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법과 무대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quote → ps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99번째 줄:
 (二)諸佛欲依自在三昧力安一切眾生,以出生自在勝三昧一切所行諸功德無量之方便而度眾生,即由其三昧生出二十二門。其名稱為:(一)供養如來門,(二)一切布施門,(三)具足持戒門,(四)無盡忍辱門,(五)無量苦行精進門,(六)禪定寂靜三昧門,(七)無量大辯智慧門,(八)一切所行方便門,(九)四無量神通門,(十)大慈大悲四攝門,(十一)無量功德智慧門,(十二)一切緣起解脫門,(十三)清淨根力道法門,(十四)聲聞小乘門,(十五)緣覺中乘門,(十六)無上大乘門,(十七)無常眾苦門,(十八)無我眾生門,(十九)不淨離欲門,(廿)寂靜滅定三昧門,(廿一)隨諸眾生起病門, (廿二)一切對治眾法門。 p170"}}
 
불교 일반의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정의에 따르면,
'''유대법'''(有對法) 또는 '''유대'''(有對)에서 '[[대 (불교)|대]](對)'는 방해 또는 장애의 뜻으로, 어떤 [[법 (불교)|법]], 예를 들어 어떤 돌[石]이 이미 한 [[공간 (불교)|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때 같은 부류의 다른 [[법 (불교)|법]], 예를 들어 다른 돌로 하여금 그 [[공간 (불교)|공간]]을 점유하지 못하도록 방해 또는 장애할 때 그 [[법 (불교)|법]]을 [[유대법]]이라고 하고, 그 [[법 (불교)|법]]이 [[유대 (불교)|유대]]의 [[성질 (불교)|성질]]을 가졌다고 말한다. '''무대법'''(無對法){{.cw}}'''무대'''(無對)는 [[유대법]]{{.cw}}[[유대 (불교)|유대]]의 반대 개념으로, [[유대법]]이 아닌 모든 [[법 (불교)|법]]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9C%89%E5%B0%8D&rowno=6 有對(유대)]". 2013년 5월 23일에 확인|ps=<br>"有對(유대):
↔ 무대(無對). 대애(對礙)가 있는 법. 3종이 있음. (1) 장애유대(障礙有對). 손과 손, 돌과 돌이 서로 장애함과 같이 두 물건이 동시에 동일한 공간을 차지할 수 없는 것. 물질적 존재인 5기관과 그 대경(對境)인 5경(境). (2) 경계유대(境界有對). 대상에 구속되어 다른 것에 대하여 자유롭지 못한 것. 6기관(器官)ㆍ6식(識)과 이와 함께 일어나는 정신작용은 바깥 물질계의 형(形)ㆍ색(色) 이외에 작용하지 못함과 같은 것. (3) 소연유대(所緣有對). 6식 및 이와 함께 일어나는 정신작용은 그 대상인 6경에 구속되어 자유롭지 못하는 것. 이렇게 경계와 소연(所緣)은 마찬가지 외계의 6진을 말하는 것이나, 하나는 동작하는 장소라는 뜻으로 경계라 하고, 하나는 그것을 반연하여 일어나는 뜻으로 소연이라 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425&DTITLE=%A6%B3%B9%EF 有對]". 2013년 5월 23일에 확인|ps=<br>"有對:
115번째 줄:
<br>===(術語)就十八界分別三種之有對:一障礙有對,二境界有對。三所緣有對。對者礙之義。礙有二種:一障礙之義,二拘礙之義。障礙之義者,第一之障礙有對也。以五根五境之小色為體。此十色互相障礙,如手之礙手,石之礙石,故名障礙,障礙即有對也。拘礙之義者,第二之境界有對,與第三之所緣有對也。境界有對者,六根六識之十二界與法界一分之心所法也,此十三界之法為境所拘,故名有對。境界有對也(依主釋)。所緣有對者,六識及境界之七心界與法界之一分心所法也。此八界為所緣之境所拘礙,故名有對,所緣有對之依主釋也。此中境界與所緣之差別有多義,玆言其一義,則以取根及心識之境一邊,名為境界有對,以緣心與所之境一邊,名為所緣有對云。見俱舍論二。梵Sapratigha。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br>解釋:
<br>有對===瑜伽五十六卷四頁云:問:何義,幾蘊,是有對?答:展轉相觸,據處所義,及麤大義,是有對義。麤大義者:當知遠離三種微細。此三微細,如前應知。一蘊一分是有對。
<br>二解 顯揚五卷十五頁云:問:何義,幾種,是有對?答:更相觸對,各據處所,及麤義故。一少分是有對。言麤義者,離三種細。何者為三?一、損減細,二、種類細,三、心自在轉細。
123번째 줄:
<br>② 마음이 대상에 구속되어 자유롭지 못함."}}{{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898798&categoryId=2886 무대(無對)]". 2013년 5월 24일에 확인|ps=<br>"무대(無對):
대(對)는 방해·장애를 뜻함. 물질과 같이 공간을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방해하지 않는 것, 곧 의식이나 의식 내용."}}{{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6%9C%89%E5%B0%8D 有對]". 2013년 5월 24일에 확인|ps=<br>"有對:
<br>Pronunciations:
[py] yǒuduì
[wg] yu-tui
147번째 줄:
<br>Bukkyō daijiten (Oda) 107-2
<br>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7%84%A1%E5%B0%8D 無對]". 2013년 5월 24일에 확인|ps=<br>"無對:
<br>Pronunciations:
[py] wúduì
[wg] wu-tui
163번째 줄:
<br># Cf. Karashima (Lokakṣema Glossary): view / hide
<br>無對
<br>wú duì
<br>having no counterparts ? (probably a translation of Skt. vivikta isolated)
<br>HD.7.145(南朝陳代)
249번째 줄:
<br>解釋: 俱舍論二卷一頁云:唯色蘊攝十界有對。對是礙義。此復三種。障礙、境界、所緣、異故。障礙有對,謂十色界。自於他處,被礙不生,如手礙手,或石礙石,或二相礙。境界有對,謂十二界,法界一分。諸有境法,於色等境。故施設論,作如是言:有眼,於水有礙,非陸。如魚等眼。有眼,於陸有礙,非水。從多分說,如人等眼。有眼,俱礙。如畢舍遮室獸摩羅,及捕魚人蝦蟆等眼。有俱非礙。謂除前相,有眼、於夜有礙,非晝。如諸蝙蝠鵂鶹等眼。有眼,於晝有礙,非夜,從多分說,如人等眼。有眼,俱礙,如狗野干馬豹豺狼貓狸等眼。有俱非礙。謂除前相。此等名為境界有對。所緣有對,謂心心所,於自所緣。境界、所緣、復有何別?若於彼法,此有功能;即說彼為此法境界。心心所法,執彼而起;彼於心等,名為所緣。云何眼等,於自境界所緣轉時,說名有礙?越彼於餘,此不轉故。或復礙者,是和會義。謂眼等法,於自境界及自所緣和會轉故。
<br>二解 大毗婆沙論七十六卷二頁云:應知有對,總有三種。一、障礙有對。二、境界有對。三、所緣有對。障礙有對者:如以手擊手,以手擊石,以石擊石,以石擊手,以杵擊鍾;此等展轉,更相障礙。如是名為障礙有對。境界有對者:如眼根等諸有境法,各於自境界,有所拘礙。如是名為境界有對。所緣有對者:如心心所有所緣法,各於自所緣,有所拘礙。如是名為所緣有對。"}}{{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4%B8%89%E6%9C%89%E5%B0%8D 三有對]". 2013년 5월 25일에 확인|ps=<br>"三有對:
<br>Pronunciations:
[py] sān yǒuduì
[wg] san yu-tui
293번째 줄:
<br>===(術語)就十八界分別三種之有對:一障礙有對,二境界有對。三所緣有對。對者礙之義。礙有二種:一障礙之義,二拘礙之義。障礙之義者,第一之障礙有對也。以五根五境之小色為體。此十色互相障礙,如手之礙手,石之礙石,故名障礙,障礙即有對也。拘礙之義者,第二之境界有對,與第三之所緣有對也。境界有對者,六根六識之十二界與法界一分之心所法也,此十三界之法為境所拘,故名有對。境界有對也(依主釋)。所緣有對者,六識及境界之七心界與法界之一分心所法也。此八界為所緣之境所拘礙,故名有對,所緣有對之依主釋也。此中境界與所緣之差別有多義,玆言其一義,則以取根及心識之境一邊,名為境界有對,以緣心與所之境一邊,名為所緣有對云。見俱舍論二。梵Sapratigha。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br>解釋:
<br>有對===瑜伽五十六卷四頁云:問:何義,幾蘊,是有對?答:展轉相觸,據處所義,及麤大義,是有對義。麤大義者:當知遠離三種微細。此三微細,如前應知。一蘊一分是有對。
<br>二解 顯揚五卷十五頁云:問:何義,幾種,是有對?答:更相觸對,各據處所,及麤義故。一少分是有對。言麤義者,離三種細。何者為三?一、損減細,二、種類細,三、心自在轉細。
<br>三解 雜集論三卷七頁云:云何有對?幾是有對?為何義故,觀有對耶?謂諸有見者,皆是有對。又三因故,說名有對。謂種類故,積集故,不修治故。種類者:謂諸色法,互為能礙,互為所礙。能礙往來,是有對義。此唯應言互為能礙;所以復言互為所礙者;為建立光明等色,是有對故。以彼唯是所礙,非能礙性;性自爾故。種類是自性義。積集者:謂極微已上。以一極微,無對礙故。不修治者。謂非三摩地自在轉色。定自在力所轉諸色,無對礙故。如平等心諸天。又損害依處,是有對義。謂若依,若緣,能生瞋恚;名為有對。即以如是有對義故,一切皆是有對。"}}{{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6%9C%89%E5%B0%8D 有對]". 2013년 5월 24일에 확인|ps=<br>"有對:
<br>Pronunciations:
[py] yǒuduì
[wg] yu-tui
323번째 줄:
 梵語 apratigha。對,為礙之意。無對,即非極微所成之無障礙法。「有對」之對稱。十二處中,眼、耳、鼻、舌、身等五根及色、聲、香、味、觸五境等十處有障礙,故為有對;意處、法處無障礙,故為無對。然有對分為障礙有對、境界有對、所緣有對三種。今十色處為有對,意處、法處為無對,乃就障礙有對而論。〔大毘婆沙論卷七十六、俱舍論卷二、成唯識論述記卷二〕(參閱「有對」2451) p512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84%A1%E5%B0%8D&rowno=1 不可見無對色(불가견무대색]". 2013년 5월 24일에 확인|ps=<br>"不可見無對色(불가견무대색):
3종 색(色)의 하나. 무표색(無表色)은 안식(眼識)으로 볼 수 없으므로 불가견이라 하고, 또 극미(極微)에서 났으나 극미로 된 것은 아니어서 다른 것에 대하여, 장애하는 성품을 가지지 않았으므로 무대색이라 함."}}{{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7%84%A1%E5%B0%8D 無對]". 2013년 5월 24일에 확인|ps=<br>"無對:
<br>Pronunciations:
[py] wúduì
[wg] wu-tui
339번째 줄:
<br># Cf. Karashima (Lokakṣema Glossary): view / hide
<br>無對
<br>wú duì
<br>having no counterparts ? (probably a translation of Skt. vivikta isolated)
<br>HD.7.145(南朝陳代)
370번째 줄:
 
[[유대법]](有對法){{.cw}}[[유대]](有對)는 '''유애법'''(有礙法){{.cw}}'''유애'''(有礙)라고도 하며,{{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6%9C%89%E5%B0%8D 有對]". 2013년 5월 24일에 확인}}{{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67.xml+id%28%27b6709-7919%27%29 有礙]". 2013년 5월 24일에 확인|ps=<br>"有礙:
<br>Pronunciations:
[py] yǒuài
[wg] yu-ai
456번째 줄: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br>解釋: (名數)【參見: 色】"}}{{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4%B8%89%E8%89%B2 三色]". 2013년 5월 23일에 확인|ps=<br>"三色:
<br>Pronunciations:
[py] sānsè
[wg] san-se
628번째 줄: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25/1509_001.htm 대지도론(大智度論)] |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5, No. 1509, CBETA|연도=T.1509}}}
 
==주석 각주 ==
<div style="font-size: 10pt"><references/></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