미워함)이라고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544&DTITLE=%B4c%A7@ 惡作]".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 악작(惡作) 또는 오작(惡作)|ps=<br>"惡作: (一)梵語 kaukrtya。心所(心之附屬作用)之一。與「悔」同義。為說一切有部所立七十五法之一,屬不定地法,又為法相宗四不定之一。惡,即厭惡;作,即所作。即厭惡所作,於作惡事後追悔之心。俱舍論卷四對惡作一名提出三種解釋,其一謂緣惡所作之事而追悔,稱為惡作,即於能緣之追悔上立所緣境之名;其二謂追悔係以惡作為所依而生,故在能依之追悔上立所依之名;其三謂追悔為惡作之果,故在果之追悔上立因之名。此三解中,惡作之「惡」皆讀入聲,其義皆為追悔所作之惡。但惡作之性並非必為不善,不論善或不善,凡屬不合情理之所作,皆稱為惡作。又大毘婆沙論卷三十七舉出四句惡作,即:(一)追悔已作之惡業,(二)追悔已作之善業, (三)追悔已作善業之未滿,(四)追悔已作惡業之未滿。此四句係由已作之業而說。俱舍論卷四則對於追悔未作之事,亦稱為惡作,如追悔「我何故不作如是事」亦為惡作。
<br>說一切有部認為追悔善之不作業為善之惡作,追悔不善之不作業為不善之惡作,主張惡作僅限於善與不善,而不通於無記。但據俱舍論卷四載,外方諸師中有說惡作通於無記者。成唯識論述記卷七本亦以惡作通於善、不善、無記三性。又唯識家稱惡作為「悔」,其解釋亦與俱舍等不同。成唯識論卷七說明「悔」即嫌惡所作之業,以追悔為性,障奢摩他為業,且「惡作」是於果上假立因之名,「悔」則係就當體而立其名者。另據成唯識論述記卷七之意,惡作之「惡」讀去聲,為嫌惡之意。〔阿毘達磨順正理論卷十一、瑜伽師地論卷十一、顯揚聖教論卷一、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七、俱舍論光記卷四、俱舍論寶疏卷四、百法問答鈔卷一〕
<br> (二)即戒律中之突吉羅(梵 duskrta)。指身體之微細惡行,有時亦包括口舌之微細惡行。〔善見律毘婆沙卷九〕(參閱「突吉羅」)"}}{{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2%94&rowno=16 悔(회)]".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 회(悔)심소|ps=<br>"悔(회):
【범】 kaukṛtya 부정지법(不定地法)의 하나. 심소(心所)의 이름. 자기가 한 짓을 뉘우치는 정신 작용. 악작(惡作)과 같음."}}{{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20b06 T29n1558_p0020b06 - T29n1558_p0020b18]. 악작(惡作)|ps=<br>"非諸善心皆有惡作。有時增數至二十三。惡作者何。惡所作體名為惡作。應知此中緣惡作法說名惡作。謂緣惡作心追悔性。如緣空解脫門說名為空。緣不淨無貪說為不淨。又見世間約所依處說能依事。如言一切村邑國土皆來集會。惡作即是追悔所依。故約所依說為惡作。又於果體假立因名。如說此六觸處應知名宿作業。若緣未作事云何名惡作。於未作事亦立作名。如追悔言我先不作如是事業是我惡作。何等惡作說名為善。謂於善惡不作作中心追悔性。與此相違名為不善。此二各依二處而起。"}}{{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75 175 / 1397]. 악작(惡作)|ps=<br>"온갖 선심에 모두 악작(惡作)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sup style="color: blue">53)</sup> 그것이 존재할 때에는 그 수가 증가하여 스물세 가지에 이른다.
<br>악작(惡作)이란 무엇인가?
87번째 줄:
===대승불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주요 논서인 《[[성유식론]]》 에 따르면, '''오작'''(惡作) 또는 '''회'''(悔)는 [[마음 (불교)|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행한 일[所作業]을 미워[惡]하게 하고 후회[追悔]하게 하는 것을 [[본질적 성질]][性]로 하는 [[마음작용]]이다.
그리고, [[오작 (마음작용)|오작]](惡作) 또는 [[회 (마음작용)|회]](悔)의 [[마음작용]]은 이러한 [[본질적 성질]]을 바탕으로 [[마음 (불교)|마음]]으로 하여금 [[사마타]][止, śamatha, 奢摩他, 삼마지]에 들지 못하도록 장애하는 것을 [[본질적 작용]][業]으로 한다. 또한, 《[[성유식론]]》에 따르면, 행하지 않은 일[所不作業]에 대해 후회하게 하는 것도 오작(惡作) 또는 회(悔)의 [[마음작용]]에 포함된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7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5c11 T31n1585_p0035c11 - T31n1585_p0035c14]. 회(悔)심소}}{{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7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48 348 / 583]. 회(悔)심소}}{{sfn|황욱|1999|p=72. 회(悔)심소}}{{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5b19 T31n1605_p0665b19 - T31n1605_p0665b22]. 회(悔)심소|ps=<br>"何等惡作。謂依樂作不樂作應作不應作。是愚癡分心追悔為體。或善或不善或無記。或時或非時。或應爾或不應爾。能障心住為業。"}}{{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9c16 T31n1606_p0699c16 - T31n1606_p0699c23]. 회(悔)심소|ps=<br>"惡作者。依樂作不樂作應作不應作。是愚癡分心追悔為體。或善或不善或無記。或時或非時。或應爾或不應爾。能障心住為業。樂作者。樂欲為先造善惡行。不樂作者。由他勢力及諸煩惱之所驅逼。令有所作如其所應。愚癡分者隨煩惱所攝。時者。乃至未出離。非時者。出離已後。應爾者。於是處。不應爾者。於非處。"}}{{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2|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2_p0849b26 T31n1612_p0849b26]. 회(悔)심소|ps=<br>"云何惡作。謂心變悔為性。"}}
 
109번째 줄: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normal/T31/1585_001.htm 성유식론(成唯識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31, No. 1585, CBETA|연도=T.1585}}
 
==주석 각주 ==
<div style="font-size: 10pt"><references/></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