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법지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48번째 줄:
 (一)梵語 ārya。又稱聖者、聖。指證得聖智,而在見道位以上之人;此因見道位以上之人終將完成無漏之聖智,故稱之。<br>
 (二)指佛、菩薩及權化之人(方便示現為人,而德高者)。<br>
 (三)對高僧或碩德之尊稱。印度人即尊稱諸論師為「聖者」;日本對高僧亦尊稱為「聖人」"}} 즉, [[부파불교]]의 수행계위인 [[성문 (불교)|성문]]의 [[4향4과]]에서는 [[수다원향]](須陀洹向) 즉 [[예류향]](預流向)에 해당하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5위 (불교) 용어 목록/오#오위|5위]](五位)의 수행 계위에서는 제3위인 [[통달위]](通達位)에 해당하고, [[대승불교]] 일반의 [[52위]](五十二位)의 [[보살 수행계위]]에서는 [[초지 (불교)|초지]](初地), 즉 [[10지]](十地) 가운데 첫 번째 계위, 즉 [[환희지]](歡喜地)에 해당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896809&categoryId=2886 견도(見道)]". 2013년 4월 21일에 확인|ps=<br>"견도(見道):
산스크리트어 darśana-mārga 사제(四諦)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견혹(見惑)을 끊는 단계. 이 이상의 단계에 이른 사람을 성자라고 함. 초기 불교에서는 예류향(預流向), 유식설에서는 통달위(通達位), 보살의 수행 단계에서는 십지(十地) 가운데 초지(初地)에 해당함.
<br>동의어: 견제, 견제도(見諦道), 정성, 정성결정, 정성이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