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글로불린 D: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ongofSol (토론 | 기여)
영어 위키백과의 Immunoglobulin D 문서 2014년 12월 05일 23시 06분 버전을 참고하였습니다.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File파일:Mono-und-Polymere.svg|thumb|항체 개별형에 따라 여러 항체가 모여 [[중합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면역글로불린 D''' 혹은 '''IgD'''는 [[항체]] [[개별형]] 중 하나이다. 성숙 [[B 세포]]에서 또 다른 항체인 [[IgM]]과 함께 공동발현된다. IgD는 혈액에 존재하는 면역글로불린 중 0.25%를 차지하며, 분자량은 약 185 kDa이고 반감기는 2.8일이다.<ref name="pmid5919348">{{cite journal저널 인용|author=Rogentine GN, Rowe DS, Bradley J, Waldmann TA, Fahey JL |title=Metabolism of human immunoglobulin D (IgD) |journal=J. Clin. Invest. |volume=45 |issue=9 |pages=1467–78 |year=1966 |pmid=5919348 |pmc=292826 |doi=10.1172/JCI105454 |url=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92826/pdf/jcinvest00267-0123.pdf}}</ref> 분비된 IgD는 단량체이며, 델타(δ)형 중쇄 두 개, 경쇄 두 개로 이루어진다.
 
== 기능 ==
1964년 IgD가 발견된 이래로 IgD의 기능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IgD는 ([[새]]를 제외하고)[[연골어류]]에서 사람에 이르기까지 IgD가 존재한다.<ref>{{Cite저널 journal인용
| doi = 10.1073/pnas.0601407103
| volume = 103
21번째 줄:
</ref> [[후천 면역|후천 면역계]]가 있는 다양한 [[종]]에 IgD가 존재한다는 것은 IgD가 [[IgM]]만큼 오래된 분자이며 면역학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할 것임을 암시한다.
 
IgD는 [[B 세포]]을 활성화하는 신호를 전달한다. B 세포가 분화하는 동안 미성숙 B 세포에는 IgM만 발현된다.<ref>{{cite서적 book인용
|author=Kenneth Murphy, Paul Travers, Mark Walport
|editor=김희제 외 9인 역
31번째 줄:
|page=251-264
|chapter=7장 림프구의 발달과 생존
}}</ref> B 세포가 [[골수]]를 빠져나와서 말초 림프조직에서 증식할 때 IgD가 발현되기 시작한다. B 세포가 성숙 단계에 도달하면 IgM과 IgD를 공동발현한다.<ref name="janeway154" /> IgM과 IgD가 기능적으로 다른 항체인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IgD를 생산하지 못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된 Cδ [[녹아웃]] [[생쥐]]도 B 세포에 특별한 결함이 없다.<ref name="pmid21414345">{{cite journal저널 인용|author=Edholm ES, Bengten E, Wilson M |title=Insights into the function of IgD |journal=Dev. Comp. Immunol. |volume=35 |issue=12 |pages=1309–16 |year=2011 |pmid=21414345 |doi=10.1016/j.dci.2011.03.002 |url=}}</ref><ref name="pmid8446604">{{cite journal저널 인용|author=Nitschke L, Kosco MH, Köhler G, Lamers MC |title=Immunoglobulin D-deficient mice can mount normal immune responses to thymus-independent and -dependent antigens |journal=Proc. Natl. Acad. Sci. U.S.A. |volume=90 |issue=5 |pages=1887–91 |year=1993 |pmid=8446604 |pmc=45985 |doi= |url=http://www.pnas.org/content/90/5/1887.long}}</ref> IgD는 [[알레르기]] 반응에서 특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
 
IgD가 [[호염기구]]와 [[비만세포]]에 결합하여 항미생물 인자를 생산하도록 활성화한다는 보고가 있다.<ref name="pmid19561614">{{cite journal저널 인용|author=Chen K, Xu W, Wilson M, ''et al.'' |title=Immunoglobulin D enhances immune surveillance by activating antimicrobial, proinflammatory and B cell-stimulating programs in basophils |journal=Nat. Immunol. |volume=10 |issue=8 |pages=889–98 |year=2009 |pmid=19561614 |pmc=2785232 |doi=10.1038/ni.1748 |url=}}</ref> 이는 IgD를 녹아웃한 생쥐에서 말초 B 세포의 수와 혈청 [[IgE]] 농도가 감소하고 일차 [[IgG]]1 반응에 결함이 있는 것과 일치한다.
 
== 공동발현 ==
사람의 중쇄 유전자좌에서, [[V(D)J 재조합|V-D-J]] 카세트의 3' 방향에 불변 사슬의 유전자가 있고 이에 따라 항체 개별형이 결정된다. IgM의 [[불변사슬]]인 Cμ 유전자는 V-D-J 카세트에서 3' 방향에 있고, 이어서 IgD에 대한 불변사슬 Cδ 유전자가 존재한다.<ref>{{cite서적 book인용
|author=Kenneth Murphy, Paul Travers, Mark Walport
|editor=김희제 외 9인 역
48번째 줄:
}}</ref>
 
일차 면역글로불린 유전자가 발현될 때 V-D-J 카세트와 Cμ 및 Cδ 유전자, 그리고 그 사이의 [[인트론]]이 일차 [[mRNA]]로 전사된다. 이후 [[선택적 스플라이싱]]이 일어나 Cμ나 Cδ 유전자 중 하나만 들어있는 mRNA(각각 μmRNA 혹은 δmRNA)가 형성된다.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폴리아데닐화]]의 도움을 받아서 일어난다. 일차 mRNA는 Cμ와 Cδ 사이, 그리고 Cδ의 3' 방향 두 군데에 폴리아데닐화가 될 수 있다. Cμ와 Cδ 사이에 폴리아데닐화되면 μmRNA가 되고, Cδ의 3' 방향에 폴리아데닐화되면 Cμ가 인트론과 함께 잘려나가면서 δmRNA가 된다.<ref name="janeway154">{{cite서적 book인용
|author=Kenneth Murphy, Paul Travers, Mark Walport
|editor=김희제 외 9인 역
63번째 줄:
 
== 주석 및 참고 문헌 ==
{{reflist각주|2}}
 
== 바깥 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