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39번째 줄:
그 밖의 나머지 10계는 선 등의 3성(性)과 통하는 것이니, 이를테면 7심계(心界, 6식계와 의계)로서 무탐(無貪) 등과 상응하는 것을 선이라고 이름하고, 탐 등과 상응하는 것을 일컬어 불선이라 하며, 그 밖의 것과 상응하는 것을 무기라고 이름한다. 법계의 경우, 이러한 무탐 등의 자성과, 상응하는 것과 등기(等起)한 것과 택멸을 선이라고 이름한다.<sup style="color: blue">11)</sup> 혹은 탐 등의 자성과, 상응하는 것과 등기한 것을 불선이라고 이름하며, 그 밖의 것을 무기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색계와 성계의 경우, 선·불선심의 힘에 의해 등기한 신·어표업에 포섭되는 것을 바로 선·불선이라 하며, 그 밖의 것은 바로 무기이다.
<br><sup style="color: blue">10)</sup> 무기(avyākrta)란 선·불선 어느 것으로도 언표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시 유부무기(有覆無記, nivrtāvyākrta)와 무부무기(無覆無記, anivrtāvyākrta)가 있다. 유부무기란 그 자체로서는 무기이지만 번뇌와 상응구기하는 무기이며, 무부무기란 번뇌와 상응하지 않으며, 성도(聖道)를 장애하지 않는 무기로서, 이숙생(異熟生)·위의로(威儀路)·공교처(工巧處)·통과심(通果心) 따위를 말한다. 이를 오로지 무기라고 한, 색·성을 제외한, 8계로 분별해 보면, 이숙무기는 전세의 업이 초래한 심신의 과보로서 5근과 향·미·촉을 말하며, 위의무기는 행(行)·주(住)·좌(坐)·와(臥)와 같은 위의의 상태에서의 향·미·촉을 말하며, 공교무기는 여러 가지 기술을 행하는 상태에서의 향·미·촉을 말하며, 통과(혹은 변화)무기는 신통력에 의해 변화를 나타낼 때의 향·미·촉을 말한다.(『구사론기』 대정장41, p. 35-36)
<br><sup style="color: blue">11)</sup>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교학에 따르면,] 법계에는 무표색과 마흔여섯 가지 심소, 열네 가지 불상응법, 세 가지 무위 등 총 예순네 가지의 법이 포섭된다. 따라서 여기에는 선의 경우, 그 자체가 선인 자성선(自性善,곧 無貪·無瞋·無癡·慚·愧)과, 자성선과 상응하는 제 심소의 선[相應善]과, 자성선과 함께 일어나는 불상응행의 선[等起善]과, 그리고 궁극의 선인 무위택멸의 승의선[勝義善]이 있다.(본론 권제13, p.624 참조.)"}}{{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12a28 T31n1585_p0012a28]. 기(記)|ps=<br>"記謂善惡。有愛非愛果及殊勝自體可記別故。"}}{{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129 129 / 583]. 기(記)|ps=<br>"기(記)라는 것은 선과 악을 말한다. 애착함과 애착하지 않음의 결과를 갖고, 뛰어난 자체이므로 기별(記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선이나 악이 아니므로 무기(無記)라고 이름한다."}} [[불교 용어 목록/ㅎ#현행|기]](記)는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善) 혹은 [[악 (3성)|악]](惡) 혹은 이들 둘 다를 말한다.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과 [[악 (3성)|악]]은 각각 [[애과]](愛果)와 [[비애과]](非愛果) 즉 애락할 만한 과보와 애락할 만하지 않은 과보를 낳으며 [[승자체]](勝自體) 즉 [[뛰어난]] 자체(自體) 즉 [[뛰어난]] [[성질 (불교)|성질]]이므로 기별(記別)할 수 있기 때문에 [[불교 용어 목록/ㅎ#현행|기]](記)라고 한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12a28 T31n1585_p0012a28]. 기(記)}}{{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129 129 / 583]. 기(記)}} 무기의 성질을 '''무기성'''(無記性)이라 한다. 선성(善性)과 마찬가지로, 무기성은 무기와 동의어이다.
 
한편, 불교의 이러한 선{{.cw}}불선{{.cw}}무기의 정의는 상당히 상대적이고 개인중심적이고 현실중시주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즉, 비록 불교에서도 절대적인 선 즉 '''승의선'''(勝義善)과 절대적인 악 즉 '''승의불선'''(勝義不善)을 정의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에 대한 불교의 정의는 현재보다 나은 상태를 가져오는 것이라면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이고, 현재와 비슷한 상태를 가져오는 것이라면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이고, 현재보다 나쁜 상태를 가져오는 것이라면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악 (3성)|악]])이라고 정의하는 것이므로, 상당히 상대적이고 인간 개개인 중심적이고 현실을 중시하는 정의라고 할 수 있다.
 
== 선의 4분류 ==
71번째 줄:
=== 승의선 ===
 
'''승의선'''(勝義善)의 문자 그대로의 뜻 또는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궁극적 의미에서의 선(善), 가장 뛰어난 선(善), 최고의 선(善)<ref>"[http://jpdic.naver.com/search_word.nhn?query=%E5%8B%9D%E7%BE%A9 しょうぎ(勝義)]", 《네이버 일본어사전》. 2012년 10월 28일에 확인.</ref>, 가장 훌륭하며 진실한 선(善)<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3337500 승의(勝義)]",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8일에 확인.</ref>, 또는, 우주 만유의 평등하고 무차별한 절대적 진리의 선(善)<ref>"[http://hanja.naver.com/search?query=%E5%8B%9D%E7%BE%A9 勝義(승의)]",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0월 28일에 확인.</ref>'으로, 불교에서는 [[무위법|무위]](無爲)의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善), 즉 [[진해탈]](眞解脫: 진실의 해탈), 즉 [[열반]](涅槃)을 말한다. [[열반]]은 최고로 안온(安隱)하며 모든 [[괴로움]]이 영원히 [[적멸]]해 있기 때문에 승의선이라고 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71a15 T29n1558_p0071a15 - T29n1558_p0071b01]. 4종선(四種善)}}{{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623 623-625 / 1397]. 4종선(四種善)}}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五位七十五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승의선]]은 [[무위법]] 위(位)의 3가지 [[무위법]]들, 즉 [[허공 (불교)|허공]](虛空){{.cw}}[[택멸]](擇滅){{.cw}}[[비택멸]](非擇滅)의 [[3무위]](三無爲) 중 [[택멸]], 즉 [[택멸무위]]에 해당하며, [[택멸]] 또는 [[택멸무위]]는 곧 [[열반]]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293&DTITLE=%B3%D3%B8q%B5%BD 勝義善]". 2012년 10월 28일에 확인|ps=<br>"勝義善: 亦即俱舍宗所稱之「擇滅無為」,法相宗所稱之「六無為」。"}}
97번째 줄:
'''상응선'''(相應善)이란 본질상 [[무기 (불교)|무기]](無記)이지만 [[자성선]]과 상응함으로써 비로소 [[선 (불교철학)|선]](善)이 되는 [[법 (불교)|법]](法, 특히 [[마음작용]])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81%EC%9D%91%EC%84%A0&rowno=1 相應善(상응선)]". 2012년 9월 2일에 확인}}
 
즉,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五位七十五法)과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五位百法)의 법체계에서,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과 [[자성선]]의 [[마음작용]]들을 제외한 [[마음작용]]([[심소법]])들은 [[참 (불교)|참]](慚){{.cw}}[[불교 용어 목록/경#괴|괴]](愧){{.cw}}[[무탐]](無貪){{.cw}}[[불교 용어 목록/무#무진|무진]](無瞋){{.cw}}[[무치]](無癡)의 [[마음작용]]의 하나 혹은 다수와 [[상응]]할 때 비로소 [[선 (철학)|선]]이 되며, [[자성선]]의 [[마음작용]]과 [[상응]]하지 않을 때는 [[선 (철학)|선]]이 되지 않는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624 624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81%EC%9D%91%EC%84%A0&rowno=1 相應善(상응선)]". 2012년 9월 2일에 확인}} 즉,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과 [[자성선]]의 [[마음작용]]들을 제외한 [[마음작용]]([[심소법]])들은 [[자성선]]과 [[상응]]할 경우에만 비로소 편안하고 즐거운 과보를 낳는 것 또는 현재{{.cw}}미래에 걸쳐 자기와 남을 이익되게 하는 것, 즉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善)이 된다.
 
달리 말하면,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에 대하여 '''선심'''(善心), '''선한 마음''', '''착한 마음''' 또는 '''선량한 마음'''이라고 말할 때, 이것은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자성선]] 중의 하나 혹은 다수와 [[상응]]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108번째 줄:
한편, 성질이 [[불선]]인 [[자성불선]] 등은 [[자성선]]의 법과 [[상응]] 자체를 할 수가 없으므로, 이들이 [[상응선]]이 될 수는 없다. 다만, [[자성불선]] 등을 끊는 것, 즉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더 이상 [[자성불선]] 등과 [[상응]]하지 않는 것은 노력에 의해 가능하다.
 
이 노력의 진행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서술하면, 자기에 대한 반성인 [[참 (마음작용)|참]](慚: [[자성선]]에 속함)과 타인에 대한 반성인 [[불교 용어 목록/경#괴|괴]](愧: [[자성선]]에 속함)와 상응함으로써 그 결과 현재 [[상응]]하고 있는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과의 [[상응]]의 고리가 1차적으로 끊어진다. 그런 후, 다시, 현재 상응하고 있는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의 성격에 비추어 그것을 [[불교 용어 목록/ㄷ#대치|대치]](對治)할 수 있는 성격의 [[불교 용어 목록/무#무탐|무탐]]{{.cw}}[[불교 용어 목록/무#무진|무진]]{{.cw}}[[불교 용어 목록/무#무치|무치]] 중 하나 혹은 다수와 [[상응]]함으로써, 그 결과 현재 [[상응]]하고 있는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과의 [[상응]]의 고리가 2차적으로 끊어진다. 그런 후, 다시, [[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 또는 [[선심소]](善心所: 11가지)의 [[상응선]]들 중 현재의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을 [[불교 용어 목록/ㄷ#대치|대치]](對治)할 수 있는 정반대의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과 [[상응]]함으로써, 현재의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과의 [[상응]]의 고리가 3차적으로 끊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3차적인 끊어짐은 곧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으로부터 [[멀리 떠남]][遠離]이며, 또한 이 [[멀리 떠남]][遠離] 그 자체가 곧 여태 [[상응]]했던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과는 정반대의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을 완전히 성취한 것이며, 달리 말하면, [[악 (3성)|악]](불선)을 극복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 전체에 일관하는 원리는 [[악 (3성)|악]](불선)과 싸우지 않는 것이다. 즉, 오직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과 [[상응]]함으로써 [[악 (3성)|악]](불선)과의 [[상응]]이 자연히 끊어지게 되고 이에 따른 결과를 일컬어서 [[악 (3성)|악]](불선)을 극복하였다고 말하는 것일 뿐이다. 그리고 [[악 (3성)|악]](불선)과 싸우지 않는다는 것은 [[악 (3성)|악]](불선)에 무지하거나 [[악 (3성)|악]](불선)을 무시해도 좋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1차적인 끊어짐이 생겨나게 하기 위한 [[참 (마음작용)|참]](慚)과 [[불교 용어 목록/경#괴|괴]](愧)와의 [[상응]], 2차적인 끊어짐이 생겨나게 하기 위한 [[3선근]]과의 [[상응]], 3차적인 끊어짐이 생겨나게 하기 위한 [[상응선]]과의 [[상응]]은 모두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현재 상응하고 있는 [[악 (3성)|악]](불선)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아는 것을 전제한다. 이런 면에서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善)뿐만 아니라 [[악 (3성)|악]](불선) 즉 [[잡염]](雜染) 즉 [[번뇌]](煩惱)에 대해서도 밝히 아는 것은 필수적인 사항이다. 그리고 이것은 불교에서 [[번뇌론]]이 발달한 이유이기도 하다. (참고: [[선심소]](善心所), [[잡염심소]](雜染心所), [[번뇌]](煩惱))
 
=== 등기선 ===
147번째 줄:
|《구사론》, 제13권.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71b03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625 한글본]}}
 
달리 말하면, 궁극적 입장에서 보면, 일체의 [[유루법]]([[번뇌]])은 그것이 [[불선]]([[악 (3성)|악]])에 속한 [[유루법]](지금보다 나쁜 결과를 가져올 번뇌)이건, 혹은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에 속한 [[유루법]](지금보도 좋지도 나쁘지도 않을 결과를 가져올 번뇌)이건, 혹은, 예를 들어 [[세간정견]](世間正見)과 같은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善)에 속한 [[유루법]](지금보다 좋은 결과를 가져올 번뇌)이건 모두 [[불선]](不善) 즉 [[악 (3성)|악]](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즉 모든 [[유루법]]([[번뇌]])은 [[출세간]]의 [[무루법]]이 아니기 때문에 모두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 즉 [[생사윤회]]를 가져올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상태는 평화롭지 않은 상태[不安隱]라는 의미이다. 즉, 궁극적으로 말하자면, 스스로도 [[생사윤회]]에서도 벗어나지 못하고 또한 남도 [[생사윤회]]를 벗어날 수 있도록 도울 수 없는 상태를 '궁극적 의미에서의 불선(不善) 또는 최고의 불선(不善)'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상태를 평화롭지 않은 상태[不安隱]라고 말한다는 것이다.
 
{{인용문|
180번째 줄:
== 무기의 2분류 ==
 
'''무기'''(無記, {{llang|sa|avyākrta}})는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으로도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으로도 기표할 수 없는 [[법 (불교)|법]](法, 특히 [[신 (불교)|몸]]과 [[마음 (불교)|마음]])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96&DTITLE=%A4T%A9%CA 三性]". 2012년 9월 2일에 확인}}{{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07b14 T29n1558_p0007b14 - T29n1558_p0007b23]. 18계 중의 무기(無記)|ps=<br>"[18계 가운데 안·이·비·설·신의 5근과 색·성·향·미·촉의 5경의 10계를 10유대(有對)라고 함] 於此所說十有對中。除色及聲餘八無記。謂五色根。香味觸境。不可記為善不善性故名無記。有說。不能記異熟果故名無記。若爾無漏應唯無記。其餘十界通善等三。謂七心界與無貪等相應名善。貪等相應名為不善。餘名無記。法界若是無貪等性相應等起擇滅名善。若貪等性相應等起名為不善。餘名無記。色界聲界若善不善心力等起身語表攝。是善不善。餘是無記。"}}{{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7 57-58 / 1397]. 18계 중의 무기(無記)|ps=<br>"[18계 가운데 안·이·비·설·신의 5근과 색·성·향·미·촉의 5경의 10계를 10유대(有對)라고 함] 여기서 설한 열 가지 유대(有對) 중에서 색(色)과 성(聲)을 제외한 나머지 여덟 가지는 무기(無記)이니,<sup style="color: blue">10)</sup> 말하자면 5색근(色根)과 향·미·촉경이 바로 그것이다. 즉 그것들은 선·불선의 성질이라고 기표할 수 없기 때문에 '무기'라고 이름한 것이다. 그러나 어떤 이는 설하기를, "이숙과(異熟果)는 능히 [선·불선으로] 기표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일컬어 무기라 한다"고 하였는데,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무루는 응당 마땅히 오로지 무기여야 할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 10계는 선 등의 3성(性)과 통하는 것이니, 이를테면 7심계(心界, 6식계와 의계)로서 무탐(無貪) 등과 상응하는 것을 선이라고 이름하고, 탐 등과 상응하는 것을 일컬어 불선이라 하며, 그 밖의 것과 상응하는 것을 무기라고 이름한다. 법계의 경우, 이러한 무탐 등의 자성과, 상응하는 것과 등기(等起)한 것과 택멸을 선이라고 이름한다.<sup style="color: blue">11)</sup> 혹은 탐 등의 자성과, 상응하는 것과 등기한 것을 불선이라고 이름하며, 그 밖의 것을 무기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색계와 성계의 경우, 선·불선심의 힘에 의해 등기한 신·어표업에 포섭되는 것을 바로 선·불선이라 하며, 그 밖의 것은 바로 무기이다.
<br><sup style="color: blue">10)</sup> 무기(avyākrta)란 선·불선 어느 것으로도 언표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시 유부무기(有覆無記, nivrtāvyākrta)와 무부무기(無覆無記, anivrtāvyākrta)가 있다. 유부무기란 그 자체로서는 무기이지만 번뇌와 상응구기하는 무기이며, 무부무기란 번뇌와 상응하지 않으며, 성도(聖道)를 장애하지 않는 무기로서, 이숙생(異熟生)·위의로(威儀路)·공교처(工巧處)·통과심(通果心) 따위를 말한다. 이를 오로지 무기라고 한, 색·성을 제외한, 8계로 분별해 보면, 이숙무기는 전세의 업이 초래한 심신의 과보로서 5근과 향·미·촉을 말하며, 위의무기는 행(行)·주(住)·좌(坐)·와(臥)와 같은 위의의 상태에서의 향·미·촉을 말하며, 공교무기는 여러 가지 기술을 행하는 상태에서의 향·미·촉을 말하며, 통과(혹은 변화)무기는 신통력에 의해 변화를 나타낼 때의 향·미·촉을 말한다.(『구사론기』 대정장41, p. 35-36)
207번째 줄:
==== 자성무기 ====
 
《[[구사론]]》에 따르면, 궁극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즉 [[생사]](生死)를 [[승의불선]](勝義不善)이라고 할 때는, [[유루법]]으로서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이거나 혹은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한 성질인 [[법 (불교)|법]](法)은 모두 [[생사]](生死)에 포섭되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승의]](勝義)의 관점이 아니라 [[이숙 (불교)|이숙]](異熟)의 관점에서 보아서, 비록 [[유루법]]이지만 능히 그 성질을 무엇이라고 기표(記表)할 수 없는 [[이숙과]](異熟果)의 경우 '무기(無記)'라는 명칭을 설정할 수 있다고 보아, 이를 '''자성무기'''(自性無記)라고 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71b12 T29n1558_p0071b12 - T29n1558_p0071b17]. 무기(無記)|ps=<br>"若爾便無一有漏法是無記或善。皆生死攝故。若據勝義誠如所言。然於此中約異熟說。諸有漏法若不能記異熟果者立無記名。於中若能記愛異熟說名為善故無有過。勝義無記。謂二無為。以太虛空及非擇滅。唯無記性更無異門。"}}{{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3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625 625-626 / 1397]. 무기(無記)|ps=<br>"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다시 말해 생사(生死)를 승의불선이라고 한다면] 유루법으로서 무기이거나 혹은 선한 성질인 것은 아무것도 없을 것이니, 그것들은 모두 생사에 포섭되기 때문이다. 만약 승의에 근거하여 말할 경우 참으로 말한 바와 같겠지만,<sup style="color: blue">105)</sup> 여기에서는 이숙에 근거하여 설한 것이다. 즉 온갖 유루법으로서 능히 그 성질을 무엇이라고 기표(記表)할 수 없는 이숙과라면 '무기'라는 명칭을 설정하고, 능히 좋아할 만한[可愛] 이숙과라고 기표할 수 있으면 그것을 일컬어 '선'이라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는 어떠한 허물도 없는 것이다.
그리고 승의무기(勝義無記)란 이를테면 두 가지 무위를 말하니, 커다란 허공(虛空)과 비택멸(非擇滅)은 오로지 무기성일 뿐으로, 더 이상 다른 갈래[異門]로 분별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sup style="color: blue">106)</sup>
<br><sup style="color: blue">105)</sup> 궁극적으로 말한다면 유루법으로서 선 혹은 무기는 아무것도 없으며 모두 불선이라 할 수 있다.
220번째 줄:
===유부무기·무부무기===
 
'''유부무기'''(有覆無記)는 그 자체로는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도 [[악 (3성)|악]]도 아닌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無記)이지만 [[번뇌]]와 [[상응]]하여 함께 일어나는 [[무기]]를 말한다.
'''무부무기'''(無覆無記)는 [[번뇌]]와 [[상응]]하지 않으며 [[성도 (불교)|성도]](聖道: 출세도, 8정도, 도제, 또는 무루지에 의한 정도)를 장애하지 않는 [[무기]](無記)를 말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07b14 T29n1558_p0007b14 - T29n1558_p0007b23]. 18계 중의 무기(無記)}}{{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7 57-58 / 1397]. 18계 중의 무기(無記)}}
 
241번째 줄:
====유부무기====
 
'''유부무기'''(有覆無記, {{llang|sa|[[:en:nivrtāvyākrta|<span style="color: black">nivrtāvyākrta</span>]]}})는,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가림[覆] 또는 막음[障]이 있는 무기(無記)'로, 그 자체로는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도 [[악 (3성)|악]]도 아닌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無記)이지만 [[번뇌]]와 [[상응]]하여 함께 일어나는 [[무기]]를 말한다. 줄여서, '''유부'''(有覆)라고도 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07b14 T29n1558_p0007b14 - T29n1558_p0007b23]. 18계 중의 무기(無記)}}{{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7 57-58 / 1397]. 18계 중의 무기(無記)}}{{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94&DTITLE=%B5L%B0O 無記]".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506&DTITLE=%A6%B3%C2%D0%B5L%B0O 有覆無記]".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유부무기]](有覆無記)는 일단 [[무기 (불교)|무기]](無記)이기 때문에 [[이숙과]](異熟果: 현생에서 타고나는 몸과 마음)를 낳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성도 (불교)|성도]](聖道: 출세도, 8정도, 도제, 또는 무루지에 의한 정도)를 가리며[覆: 덮음]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가리는[蔽] 역할을 한다. 이런 뜻에서 [[유부무기]]를 [[불교 용어 목록/ㅂ#부정|부정]](不淨: 맑고 명료하지 못함)이라고 말한다. 말하자면, [[유부무기]]는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맑고 명료하게 보지 못하게 함으로써 수행에 방해가 되는 [[무기 (불교)|무기]]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94&DTITLE=%B5L%B0O 無記]".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0%EB%B6%80%EB%AC%B4%EA%B8%B0&rowno=1 有覆無記(유부무기)]".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이런 뜻에서 [[유부무기]]를 '''유부심'''(有覆心)이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0%EB%B6%80%EB%AC%B4%EA%B8%B0&rowno=1 有覆無記(유부무기)]".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266번째 줄:
======이숙무기======
 
'''이숙무기'''(異熟無記)는, [[부파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전생]]의 [[업]], 즉 [[전생]]의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의 [[3업]](三業)에 따라 태어날 때 받은 [[무부무기]](無覆無記: 번뇌와 상응하지 않으며 성도(聖道)를 장애하지 않는 무기)의 [[과보]]로서의 타고난 [[신 (불교)|몸]]과 [[마음 (불교)|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 의근을 포함함)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94&DTITLE=%B5L%B0O 無記]".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88&DTITLE=%B5L%C2%D0%B5L%B0O 無覆無記]".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398&DTITLE=%B2%A7%BC%F4%B5L%B0O 異熟無記]". 2013년 4월 6일에 확인|ps=<br>"異熟無記:
 異熟,為果報之異稱。記,即判斷、斷定之意。無記,指不可斷定為善,亦不可斷定為惡,而為非善非惡之性。異熟無記,為無覆無記(無所謂染淨之無記性)之一,乃由前世業因所招感之身心果報,其性為非善非惡、不障聖道、不蔽心性之無記性。(參閱「無記」5107) p5159"}} 보다 정확히는, 타고난 [[오근과 육근|5근]]과 [[색경 (불교)|색]]{{.cw}}[[향 (6경)|향]]{{.cw}}[[오경 (불교)#미경|미]]{{.cw}}[[촉 (6경)|촉]]과 [[마음 (불교)|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을 말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07b14 T29n1558_p0007b14 - T29n1558_p0007b23]. 18계 중의 무기(無記)|ps=<br>"[18계 가운데 안·이·비·설·신의 5근과 색·성·향·미·촉의 5경의 10계를 10유대(有對)라고 함] 於此所說十有對中。除色及聲餘八無記。謂五色根。香味觸境。不可記為善不善性故名無記。有說。不能記異熟果故名無記。若爾無漏應唯無記。其餘十界通善等三。謂七心界與無貪等相應名善。貪等相應名為不善。餘名無記。法界若是無貪等性相應等起擇滅名善。若貪等性相應等起名為不善。餘名無記。色界聲界若善不善心力等起身語表攝。是善不善。餘是無記。"}}{{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7 57-58 / 1397]. 18계 중의 무기(無記)|ps=<br>"[18계 가운데 안·이·비·설·신의 5근과 색·성·향·미·촉의 5경의 10계를 10유대(有對)라고 함] 여기서 설한 열 가지 유대(有對) 중에서 색(色)과 성(聲)을 제외한 나머지 여덟 가지는 무기(無記)이니,<sup style="color: blue">10)</sup> 말하자면 5색근(色根)과 향·미·촉경이 바로 그것이다. 즉 그것들은 선·불선의 성질이라고 기표할 수 없기 때문에 '무기'라고 이름한 것이다. 그러나 어떤 이는 설하기를, "이숙과(異熟果)는 능히 [선·불선으로] 기표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일컬어 무기라 한다"고 하였는데,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무루는 응당 마땅히 오로지 무기여야 할 것이다.
그 밖의 나머지 10계는 선 등의 3성(性)과 통하는 것이니, 이를테면 7심계(心界, 6식계와 의계)로서 무탐(無貪) 등과 상응하는 것을 선이라고 이름하고, 탐 등과 상응하는 것을 일컬어 불선이라 하며, 그 밖의 것과 상응하는 것을 무기라고 이름한다. 법계의 경우, 이러한 무탐 등의 자성과, 상응하는 것과 등기(等起)한 것과 택멸을 선이라고 이름한다.<sup style="color: blue">11)</sup> 혹은 탐 등의 자성과, 상응하는 것과 등기한 것을 불선이라고 이름하며, 그 밖의 것을 무기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색계와 성계의 경우, 선·불선심의 힘에 의해 등기한 신·어표업에 포섭되는 것을 바로 선·불선이라 하며, 그 밖의 것은 바로 무기이다.
276번째 줄:
 
[[대승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이숙무기]](異熟無記) 즉 [[이숙과]](異熟果)는 대체적으로 말하자면 [[부파불교]]의 교학에서와 마찬가지로 [[과보]]로서의 타고난 [[신 (불교)|몸]]과 [[마음 (불교)|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398&DTITLE=%B2%A7%BC%F4%B5L%B0O 異熟無記]". 2013년 4월 6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397&DTITLE=%B2%A7%BC%F4%AAG 異熟果]". 2013년 4월 6일에 확인|ps=<br>"異熟果:
 梵語 vipāka-phala。指由「異熟因」所招感之果報。又作報果。五果之一。俱舍宗以五根(即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七心界(即眼識界、耳識界、鼻識界、舌識界、身識界、意識界、無間滅之意根)等之「無覆無記性」為異熟果。然在大乘唯識,一切有情總報之果體(即第八識),稱為真異熟;從真異熟所生之前六識別報,稱為異熟生。真異熟與異熟生合稱為異熟果;而第七識並非異熟之種子所引生,故非異熟果。由此知異熟果即指第八識,以此識能含藏一切諸法種子而成熟諸根識之果。如眼等諸根,由過去世所作善、惡之因,招感今世苦、樂之果;今世所作善、惡之因,亦招感當來世苦、樂之果,故稱異熟果。〔大毘婆沙論卷十九、俱舍論卷二、卷六、成唯識論卷二、卷八、成唯識論述記卷一本、卷二末、卷八本〕(參閱「五種果」1180) p5158"}} 하지만 보다 엄밀히 말하자면, [[제7말나식]]은 [[4번뇌]]와 항상 [[상응|상응]]하기 때문에 [[유부 (불교)|유부]](有覆)이며 또한 [[이숙습기]]가 아닌 [[등류습기]]에 의한 [[등류과]]인데 [[등류과]]를 포함한 모든 [[과보]]는 그 유형이 [[삼수 (불교)|고]]{{.cw}}[[삼수 (불교)|낙]] 혹은 [[삼수 (불교)|불고불락]]인데 [[삼수 (불교)|고]]{{.cw}}[[삼수 (불교)|낙]]{{.cw}}[[삼수 (불교)|불고불락]]은 그 자체로는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도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도 아닌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無記)이기 때문에 [[제7말나식]]은 [[유부무기]](有覆無記)이다. 즉, [[무부무기]]가 아니며 따라서 [[무부무기]]의 일종인 [[이숙무기]]도 아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610&DTITLE=%A5%BD%A8%BA%C3%D1 末那識]". 2013년 1월 28일에 확인|ps=<br />"末那識: 末那,為梵語 manas 之音譯,意譯為意,思量之義。唯識宗將有情之心識立為八種,末那識即為八識中之第七識。為恆執第八阿賴耶識為「我」之染污識。為與第六意識(梵 mano-vijñāna,意之識,乃依末那之識)區別,而特用梵語音譯稱為「末那識」。此識恆與我癡、我見、我慢、我愛等四煩惱相應,恆審第八阿賴耶識之見分為「我、我所」而執著,故其特質為恆審思量。又此識為我執之根本,若執著迷妄則造諸惡業,反之,則斷滅煩惱惡業,徹悟人法二空之真理,故稱染淨識,又稱思量識、思量能變識。且其自無始以來,微細相續,不用外力,自然而起,故其性質為「有覆無記」;乃不引生異熟果,卻能覆聖道、蔽心性。<br />
 法相宗依修行階段之淺深,而在末那識中立三位,稱為末那三位,即:(一)補特伽羅(梵 pudgala,即人)我見相應位,為末那識緣第八阿賴耶識而起人我見之位。如凡夫、二乘之有學、七地以前之菩薩等有漏心位。(二)法我見相應位,為末那識緣第八異熟識起法我見之位。此乃指凡夫、二乘及未得法空智果之菩薩位而言。(三)平等性智相應位,乃起無漏平等性智之位,即菩薩以法空觀入見道,又於修道位起法空智果及佛果。以上三位之中,前二位屬有漏之位,第三位則屬無漏之位。<br />
 又依成唯識論卷五載,末那識之存在,可引用入楞伽經、解脫經二種教說,及六種道理證明之,此謂「二教六理」。二教,即:(一)入楞伽經卷九謂,思量之性,名意。(二)解脫經謂,染污意恆時與諸惑俱生滅。六理,即:(一)不共無明證,謂第六識之作用雖有間斷,凡夫不共無明,則恆無間斷而相續,故須有末那識。(二)六二緣證,前五識以前五根為所依,以前五境為所緣,第六意識亦須有末那識作為其所依之意根。(三)意名證,末那名意,因係恆審思量,故末那識必須恆存。(四)二定差別證,聖者所入之滅盡定與外道所入之無想定有所區別,因滅盡定無末那識,而無想定有末那識之存在。(五)無想有染證,修無想定而得生之無想天,雖無第六意識,但仍有我執,故須有末那識。(六)有情我不成證,凡夫行布施等善,不會成為無漏,無法脫離我執,乃因有末那識之故。〔入楞伽經卷八、瑜伽師地論卷六十三、顯揚聖教論卷一、成唯識論卷四、成唯識論述記卷四末、卷五本、卷五末、成唯識論樞要卷下、大乘義章卷三末〕"}} [[8식]] 중 나머지 [[제8아뢰야식]]{{.cw}}[[제6의식]]{{.cw}}[[전5식]]은 [[이숙무기]]인데, 특히 [[제8아뢰야식]]이 이 성질이 뚜렷하므로 그냥 '''[[이숙 (불교)|이숙]]'''(異熟) 또는 '''[[진이숙]]'''(眞異熟)이라고 한다. 이에 비해 [[제6의식]]은 이숙(異熟) 즉 '다르게 익음'의 과정의 결과물로서의 [[고 (불교)|고]]와 [[삼수 (불교)|낙]]을 감수하는 것 즉 '이숙에 의해 생겨난 것[異熟生]'일 뿐이므로 [[진정한 이숙]][眞異熟]인 [[제8아뢰야식]]과 구분하여 [[제6의식]]을 '''[[이숙생]]'''(異熟生)이라고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95%B0%E7%86%9F%E7%94%9F&rowno=1 異熟生(이숙생)]". 2013년 4월 6일에 확인|ps=<br>"異熟生(이숙생):
331번째 줄:
===8식===
 
[[8식]](八識), 즉 [[아뢰야식]], [[말나식]], [[의식 (6식)|의식]], 그리고 [[안식 (6식)|안식]]{{.cw}}[[이식 (6식)|이식]]{{.cw}}[[육식|비식]]{{.cw}}[[설식 (6식)|설식]]{{.cw}}[[신식 (6식)|신식]]의 [[5식]]을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의 [[3성 (불교)|3성]]에 따라 분별하면 다음과 같이 나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9428&categoryId=1620 유식사상 (唯識思想)]",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996). 한국학중앙연구원 / 네이버 지식백과. 2012년 11월 2일에 확인.
<br>"유식학에서는 마음의 작용을 모두 51종으로 해석하고 있다. 51종의 작용은 팔식이 모두 야기하는 것이 아니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br>
345번째 줄:
* [[아뢰야식]]: [[무부무기]](無覆無記)
** 무부(無覆)는 [[아뢰야식]] 자체에는 [[번뇌]]가 없기 때문에 [[불성]]의 [[지혜]]를 부장(覆障: 가리고 막음)하는 성질이 없다는 것을 뜻한다.
** 무기(無記)는 [[아뢰야식]]은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도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도 아닌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無記)이기 때문에 [[선업]]과 [[악업]]을 보존할 자격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 [[말나식]]: [[유부무기]](有覆無記)
** 유부(有覆)는 [[말나식]]이 항상 [[소지장]](所知障)의 [[번뇌]]를 야기하여 [[불성]]의 [[지혜]]를 부장(覆障: 가리고 막음)하는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을 일으킨다는 것을 뜻한다.
** 무기(無記)는 비록 [[말나식]]이 유부(有覆)의 뜻을 가지지만, 그 [[번뇌]]가 미세하여 [[악업]]을 일으킬 만큼 강하지는 않다는 것을 뜻한다.
* [[의식 (6식)|의식]]: [[무기]](無記)
** 무기(無記)는 [[의식 (6식)|의식]]이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cw}}[[악 (3성)|악]]{{.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 중 그 어느 것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 [[5식]]: [[무기]](無記)
** 무기(無記)는 [[5식]]이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cw}}[[악 (3성)|악]]{{.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 중 그 어느 것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5견===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cw}}[[변집견]](邊執見){{.cw}}[[사견]](邪見){{.cw}}[[견취]](見取){{.cw}}[[계금취]](戒禁取)의 [[5견]](五見) 또는 [[5악견]](五惡見)을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의 [[3성 (불교)|3성]]에 따라 분별하면 다음과 같이 나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76 176 / 1397]. 5견의 3성 분별|ps=<br>"불선의 견이란 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세 가지 견. 5견 중 이러한 세 가지만이 불선이고, 나머지 유신견(有身見)과 변집견(邊執見)의 두 가지는 유부무기(有覆無記)이다."}}
 
*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 [[유부무기]](有覆無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