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101번째 줄:
나아가, [[안근]](眼根)을 통해 지각되는 [[극미]]의 경우, [[안근]]은 [[신근]]에 소속되어 있기 때문에 [[안근]]이 작용할 때는 필히 [[신근]]도 함께 작용하므로, 위의 [[신근]]의 9사(九事: 9가지 실체)에 [[안근]]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정색]](淨色)이라는 1가지 사(事: 실체)가 추가로 결합된 10사구생(十事俱生)의 [[미취]]라고 말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비근]](鼻根), [[설근 (불교)|설근]](舌根)을 통해 지각되는 [[극미]]의 경우경우에도, 각각 [[신근]]의 9사(九事)에 [[비근]]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정색]](淨色)의 1사, [[설근]]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정색]](淨色)의 1사가 추가로 결합된 10사구생(十事俱生)의 [[미취]]라고 말하고 있다.{{sfn|권오민|2003|pp=56-61}}
 
마지막으로, [[이근 (불교)|이근]](耳根)을 통해 지각되는 [[극미]]의 경우, [[신근]]의 9사(九事)에 [[이근 (불교)|이근]]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정색]](淨色)의 1사와 [[성경 (불교)|성경]](聲境)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소조색]]의 1사가 결합된 11사구생(十一事俱生)의 [[미취]]라고 말하고 있다. 이 경우는 인간과 같은 [[유정 (불교)|유정]](有情)이 [[이근 (불교)|이근]]을 통해 소리를 지각하는 경우이다. 손 등의 신체 일부를 통해 소리를 낼 때의 [[극미]]의 경우, 이들 11사에서 [[이근 (불교)|이근]]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정색]](淨色)의 1사가 빠지므로, 10사구생(十事俱生)의 [[미취]]가 된다. 초목, 흙, 돌과 같은 [[비유정]](非有情)아 소리를 낼 때의 [[극미]]의 경우, 기본 8사(八事)에 [[성경 (불교)|성경]](聲境)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소조색]]의 1사가 결합된 9사구생(九事俱生)의 [[미취]]이다.{{sfn|권오민|2003|pp=5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