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민주당 (덴마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34번째 줄:
|지도자5_이름 =
|표어 =
|창당 = [[1871년]]
|피병합 =
|분당전 =
109번째 줄:
 
== 이념 ==
사민당의 이념은 [[민주 사회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사민당의 핵심목표는 인간을 해방시키고, 안정감을 주며, 모든 사람에게 자신과 공동체, 자연 그리고 다음 세대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을 고려해 스스로 결정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민당의 핵심가치는 [[자유]], [[평등]], 형제애이다. 이 세가지 핵심가치를 덴마크 [[복지국가]]와 사민당 당 강령의 토대로 삼고 있다. 사민당은 3가지 핵심가치 외에 [[진보]]와 개방성, 책임도 중요한 가치로 보고 있다.<ref>[http://s-dialog.dk/A-English+version-Policy-and-principles-default.aspx?site=english&func=article.view&menuAction=selectClose&menuID=123081&id=123088 Policy and principles]</ref>
129번째 줄:
1929년에서 1941년까지 사회자유당의 지지 속에 12년동안 장기 집권한다. 이 시기 민주주의의 확대와 국제 경제위기 극복의 일환이었던 몇몇 사회개혁을 통해 사민당의 지지 기반을 확대한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사민당은 다시 집권한다. 몇년간의 예외를 제외하고 사민당은 1982년까지 대부분 기간을 정권에 참여한다. 이 기간 동안 덴마크를 남녀 모두 높은 수준으로 생산활동에 참여하고, 한편으로 사회 경제적으로 고도로 발전된 네트워크를 가진 복지국가로 개혁했다.
 
1982년 부터 1992년까지 우파 정당이 집권하면서 재정 감축을 통해 사회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다.
139번째 줄:
==== 유연성과 사회적 안전 ====
덴마크 사회민주당이 이끈 라스무슨 정부는 플렉시큐리티('''flexicurity''', 유연성('''flexi'''bility)과 사회적 안전(social se'''curity''')의 합성어)라 불리는 혼합체제를 실현했다. 혼합체제는 스칸디나비아 식의 높은 실업급여와 해고가 비교적 자유로운 노동시장의 유연화가 결합된 형태이다. 경영상 이유에 따른 [[해고]]를 인정하되 실업급여,재취업 교육을 통해 [[실업]]기간동안의 생계유지와 재취업을 돕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민당은 낮은 수준의 실업율과 높은 생산성을 유지했다.
==== 동일노동 동일임금 ====
또한 덴마크에서는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실시하여 [[노동자]]들이 [[차별]]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ref>《덴마크형 복지국가를 위하여》/구종환 지음/일빛</ref>이는 동일한 [[노동]]을 한다면 동일한 노동의 대가를 받도록 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차별에 따른 상대적 [[빈곤]]을 겪는 일<ref>《가난에 빠진 세계》/이강국 지음/책세상</ref>이 없도록 한다.
148번째 줄:
=== 야당 (2001-현재) ===
 
2001년 선거에서 사민당은 좋은 경제 지표에도 불구하고 패하게 되는데, 위에서 지적한 이유외에 이민정책을 둘러싼 불안도 사민당의 선거 패배에 한 원인을 제공했다. 이후 자유주의 정당인 좌파당이 보수당 등의 지원을 받아 집권하게 된다.
 
선거 패배이후 2002년 당대회에서 모겐스 리케토프트가 당대표로 취임한다.
156번째 줄:
== 조직 ==
=== 당원 ===
유럽의 여러 대중정당들과 마찬가지고 스스로 사민당은 당원조직이며, 당원은 당의 토대이며, 모든 정치가 시작되는 곳이라 밝히고 있다.<ref>[http://s-dialog.dk/A-English+version-Organisation-structure-default.aspx?site=english&func=article.view&menuAction=selectClose&menuID=123177&id=123142 The Danish Social Democrats-Organisation structure]</ref>
 
현재 사민당 당원 48000여명이다. 사민당의 당원은 당직과 공직 후보자가 될 수 있고, 세미나와 토론회, 청문회 등에 참여해 당과 당 소속 정치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62번째 줄:
=== 지역 조직 ===
 
당내 지역 조직으로 가장 기초가 되는 300여개의 기초조직과 기초자치단체별로 존재하는 98개 시군구조직,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구별고 92개 지구당이 존재한다. 기초조직을 통해 당원이 당의 의사 결정과정, 특히 정책 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초자치단체별로 존재하는 기군구 조직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기초조직이 모여서 결성한다. 시군구 조직은 주로 기초의회 선거와 관련해서 활동한다. 선거운동을 주도하고, 당원들이 기초자치단체 공직자 후보로 나서도록 한다. 선거구 지구당은 한 개의 시군구조직이나, 선거구가 큰 경우 소속된 모든 시군구조직이 참여하게 된다. 선거구 조직은 덴마크 의회 의원(또는 후보)과 연락업무를 담당한다. 그외에 중앙당과 기초조직, 당원과의 의사소통 및 정보교환을 지원한다.
 
그외에 5개의 광역자치단체에도 지역 조직이 존재한다. 이 조직에 해당 지역에 속한 기초조직과 시군구당, 선거구 지구당이 참여한다. 광역지역 조직은 주로 광역의회 및 광역자치정부와 여러 지역조직 및 당원과의 의사소통을 돕는 역할을 한다. 또 광역 조직은 여러 지역조직을 조정하는 역할 수행한다. 광역조직은 광역의회 의원 및 광역자치단체 공직자 그리고 유럽의회 의원후보를 입후보에 책임을 진다.
 
=== 당대회 및 집행위원회 ===
 
당대회는 사민당의 최고 의결기구로, 매년 9월에 열린다. 당대회는 4년 임기의 당대표와 2명의 부대표, 사무총장을 선출한다. 5년마다 한번씩 유럽의회 선거가 있기 전 당대회에서 유럽의회 의원후보를 선출한다.
 
집행위원회는 연례적으로 열리는 당대회가 사이에 당의 정치적, 조직적 발전을 책임진다. 집행위원회는 당대표와 2인의 부대표, 사무총장, 2인의 원내교섭단체 대표자, 1인의 유럽의회 대표자, 각 1인의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 의원단의 대표, 1인의 청년조직 대표, 5인의 광역지역조직의 대표, 그리고 15인의 당대회 선출 집행위원으로 구성된다. 집행위원은 각 지역별로 남여 성비를 맞춰야 한다. 집행위원회는 연 14회 회의를 개최한다.
208번째 줄:
|선거결과8 =28.7
|연도9 =20
|선거결과9 =29.2
|연도10 =20
|선거결과10 =29.8
342번째 줄:
|1920.04.26||align=right|300,345 ||align=right|29.2 %||align=right| 42
|-
|1920.07.06||align=right|285,166 ||align=right|29.8 %||align=right| 42
|-
|1920.09.21||align=right|389,653 ||align=right|32.2 %||align=right| 48
|-
|1924||align=right|469,949 ||align=right|36.6 %||align=right| 55
|-
|1926||align=right|497,106 ||align=right|37.2 %||align=right| 53
|-
|1929||align=right|593,191 ||align=right|41.8 %||align=right| 61
|-
|1932||align=right|660,839 ||align=right|42.7 %||align=right| 62
|-
|1935||align=right|759,102 ||align=right|46.4 %||align=right| 68
|-
|1939||align=right|729,619 ||align=right|42.9 %||align=right| 64
|-
|1943||align=right|894,632 ||align=right|44.5 %||align=right| 66
|-
|1945||align=right|671,755 ||align=right|32.8 %||align=right| 48
|-
|1947||align=right|836,231 ||align=right|41.2 %||align=right| 57
|-
|1950||align=right|813,224 ||align=right|39.6 %||align=right| 59
|-
|1953.04.21||align=right|836,507 ||align=right|40.4 %||align=right| 61
|-
|1953.09.21||align=right|894,913 ||align=right|41.3 %||align=right| 74
|-
|1957||align=right|910,170||align=right|39.4 %||align=right| 70
|-
|1960||align=right|1,023,794 ||align=right|42.1 %||align=right| 76
|-
|1964||align=right|1,103,667 ||align=right|41.9 %||align=right| 76
|-
|1966||align=right|1,068,911 ||align=right|38.2 %||align=right| 69
|-
|1968|1968||align=right|974,833 ||align=right|34.2 %||align=right| 62
|-
|1971||align=right|1,074,777 ||align=right|37.3 %||align=right| 70
|-
|1973||align=right|783,145 ||align=right|25.6 %||align=right| 46
|-
|1975||align=right|913,155 ||align=right|29.9 %||align=right| 53
|-
|1977||align=right|1,150,355 ||align=right|37.0 %||align=right| 65
|-
|1979||align=right|1,213,456 ||align=right|38.3 %||align=right| 68
|-
|1981||align=right|1,026,726 ||align=right|32.9 %||align=right| 59
|-
|1984||align=right|1,062,561 ||align=right|31.6 %||align=right| 56
|-
|1987||align=right|985,906 ||align=right|29.3 %||align=right| 54
|-
|1988||align=right|992,682 ||align=right|29.8 %||align=right| 55
|-
|1990||align=right|1,221,121 ||align=right|37.4 %||align=right| 69
|-
|1994||align=right|1,150,048 ||align=right|34.6 %||align=right| 62
|-
|1998||align=right|1,223,620 ||align=right|35.9 %||align=right| 63
|-
|2001||align=right|1,003,023 ||align=right|29.1 %||align=right| 52
|-
|2005||align=right|867,350 ||align=right|25.8 %||align=right| 47
|-
|2007||align=right|881,037 ||align=right|25.5 %||align=right| 45
416번째 줄:
* {{언어고리|en}} - Information in English
 
== 주석각주 ==
{{reflist|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