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류지왕 (토론 | 기여)
31171편성이 1000호대 2세대 출입문으로 교체된다고요? 근거없는 소리 하지 마세요.
태그: 점검이 필요한 외부 링크
류지왕 (토론 | 기여)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병점기지선, 장항선은 2복선화가 아닙니다. 따라서 서론에서 해당 부분을 삭제했습니다.
32번째 줄:
}}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는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경인선]] 2복선화에 따른 수요 증가 및 기존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대체를 목적으로 도입한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전동차이다. [[2011년]] [[3월]]까지 5000호대 차호를 사용하였으나, 같은 해 [[4월]]부터 [[10월]]까지 차호를 311000호대로 개번하였다. 현재 총 10량 94개95개 편성이 운행중이다.
 
==기술적 사양 ==
96번째 줄:
===1세대 ===
[[파일:Korail Class 311000 EMU.jpg|thumb|right|1세대 31126편성]]
31101~31141(변경 전 01~42편성)편성이 이에 해당되며, 1996년 말에서 1999년 초까지 [[현대정공]] 창원공장<ref>31101~31127편성이 해당</ref>과 [[대우중공업]] 의왕공장<ref>31128~31141편성이 해당</ref>에서 제작, 도입되었다. 초기 반입된 6개 편성은, 오랜 기간 시운전을 거쳐 [[1997년]] [[5월]]에서야 정식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31101~31106편성은 출입문과 인통문 문양이 이전 차량들은 부식무늬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사양이 비슷하며 출입문 경고음이 없다. 이후 도입된 차량은 역삼각 무늬로 변경되었으며 출입문 경고음이 있다. 반입 당시 도색은 청록색과 노란색 조합([[철도청]] 색상)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2004년 불연화 개조가 이루어지며, 현재의 빨간색, 군청색 조합 도색으로 재도색 되었다. 31128~31141편성은 [[1973년]]부터 [[1974년]]까지 도입되었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 전동차]]의 폐차를 위하여 도입된 차량으로 1호차와 10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추가되었고, 객실 안내기의 수를 2개로 늘렸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amp;amp;mid=sec&amp;amp;sid1=101&amp;amp;oid=001&amp;amp;aid=0004218851 大宇重, 서울 지하철 1호선 전동차 1백35량 수주], [[1997년]] [[5월 28일]] 작성, [[2015년]] [[2월 23일]] 확인.</ref>
 
19편성은(변경 후 말소) [[2007년]] [[5월]]에 일어난 [[영등포역]] 추돌 사고로 2량 폐차 후 31906편성과 319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25, 26편성(변경 후 24, 25편성)은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차량 번호가 중복되는 관계로 55, 56편성으로 도입된 후 해당 기관차의 폐차로 인한 차적 삭제로 정상적인 편성 번호로 변경되었으며<ref>55, 56편성은 차후 2세대형 전동차로 신규 도입 후 31154, 31155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ref> 31113, 31116, 31135편성의 주 제어 장치가 MCK01C형에서 COVO52-A0형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31137편성(변경 전 38편성)에는 시범적으로 코모넷사의 차내방송 시스템을 내장하였다가 현재는 철거되었다. 31139~31141편성(변경 전 40~42편성)에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2세대형 부수 객차]]를 개조하여 311000호대에 편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113번째 줄:
====후기형 ====
[[파일:Korail Line 1 train leaving Yongsan.JPG|thumb|right|3세대 후기형 31184편성]]
31183~31194편성이 이에 해당한다. [[2012년]]부터 도입되고 있으며, [[경인선]]으로의 신규 투입<ref>[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new_search/YIBW_showSearchArticle_New.aspx?searchpart=article&amp;amp;searchtext=%ec%bd%94%eb%a0%88%ec%9d%bc&amp;amp;contents_id=AKR20120518098900063 코레일, 수도권 출퇴근 열차 대폭 증편], 《[[연합뉴스]]》, [[2012년]] [[5월 18일]] 작성; 31185편성 이전 반입분이 해당.</ref>과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 중기]]편성의 폐차<ref>31186편성 이후 반입분이 해당.</ref>로 인해 도입되었다. [[분당선]]과 [[수인선]]의 운행용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351000호대 전동차]]와 [[경의선]]의 운행용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331000호대 전동차]]에 기초하였으나 10량 [[교류|교]][[직류|직]]혼용 전동차로 반입되었으며, 이 차량부터 천장에 LCD 안내기를 사용하는 승객 안내 장치를 설비하였다.
 
31183~31187편성은 10량 중 M, T 각 2량씩을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의 6량화 과정에서 남는 잉여차량을 부수차로 전환하여 반입되었으나 [[코레일]]이 [[2014년]]까지 [[수도권 전철 중앙선]] 잉여차량들을 원위치 시켜 전 차량을 8량으로 재환원 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여 [[2014년]] 4량의 신조객차를 편입해서 10량으로 환원되어 운행중이다.
232번째 줄:
|'''31138 편성'''||운행중||
|-
|'''31139 편성'''||운행중||중기저항 T 차량 1량을 개조해 투입하였다. 또한 311939호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ref>http://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ryudong123&amp;amp;logationo=220625573492</ref>
|-
|'''31140 편성'''||rowspan="2"|[[1999년]]||운행중||rowspan="2"|중기저항 T 차량 2량을 개조해 투입하였다.
327번째 줄:
|'''31179 편성'''||운행중||
|-
|'''31180 편성'''||운행중||2010년 11월 29일<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amp;amp;mid=sec&amp;amp;sid1=102&amp;amp;oid=001&amp;amp;aid=0004793861 <경기도 '민원전철' 1호선 서동탄∼성북 첫 운행>], 《연합뉴스》, 2010.11.29.</ref>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민원전철365로 운행하였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1115_0012516673&amp;amp;cID=10803&amp;amp;pID=10800 '애물단지' 민원전철…원상복구비만 1억], 《뉴시스》, 2013.11.17.</ref>
|-
|'''31181 편성'''||운행중||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380번째 줄:
* [[2007년]] [[5월 12일]],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영등포역]] 구내에서 발생한 구 19편성과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 기관차|디젤전기기관차 4404호]]와의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구 19편성 5119호와 5719호가 폐차되고, 남은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319000호대 전동차]]의 06, 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 [[2010년]] [[5월 1일]], [[구로차량사업소]]에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의 58편성과 (구)5000호대의 75편성(변경 후 311000호대 74편성)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ref>[http://www.ytn.co.kr/_ln/0103_201005020004200449 구로 전동차 차량기지 추돌 사고], 《YTN》 [[2010년]] [[5월 1일]]</ref>. 이 사고로 5075호(변경 후 311074호)의 전면부가 일부 파손되었으며, 1058편성은 중간 프레임이 휘어 결국 폐차 처리되었고, 31174편성(변경 전 75편성)은 [[문산차량사업소]] 중수선에 입창되어 장기간 복구작업을 마치고 정상 운행중이다.
* [[2012년]] [[2월 2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에서 청량리역으로 향하던 중 차량 고장으로 멈춰선 31158편성(변경 전 59편성) 열차를 뒤따라 오던 31171편성(변경 전 72편성) 열차가 구원기로 연결한 후 광운대역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종로5가역]] 구내에서 31158편성(변경 전 59편성) 열차의 10량 중 9번째 칸이 탈선하였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4090957012&amp;amp;code=900370 종로5가 지하철 탈선]</ref>
* [[2012년]] [[6월 3일]]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천안역]]에서 운행을 마치고 인입선으로 들어가려던 31147편성(변경 전 48편성) 열차의 10량 중 일부가 탈선해 이 일대의 열차운행이 9시간 여 동안 차질을 빚었다.<ref>[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213802 천안역서 열차 탈선…장항선 열차 운행 중단]</ref><ref>[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213841 천안역 탈선사고 9시간만에 복구…항의 빗발쳐]</ref>
* [[2015년]] [[5월 19일]] 인천시 중구 경인전철 1호선 인천역 승강장 인근 철로에서 31126편성 전동차가 탈선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