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전등사 대웅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문화재 정보 틀을 새 것으로 바꿈
1번째 줄:
 
{{유형문화재 정보
{{문화재 정보
| 소재_국가 = {{KOR}}
| 이름 = 강화 전등사 대웅전<br /br>(江華 傳燈寺 大雄殿)
| 유형 =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 그림 = Jeongdeungsa Daeungjeon (Ganghwa) 13-01201.JPG
| 그림설명 =
| 이름 = 강화 전등사 대웅전</br>(江華 傳燈寺 大雄殿)
| 지정_번호국가 = 178{{KOR}}
| 유형 =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제1호 ~ 제100호|보물]]
| 지정연월일 = [[1963년]] [[1월 21일]]
| 해지연월일번호 = 78
| 지정연월일지정 = [[1963년]] [[1월 21일]]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br>길상면 전등사로 37-41, 전등사
| 소유자해지 = [[전등사]]
| 소재지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br>[[길상면]] 전등사로 37-41, <br />전등사 (온수리)
| 수량 = 1동
| 연면적시대 = [[조선시대]]
| 좌표 소유 = 전등사
| 참고 =
| 제작_시기 = [[조선시대]]
| 면적 =
| 비고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 수량 = 1동
| 전승지 =
| 전승자 =
| 지도 = 대한민국
| 띄움 =
| 꼬리표 = 강화 전등사
| 너비 =
| 대체지도 =
| 설명 =
| 위도도 = 37 |위도분 = 37 |위도초 = 52.4 |남북 = N
| 경도도 = 126 |경도분 = 28 |경도초 = 50 |동서 = E
| 웹사이트 =
| 문화재청 = 12,01780000,23
}}
 
줄 33 ⟶ 46:
}}</ref>
 
== 개요 ==
{{-}}
전등사는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선조 38년(1605)과 광해군 6년(1614)에 큰 불이 일어나 절이 모두 타버려, 그 이듬해 다시 짓기 시작하여 광해군 13년(1621)에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고 한다.
 
석가여래삼존불을 모시고 있는 대웅전은 광해군 13년(1621)에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장식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네 모서리기둥 윗부분에는 사람 모습을 조각해 놓았는데 이것은 공사를 맡았던 목수의 재물을 가로챈 주모의 모습이라는 전설이 전해져 오는데, 재물을 잃은 목수가 주모의 나쁜 짓을 경고하고 죄를 씻게 하기 위해 발가벗은 모습을 조각하여 추녀를 받치게 하였다는 것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3곳의 처마 밑에서는 두손으로 처마를 받치며 벌을 받고 있는 모양새인데 비해, 한 귀퉁이의 것은 한 손으로만 처마를 받치고 있다는 점이다. 마치 벌을 받으면서도 꾀를 부리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우리 선조들의 재치와 익살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당시의 능숙한 조각 솜씨를 엿볼 수 있고, 조선 중기 이후의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 같이 보기 ==
* [[전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