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39번째 줄:
<br /><sup style="color: blue">20)</sup> 여기서 '지'는 결단(決斷) 혹은 거듭하여 아는 것을 말하며, '견'은 추구(推求) 혹은 현조(現照)를, '명'은 명랑(明朗)을, '각'은 각오(覺悟)를, '해'는 달해(達解)를, '혜'는 간택(簡擇)을, '광'은 혜광(慧光)을, '관'은 관찰을 말하는 것으로, 이 여덟 가지는 모두 혜의 다른 이름이다."}} 이 때문에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과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혜 (마음작용)|혜]](慧)라는 명칭의 [[법 (불교)|법]]은 있어도 [[지 (불교)|지]](智){{.cw}}[[견 (불교)|견]](見){{.cw}}[[명 (불교)|명]](明){{.cw}}[[각 (불교)|각]](覺){{.cw}}[[해 (불교)|해]](解){{.cw}}[[광 (불교)|광]](光){{.cw}}[[위파사나|관]](觀)이라는 명칭의 [[법 (불교)|법]]은 없는데, 이들의 [[본질 (불교)|본질]][自性, 自相]이 모두 [[혜 (마음작용)|혜]](慧)와 동일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성인 (불교)|성인]]의 지혜, 즉 [[무루혜]] 또는 [[무루지]]를 크게 [[법지 (10지)|법지]](法智)와 [[유지 (10지)|유지]](類智)의 2가지로 구분한다. [[법지 (10지)|법지]]는 [[욕계]]에 대해 [[4성제]]를 체득함으로써 [[증득]]되는 [[무루지]]이고, [[유지 (10지)|유지]]는 [[색계]]와 [[무색계]]에 대해 [[4성제]]를 체득함으로써 [[증득]]되는 [[무루지]]이다. 또한, [[무루지]] 즉 '법지와 유지를 합한 전체'를 [[4성제]]의 [[고제|고]]{{.cw}}[[집제|집]]{{.cw}}[[멸제|멸]]{{.cw}}[[도제|도]]의 각각의 측면에서 보아서 각각 [[불교 용어 목록/경#고지|고지]](苦智){{.cw}}[[집지 (10지)|집지]](集智){{.cw}}[[멸지불교 (10지)용어 목록/ㅁ#멸지|멸지]](滅智){{.cw}}[[불교 용어 목록/ㄷ#도지|도지]](道智)라 한다. 그리고 [[무루지]] 즉 '법지와 유지를 합한 전체'를 깊이 또는 완전함의 측면에서 보아서 [[무학위]]의 [[아라한]]이 [[3계]] 가운데 가장 높은 [[하늘 (불교)|하늘]][天] 또는 [[지 (불교)|경지]][地]인 [[무색계]]의 [[비상비비상처]]에서 [[증득]]하는 [[무루지]]를 [[진지 (10지)|진지]](盡智)와 [[무생지 (10지)|무생지]](無生智)라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10&DTITLE=%B5L%BA%7C%B4%BC 無漏智]". 2013년 2월 6일에 확인|ps=<br />"無漏智: 梵語 anāsrava-jñāna。指證見真理,遠離一切煩惱過非之智慧。為「有漏智」之對稱。於小乘,證見四諦理之智,稱為無漏智。有法智、類智之分別。證得欲界四諦法理之智,稱為法智。證得色、無色等二界四諦法之智,稱為類智;蓋其境智與法智相似,故稱類智。若由境之差別則分為苦、集、滅、道等四智。於無學位又分盡智、無生智,此二智皆證見四諦之法理。小乘謂無漏智於見道始生起,而漸次修習。<br />
 於大乘唯識宗則分無漏智為根本、後得二智,根本智為唯識之性,即證得真如理性之無分別智;後得智由根本智所出,為唯識之相,即了知因緣現起之萬象。大乘謂無漏智於初地見道始生起,而漸次修習,遂證佛果。〔法華經方便品、大毘婆沙論卷九十七、俱舍論卷二十六、順正理論卷七十三〕(參閱「十智」 472)"}}{{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873&DTITLE=%A4Q%B4%BC 十智]".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29&DTITLE=%B5L%A5%CD%B4%BC ]". 2012년 12월 30일에 확인|ps=<br />"無生智: 梵語 anutpādajñāna,巴利語 anuppāda-ññāna。二智之一,十智之一。指了知一切法無生之智。亦即滅盡一切煩惱,遠離生滅變化之究極智慧;於四諦已自知苦、斷集、修道、證滅,復更遍知無「知、斷、修、證」之無漏智。又已遍知斷盡欲、有、無明之三漏及結縛、隨眠等不再生起,故稱無生智。阿毘達磨集異門足論卷三(大二六‧三七六上):「無生智云何?謂如實知我已知苦,不復當知;我已斷集,不復當斷;我已證滅,不復當證;我已修道,不復當修。此所從生智、見、明、覺、解、慧、光、觀,是名無生智。」<br />
 蓋此智於無學位圓滿完成,獲得「盡智」後,更以一切之聖道為因,圓滿無學果,故為與非擇滅之「得」俱生之無漏正智,此唯利根之聖者能成就。除欲界及有頂地之外,以其他之四根本定、未至定、中間定、下三無色定等九地為依地。〔摩訶般若波羅蜜經卷五廣乘品、大毘婆沙論卷二十九、俱舍論卷二十四、卷二十六、辯中邊論辯無上乘品、異部宗輪論、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十五、品類足論卷一、顯揚聖教論卷二〕(參閱「二智」、「十智」)"}}{{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34c18 T29n1558_p0134c18 - T29n1558_p0134c21]. 진지(盡智)·무생지(無生智)와 유정지(有頂地)|ps=<br />"法智類智由境差別分為苦集滅道四智。如是六智若無學攝。非見性者名盡無生。此二初生唯苦集類。以緣苦集六種行相觀有頂蘊為境界故。"}}{{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174 1174-1175 / 1397]. 진지(盡智)·무생지(無生智)와 유정지(有頂地)|ps=<br />"법지와 유지는 경계의 차별에 따라 고·집·멸·도의 네 가지 지로 나뉜다.<sup style="color: blue">9)</sup>
234번째 줄:
* [[보리 (불교)|보리]]
* [[견 (불교)|견]]: [[5견]]{{.cw}}[[세간정견]]{{.cw}}[[유학정견]]{{.cw}}[[무학정견]]
* [[10지]]: [[세속지 (10지)|세속지]]{{.cw}}[[법지 (10지)|법지]]{{.cw}}[[유지 (10지)|유지]]{{.cw}}[[불교 용어 목록/경#고지|고지]]{{.cw}}[[집지 (10지)|집지]]{{.cw}}[[멸지불교 (10지)용어 목록/ㅁ#멸지|멸지]]{{.cw}}[[불교 용어 목록/ㄷ#도지|도지]]{{.cw}}[[타심지 (10지)|타심지]]{{.cw}}[[진지 (10지)|진지]]{{.cw}}[[무생지 (10지)|무생지]]
* [[4지]]: [[대원경지]]{{.cw}}[[평등성지]]{{.cw}}[[묘관찰지]]{{.cw}}[[성소작지]]
* [[8식]] 또는 [[6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