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테만 전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2번째 줄:
{{전쟁 정보
|분쟁 = 레이테만 전투
|전체 = [[태평양 전쟁]]
|그림 = Musashi under fire.jpg
|설명 =
41번째 줄:
이후의 작전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니스트 킹]] 해군 대장과 다른 합동 참모부 수뇌부는 일본군을 필리핀에 묶어 높고 [[타이완]](당시 포르모자 공화국)을 공격하여 미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이 일본과 남아시아 사이의 병참선을 끊을 수 있기를 바랐다. 미육군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은 필리핀에 대한 공격의 선봉에 서기를 바랐다. 이는 필리핀이 일본의 또다른 병참선이기도 했으나, 개인적으로 1942년 필리핀 철수 당시 남긴 "나는 돌아오겠다(I shall return)"는 자신의 말에 대한 책임감 때문이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체스터 니미츠]] 제독을 포함한 연합참모부 밖의 고급 지휘관들은 필리핀 주둔의 일본 항공 세력이 우회하기에 너무 강력하다고 생각했다. 니미츠와 맥아더는 초기에 레이테만 전투에 반대하였다. 니미츠는 타이완이 일본의 동남아시아 병참선 차단이나 미군의 중국 본토 전개에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맥아더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루스벨트 대통령]]과 맥아더, 니미츠 사이의 회의에서 필리핀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목표임을 확인하였으나, 필리핀 공격에 대한 결정이 바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ref>{{cite book서적 인용| chapterurl=http://www.history.army.mil/books/70-7_21.htm| chapter= Chapter 21: Luzon Versus Formosa | last= Smith |first= Robert Ross | date= | title = Command Decisions | url = http://www.history.army.mil/books/70-7_0.htm| publisher=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id = CMH Pub 70-7| year = 2000| origyear = 1960 | pages= | accessdate=8 December 2007 | archiveurl= http://web.archive.org/web/20071230145455/http://www.history.army.mil/books/70-7_0.htm| archivedate= 30 December 2007 <!--DASHBot-->| deadurl= no| quote= "Meeting with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in a conference at Pearl Harbor in late July 1944,... MacArthur then argued persuasively that it was both necessary and proper to take Luzon before going on to Formosa, while Nimitz expounded a plan for striking straight across the western Pacific to Formosa, bypassing Luzon. Apparently, no decisions on strategy were reached at the Pearl Harbor conferences. The Formosa versus Luzon debate continued without let-up at the highest planning levels for over two months, and even the question of bypassing the Philippines entirely in favor of a direct move on Formosa again came up for serious discussion."}}</ref> 그러나 결과적으로 니미츠는 맥아더의 계획에 동의하게 된다.<ref name="Morison1956"/>
 
타이완에 상륙하기 위해서는 12개 사단 규모의 지상군이 필요했던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당시 미군은 태평양 전선에 추가적으로 투입할 병력이 부족하였고, 오스트레일리아 군은 네델란드령 동인도의 솔로몬섬이나 다른 여러 태평양 지역의 섬을 담당하고 있어서 역시 가용한 병력이 부족하였다. 유럽 전선이 정리 되기 전까지 필요한 병력을 수급할 방법이 없어 보였다.<ref name="Morison1956"/>
69번째 줄:
다터함과 데이스함은 최대 출력으로 수상 기동하여 구리타 함대 진형의 진행 방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일출과 동시에 공격을 개시하였다. 이 공격은 아주 성공적으로 이루어 졌다. 05:24에 다터함은 6발의 어뢰를 발사하였으며, 적어도 4발이 구리타 함대의 기함인 중순양함 아타고(다카오급)에 명중한다. 10분후, 다터함은 다카오함에 두발의 어뢰를 명중시켰다. 05:56에 데이스함은 마야함(다카오급)에 네발의 어뢰를 명중시킨다.<ref name= "Morison1956"/>
 
아타고함과 마야함은 곧 침몰하였다.<ref name="TakaoClass">{{cite web인용|first = Hiroshi | last = Nishida |url= http://homepage2.nifty.com/nishidah/e/stc0332.htm |title= Hashimoto, Shintaro |year=2002 |work= Imperial Japanese Navy}}</ref> 다카오함은 두척의 구축함과 함께 브루나이로 회항하였으나, 다터함과 데이스함이 계속 추격하였다. 10월 24일에 다카오함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다터함은 모래톱에 좌초하였으며,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잠수함을 포기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터함의 승무원 전원은 데이스함에 구조된다.
 
다카오함은 싱가포르로 귀항하였다.
 
아타고함은 매우 빠르게 침몰하였으며, 구리타 제독도 직접 수영을 해야할 정도였다. 제독은 일본 구축함에 의해 구조되었으며, 야마토함에 옮겨타게 된다.<ref name= "Morison1956"/><ref name="Cutler1994">{{cite book서적 인용|title=The Battle of Leyte Gulf, 23–26 October 1944 |last=Cutler |first=Thomas J. |authorlink= |year=1994 |publisher=HarperCollins |location=New York | isbn=0-06-016949-4 |pages= |url= }}</ref><ref name="Hornfischer2004">{{cite서적 book인용| title=The Last Stand of the Tin Can Sailors |last= Hornfischer |first=James D. |authorlink= |year=2004 |publisher=Bantam |location=New York |isbn=0-553-80257-7 |pages= |url= }}</ref>
 
== 시부얀 해전 ==
94번째 줄:
 
10월 24일 3함대는 일본 중부군에 대하여 259회의 비행 출격을 감행하였으며, 대부분은 핼켓 전투기였다. 그러나 10월 25일 훨씬 약한 전력을 가지고 있던 북방군의 오자와 함대에 대한 527회 출격에 비하면, 구리타 함대를 무력화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공격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공격은 전함 무사시에 집중되었다. 결과적으로 무사시함은 침몰하였으며, 순양함 묘코가 큰 피해를 입었지만, 구리타 함대의 다른 전투함들은 대부분 전력을 보존하고 있었다.<ref name="Morison1956"/>
홀시 제독의 오판에 의하여 구리타 함대는 밤중에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을 통과할 수 있었으며, 다음날 수마르 해안에 극적으로 등장하게 된다.<ref>{{cite web인용|first = Klemen | last = L |url= http://www.dutcheastindies.webs.com/kurita.html |title= Rear-Admiral Takeo Kurita |date=1999-2000 |work=Forgotten Campaign: The Dutch East Indies Campaign 1941–1942}}</ref>
 
==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 ==
106번째 줄:
{{bquote|공격 보고서에 따르면 중부군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br />3개 그룹과 북쪽으로 진행하여 새벽에 교전하겠다.|15px|15px|Morison (1956)}}
 
3개 그룹이라는 표현에 대하여 홀시와 니미츠는 서로 다르게 판단하였다. 니미츠 제독은 홀시 제독이 새로이 편성된 34 기동함대를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 방어를 위하여 놔두고, 남은 3개 그룹의 함대전투단과 함께 북방군을 추격한다는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실제로 홀시 제독 해당 해역의 가능한 모든 전투함을 동원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에는 방어 병력이 남지 않게 되었으며, 3함대는 좌익을 무방비로 노출하게 된다.
심지어 경항모 인디펜던스(USS independence, CVL-22)에서 출격한 야간초계비행에서 중앙군이 레이테만 방향으로 회항하고 있다는 정찰 정보가 3함대 기함에 전달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으며,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은 완전히 열리게 된다.
 
141번째 줄:
24일 22:36에 페터 가드 정장의 어뢰정 PT-131이 일본 함대와 접적을 이루었다. 이후 3시간 반동안 PT-131은 북진하는 니시무라 함대와 지속적으로 교전한다. 이 접적 보고는 올덴도르프 함대에게 귀중한 정보가 되었다. 하지만 어뢰정의 어뢰는 전혀 명중하지 않아 니시무라 함대는 다수의 어뢰정과의 교전에서 피해를 입지 않고 진행하였다.<ref name="Morison1956"/>
 
그러나 어뢰정의 매복을 통과한 직후에 양측에서 공격하는 구축함의 어뢰는 피하지 못하게 된다. 25일 03:00 무렵에 일본 전함 두 척 모두 어뢰에 피격된다. 그 중 ''후소''는 기관이 정지되어 낙오했으며 이어 미국 구축함 ''멜빈''(USS Melvin, DD-680)의 어뢰를 맞고 선체가 두동강 난 뒤 고물쪽은 ''루이빌''의 포격으로 침몰했고 이물쪽은 카니한 섬 근처에서 가라앉았다.<ref name="Morison1956"/> 그러나 ''후소''의 침몰이 전적으로 어뢰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이 사용하던 정제가 충분하지 않은 연료의 유폭에 의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ref>{{citation 인용| first = Anthony P | last = Tully | title = Battle of Surigao Strait | publisher = Bloomington | year = 2009 | ISBN = 978-0-253-35242-2}}.</ref><ref>{{Harvnb|Tully|2009}}.</ref> 또한 ''후소''를 비롯하여 먼저 침몰 또는 항해불능이 된 네 척의 일본측 함정의 생존자들의 운명에 대한 설명도 몇 가지 의견이 있다. 바다에 떨어진 일본 장병들이 미국측 함정의 구조를 거부하였다거나, 주변 섬에 상륙한 승무원들이 필리핀 원주민들에게 살해당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또 표류하기 시작한 ''아사구모''가 나머지 세 침몰선의 생존자들을 구조했으나 ''아사구모''도 침몰하여 전부 사망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 니시무라 함대의 네 구축함은 [[단종진]]의 진형을 형성하던 중 어뢰 공격을 받았다. ''야마구모''가 미국 구축함 ''맥덜무트''(USS McDermut, DD-677)가 쏜 어뢰를 맞고 03:11 경에 침몰하여 니시무라 함대의 첫 침몰함이 되었으며, ''미치시오''는 왼쪽에 어뢰를 맞고 항해불능 상태에 빠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 구축함 ''허친스''(USS Hutchins, DD-476)가 발사한 어뢰를 맞고 03:23 경에 격침되었다. ''아사구모''는 뱃머리가 크게 손상되어 표류하게 되었고 ''시구레''만이 어뢰 공격을 피할 수 있었다.
155번째 줄:
수리가오 해협 전투는 2차 세계대전의 태평양 전쟁에서 이루어진 두 번의 '전함 대 전함' 전투 중 하나이며,<ref>다른 하나는 과다카날 전역 중에 이루어진 [[과다카날 해전]]</ref> 역사상 마지막 '전함 대 전함' 전투이다. 또한 역사상 마지막으로 ''[[정자전법]](Crossing the T)''이 사용된 전투였다. 그러나 수리가오 해협 전투에서 정자전법이 사용된 시점은 이미 일본군 함대가 세 척의 전투함만 남아있는 약화된 상태였으므로, 전투의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ref name="Morison1956"/><ref name="Howard1999"/>
 
== 사마르 해전 10월 25일 ==
[[File파일:Samar.jpg|right|thumbnail|325px|사마르 해전]]
 
=== 서막 ===
168번째 줄:
구리타 함대는 [[클리프턴 스프레이그]] 제독 휘하의 전투단 77.4.3 (Task Unit 77.4.3, 'Taffy 3')를 부지불식간에 따라잡았다. 스프레이그 제독은 휘하의 항모들에 함제기를 발진시키라고 명력하였으며, [[스콜]]에 숨기 위하여 동쪽으로 항진하였다. 구축함과 호위구축함들은 연막을 이용하여 항공모함의 후퇴를 가리고자 하였다.
 
구리타 제독은 오자와 함대의 유인 작전이 성공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홀시 제독의 3함대 소속 항공모함을 찾았다고 판단하고, 대 항공모함 전투 대형으로 함대를 제편하였다. 또한 '일반 공격' 명령을 통하여 휘하의 함대가 독자적으로 판단하여 공격하도록 하였다.<ref name="Thomas2006">{{cite book서적 인용|title=Sea of Thunder: Four Commanders and the last Great Naval Campaign, 1941–1945 |last= Thomas |first=Evan| authorlink= |year=2006 |publisher=Simon & Schuster |location=New York |isbn=0-7432-5221-7 |pages= |url= }}</ref>
 
미해군 구축함 [[USS 존스턴|존스턴]](USS Johnston, DD-557)은 적 함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었다. 함장 어네스트 에반스(Ernest E. Evans) 소령은 적 함대와의 압도적인 전력차를 확인 하고 전속력으로 적 함대로 뛰어들며 중순양함 구마노(Jumano)를 어뢰로 공격하였다. 구마노함은 피격되어 전열에서 이탈한다. 이를 목격한 스프레이그 제독은 남은 전투단 소속의 소형 함정에 같은 역할을 명령한다. Taffy 3 소속의 다른 두척의 구축함([[USS 호엘|호엘]](USS Hoel, DD-522),[[USS 허만|허만]](USS Heermann, DD-532))과 호위구축함(사무엘 로버트(USS Samuel B. Roberts, DE-413))은 자살적 공격을 감행한다. 일본 함대는 화력이 분산되고, 공격하는 어뢰를 회피하기 위하여 함대의 대형이 흐트러지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함대는 항공모함에 계속 접근하며 호엘함과 로버트함을 침몰시킨다. 존스턴함 역시 보유한 어뢰를 모두 소모하고 5인치 주포로 계속 교전하였으나, 일본 구축함에 의해 침몰한다.
 
177번째 줄:
 
=== 구리타 제독의 후퇴 ===
[[File파일:USS St Lo (CVE-63) 2.jpg|thumb|''[[가미카제]]'' 공격으로 폭발 중인 세인트로.]]
 
스프라구 함대의 격렬한 반격 때문에 일본 측은 교전 상대가 미해군 주력이라고 확신하게 된다. 구리타 함대 기함이었던 야마토를 비롯하여 여러 함들이 항공 공격과 어뢰에 대한 회피 기동 과정에서 전투에서 이탈하거나 전열이 흐트러지게 된다. 구리타 제독은 모든 함들에 대하여 야마토함이 북진하고 있음을 알리고 함열을 재정비하고자 노력하였다. 레이테만으로 전체 함대의 방향을 돌리기 직전에 구리타는 미해군 항공모함 전단이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고, 수송함보다 전투함과 교전하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북쪽에 있다던 미해군 항공모함 전단에 대한 보고는 잘못된 것이었으며, 결과적으로 구리타 함대는 산베르다르디노 해협을 통해 후퇴하기로 한다. 이상의 전투 과정에서 구리타 제독은 3척의 중순양함을 잃었으며, 더이상의 교전이 지속되면 손실이 확대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더구나, 후퇴를 결정한 시점에서 구리타 제독의 판단은 오자와 함대가 미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미해군의 실질 전력 대부분을 레이테만 밖으로 끌어내었다는 사실을 모른체 이루어 졌다. 일본 함대 사이의 불충분한 의사 소통과 항공 정찰 정보의 부족 때문에 구리타 제독은 작전 계획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는 것을 알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구리타는 레이테만에 남은 미해군 상륙전력에 대한 공격 기회를 놓치게 된다. 이 시점에서 레이테만에 남은 미해군 상륙전력은 수상함과 교전할 만한 전력을 거의 가지고 있지 못했다. 구리타 제독은 자신이 미해군 3함대의 주전력과 교전한다고 생각했으며, 곧 포위섬멸 당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ref name="Thomas2006"/>
186번째 줄:
 
== 엔가뇨 곳 해전 10월 25-26일 ==
[[File파일:Zuikaku at Cape Engano.jpg|thumb|초기 엔가뇨 곳 전투에서 왼쪽의 [[일본 항공모함 즈이카쿠|즈이카쿠함]] 그리고 즈이호로 추정되는 일본 항공모함이 [[급강하폭격기]]의 공격을 받고 있다.]]
 
오자와 제독의 "북방군"은 4척의 항공모함이 주력이었다. 일본 제국 해군 제1 항공함대(1st Air Fleet of the Imperial Japanese Navey)의 6척의 항공모함 중 살아남은 [[일본 항공모함 즈이카쿠|즈이카쿠함]]은 1941년에 [[진주만 공격]]에도 참여한 백전노장이었으며, 이외에도 경항공모함 즈이호, 치토세, 치요다가 있다. [[1차 세계대전]] 당시 전함으로 사용된 [[휴가]]함과 [[이세]]함은 고물 방향의 2개 주포대를 철거하고 비행갑판과 사출기를 설치한 [[항공전함]]이었지만, 당시에는 비행기를 탑재하고 있지 않았다. 그외에도 3척의 경순양함 오요도, 타마, 이스즈와 9척의 구축함이 주 전력이었다. 항공모함에는 단지 108기의 항공기가 탑재되어 있었다.<ref name ="Morison1956"/>
194번째 줄:
10월 25일 02:40에 홀시 제독은 3함대 소속 6척의 전함을 주축으로 34 기동함대를 분리하여 윌리스 A. 리(Willis A. Lee) 제독에 지휘를 맡겼다. 새벽이 다가오며 리 제독의 34 기동함대는 함대의 선두에 나서게 된다. 홀시 제독은 미처 제독의 항공세력으로 공격하고 리 제독의 함대에서 전함의 주포로 바로 타격 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ref name="Morison1956"/>
 
[[File파일:Lowering the flag on Zuikaku.jpg|thumb|left|즈이카쿠함의 승무원들이 기를 내리자 경례하고 있다. 이 후 즈이카쿠함은 [[일본 제국 해군]] 기함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였다.]]
 
10월 25일 동틀무렵 오자와 제독은 75기의 항공기를 출격시켜 3함대를 공격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항공기는 초계 비행 중이던 미군 전투기에 의하여 요격되었으며, 일부 살아남은 일본군 항공기는 루손의 지상기지로 복귀하였다.
226번째 줄:
 
전투의 기간이 길고 규모가 방대하여, 레이테만 전투에 해당하는 전과로 평가하는데 이견이 있어 경우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 중 대표적인 숫자는 다음과 같다.
<ref name=losses>{{cite web 인용|title=The Battle of Leyte Gulf – Casualty List |url=http://www.bosamar.com/pages/bosc14 |accessdate=7 November2010 |date= 14 July 2008 |author=Robert Jon Cox}}</ref>
 
=== 연합군 ===
247번째 줄:
 
== 전후 ==
[[File파일:US Navy 041020-N-0493B-003 Backed by a monument marking the location of Gen. Douglas MacArthur's return to the Philippines 60 years ago, a Philippine Marine Corps honor guard stands at attention during the playing of Taps.jpg|thumb|right||2004년 10월 20일 [[필리핀]]의 [[레이테 주]]의 [[팔로]]에서 60주년 기념 행사가 열렸다.]]
 
레이테만 전투의 결과로 레이테섬에서 미육군 6군단의 [[교두보]]가 바다로 부터의 적의 공격에 안전해진다. 그러나 연합군은 레이테섬의 완전 점령을 위하여 1944년 12월에 이르기까지 치열한 전투를 진행해야 했다. 이후 [[레이테 전투]]는 섬에서의 지상전 뿐 아니라 일본 제국군의 보급과 보충의 저지하고, 해상-공중 우세를 확보하기 위한 여러번의 추가적인 상륙 작전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추가적인 상륙작전은 [[오막 해 전투]](Battle of Ormoc Bay]]로 통칭된다.<ref name="Morison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