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477번째 줄:
[[탐박]]은 '''일체탐'''(一切貪), 즉 '''모든 탐''', 즉 [[3계]] [[불교 용어 목록/오#오부|5부]]의 [[탐 (근본번뇌)|탐]](貪)을 말한다. [[진박]]은 '''일체진'''(一切瞋) 즉 '''모든 진'''을 말하는데, [[진 (근본번뇌)|진]](瞋)은 [[욕계]]에만 존재하는 [[번뇌]]이므로 [[욕계]] [[불교 용어 목록/오#오부|5부]]의 [[진 (근본번뇌)|진]](瞋)을 말한다. [[치박 (불교)|치박]]은 '''일체치'''(一切癡), 즉 '''모든 치''', 즉 [[3계]] [[불교 용어 목록/오#오부|5부]]의 [[치 (근본번뇌)|치]](癡)를 말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09a24 T29n1558_p0109a24 - T29n1558_p0109b04]. 3박(三縛)}}{{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950 950-951 / 1397]. 3박(三縛)}}
 
《[[구사론]]》에 따르면, [[탐 (근본번뇌)|탐]]{{.cw}}[[진 (근본번뇌)|진]]{{.cw}}[[치 (근본번뇌)|치]]의 3가지만을 [[박 (불교)|박]](縛)이라고 하게 된 것에 대한 [[설일체유부]]의 정설(定說)은 [[삼수 (불교)|낙수]](樂受){{.cw}}[[삼수 (불교)|고수]](苦受){{.cw}}[[삼수 (불교)|사수]](捨受)의 [[3수]](三受)에 따른 것이라는 학설이다. 즉, [[삼수 (불교)|낙수]]에서는 [[탐박]]이, [[삼수 (불교)|고수]]에서는 [[진박]]이, [[삼수 (불교)|사수]](捨受)에서는 [[치박 (불교)|치박]]이 [[소연 (불교)|소연]](所緣)과 [[상응 (심불상응행법)|상응]]하여 함께 [[수증]](隨增)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비록 [[삼수 (불교)|사수]](捨受)에서도 [[탐박]]과 [[진박]]이 [[수증]]하는 일이 있기도 하지만 그 정도가 [[치박 (불교)|치박]]만큼 [[뛰어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삼수 (불교)|사수]](捨受)에서는 [[치박 (불교)|치박]]이 [[수증]]한다고 설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09a24 T29n1558_p0109a24 - T29n1558_p0109b04]. 3박(三縛)}}{{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950 950-951 / 1397]. 3박(三縛)}}
 
《[[구사론]]》에 따르면, [[비바사사]]의 이 정설(定說)은 [[자상속]](自相續)의 [[삼수 (불교)|낙수]](樂受){{.cw}}[[삼수 (불교)|고수]](苦受){{.cw}}[[삼수 (불교)|사수]](捨受)의 [[3수]](三受)가 [[박 (불교)|박]](縛)의 [[소연 (불교)|소연]](所緣)이 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설해진 것이다. 즉, 《[[구사론]]》에 따르면, [[타상속]](他相續)의 [[3수]]도 [[박 (불교)|박]](縛)의 [[소연 (불교)|소연]]이 되어 [[박 (불교)|박]](縛)이 [[수증]]하는 일도 있지만, 대개의 경우는 [[자상속]]의 [[삼수 (불교)|낙수]]{{.cw}}[[삼수 (불교)|고수]]{{.cw}}[[삼수 (불교)|사수]]에서 [[탐 (근본번뇌)|탐]]{{.cw}}[[진 (근본번뇌)|진]]{{.cw}}[[치 (근본번뇌)|치]]가 [[일어나고]] [[증장]]하기 때문에 [[고타마 붓다]]가 이 세 가지를 [[박 (불교)|박]](縛)으로 설한 것이며, 이 견해는 [[박 (불교)|박]](縛)에 대한 [[비바사사]]의 정설(定說)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09a24 T29n1558_p0109a24 - T29n1558_p0109b04]. 3박(三縛)}}{{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950 950-951 / 1397]. 3박(三縛)}} 한편, [[중현]]의 《[[현종론]]》 제27권에서는 이 견해 또는 학설이 [[비바사사]]의 정설(定說)이 아니며 [[유여사]]의 설이라고 말하고 있다.{{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3|loc=제27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3_p0906c22 T29n1563_p0906c22 - T29n1563_p0907a14]. 3박(三縛)|ps=<br>"已辯。結縛云何。頌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