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284번째 줄:
==삼상==
 
1. '''3상'''(三想)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 [[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의 [[마음작용]]을 3가지로 나눈 것으로, [[소상불교 (3상)용어 목록/소#소상|소상]](小想){{.cw}}[[불교 용어 목록/ㄷ#대상|대상]](大想){{.cw}}[[불교 용어 목록/무#무량상|무량상]](無量想)을 말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3a11 T26n1542_p0693a11 - T26n1542_p0693a12]. 상(想)|ps=<br>"想云何。謂取像性。此有三種。謂小想大想無量想。"}}{{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4 4 / 448]. 상(想)|ps=<br>"상(想)이란 무엇인가? 형상을 취하는 성품[取像性]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작은 생각[小想]·큰 생각[大想]·한량없는 생각[無量想]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따르면 [[소상불교 (3상)용어 목록/소#소상|소상]](小想)은 [[욕계]]를 [[요별]]할 수 있는 [[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이고, [[불교 용어 목록/ㄷ#대상|대상]](大想)은 [[색계]]를 [[요별]]할 수 있는 [[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이고, [[불교 용어 목록/무#무량상|무량상]](無量想)은 [[무색계]]의 [[공무변처]]와 [[식무변처]]를 [[요별]]할 수 있는 [[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이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4a03 T31n1605_p0664a03 - T31n1605_p0664a12]|ps=<br>"云何建立想蘊。謂六想身。眼觸所生想。耳觸所生想。鼻觸所生想。舌觸所生想。身觸所生想。意觸所生想。由此想故。或了有相。或了無相。或了小或了大。或了無量。或了無少所有無所有處。何等有相想。謂除不善言說無想界定及有頂定想。所餘諸想。何等無相想。謂所餘想。何等小想。謂能了欲界想。何等大想。謂能了色界想。何等無量想。謂能了空無邊處識無邊處想。何等無少所有無所有處想。謂能了無所有處想。"}}{{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7 7 / 159]. 상온(想蘊)|ps=<br>"어떻게 상온(想蘊)을 건립하게 됩니까?
6상신(想身)을 가리키는 것이니 안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이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비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설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신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고, 의촉에서 생겨나는 상온이다. 이 같은 상온에 연유하여 유상(有相)의 상온을 이해[了]하거나, 무상(無相)의 상온을 이해하거나, 소상(小想)을 이해하거나, 대상(大想)을 이해하거나, 무량(無量)한 상온을 이해하거나, 소유에 탐착하지 않는 무소유처(無所有處)의 상온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것이 유상(有相)의 상온입니까?