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비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리듬 (토론 | 기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생물 분류
|이름 = 담비
|그림 = marten.jpg
12번째 줄:
|속 = '''담비속''' (''Martes'')
|속_명명 = Pinel, 1792
|하위_고리 = 종
|하위 =
* 본문 참조
}}
 
'''담비류''' 또는 '''담비'''는 [[족제비과]] '''담비속'''(''Martes'') 동물의 총칭으로, '''담부'''라고도 한다. [[아시아]] 특히 [[북아시아]] 지역과 [[유럽]], [[북아메리카]]의 북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몸길이는 암컷이 40~42cm, 수컷이 45~50cm이고 꼬리 길이는 20cm 정도이다.
 
== 하위 종 ==
35번째 줄:
조홍섭 환경전문기자가 쓴 [[한겨레]] [[2013년]] 1월 13일 [[생태]]이야기에 따르면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조사한 담비의 먹이는 다음과 같다. 국립환경과학원은 4년(2009년-2013년)동안 담비가 어떻게 살아가는지 배설물과 무인[[카메라]]로 알아낸 뒤 “담비가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이자 넓은 행동권을 지닌 우산종으로서 생태계 보전에 활용 가치가 큰 동물임이 밝혀졌다”고 발표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에 따르면 우산종이란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불곰]]이나 극동 러시아의 아무르[[호랑이]]처럼 행동권이 큰 동물의 서식지를 보전하면 동시에 다른 종들을 보호하는 효과가 나 생물다양성이 유지되는 종을 가리킨다.
 
{{인용문2|[[포유류]] 가운데 담비가 즐겨 잡아먹는 먹이로는 [[청설모]]가 가장 많아 전체의 20%를 차지했고, 이어 [[노루]] 혹은 [[고라니]]가 16%, [[멧돼지]]·비단털들쥐·하늘다람쥐가 13%로 뒤를 이었다. 그밖에 다람쥐, 멧토끼, 등줄쥐, 두더지도 배설물에서 흔적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담비 한 무리가 연간 75마리의 청설모를 잡아먹는 것으로 계산했다.
전체적으로 먹이 가운데 동물성과 식물성은 비슷한 비중이었는데, 동물성 먹이 가운데는 포유류가 가장 많았고 이어 조류, 꿀, 곤충, 양서·파충류 순서로 비중이 높았다. 식물로는 다래, 버찌, 머루, 감 등 달콤한 열매를 주로 먹었다. 담비는 꿀을 좋아해 전체 먹이의 6.2%를 차지했는데, 흥미롭게도 담비는 벌 가운데는 꿀벌의 천적인 말벌만 잡아먹었고 특히 먹은 말벌의 절반 이상이 여왕벌이어서 말벌 개체군을 조절하는 구실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담비가 주로 사냥하는 고라니, 멧돼지, 청설모, 말벌은 농사에 피해를 끼쳐 농민과 갈등을 일으키는 대표적 동물이어서 이들의 천적인 담비가 야생동물 보호에 새로운 긍정적 시각을 불러모을지 주목되고 있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ecotopia/569418.html</ref>}}
 
== 각주 ==
{{wikispecies위키스피시즈|Martes}}
{{commonscat위키공용분류|Martes}}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